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개기제문(開基祭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1679.4723-20140630.Y14105020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작성주체 남몽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679
형태사항 크기: 28 X 19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매양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개기제문(開基祭文)」
1679년에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소재 신녕향교(新寧鄕校) 이건 개기제(開基祭) 제문으로, 작성자는 1679년 당시 선산부사(善山府使)로 있던 남몽뢰(南夢賚)다. 개기제는 공사를 위한 터를 닦을 때 여는 제사로, 본 제문은 신녕향교를 옮겨 짓는 과정에서 작성되었다. 한편, 「개기제문(開基祭文)」은 신녕향교고왕록(考往錄)』에 네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신녕향교고왕록』은 조선후기부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녕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무렵까지, 신녕향교의 운영 상황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남몽뢰가 작성한 제문에는 신녕향교의 이건 경위와 의의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원래 향교는 중요한 곳이지만, 지금의 신녕향교가 위치한 지세(地勢)는 매우 합당하지 못해, 지역 유림들이 오랫동안 근심하였고, 논의 끝에 지금의 장소로 옮겨 짓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에 정성껏 마련한 제물로 개기제를 치르니 하늘과 땅이 보살펴 주기를 바라고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679慶尙道 新寧縣 소재 新寧鄕校 移建 공사 開基祭 때, 善山府使 南夢賚가 작성한 祭文
考往錄
자료의 내용
1679慶尙道 新寧縣 소재 新寧鄕校 開基祭 때 작성된 祭文이다. 작성 연도는 확인되지 않지만 자료 말미에 작성자가 ‘南善山夢賚製’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南夢賚善山府使로 재임하던 1679년에 작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자료는 신녕향교考往錄』에 「開基祭文」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考往錄』은 1744년 이전 신녕향교에서 작성한 각종 遺文과 사적을 간략히 엮어 놓은 후, 1744년 이후부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녕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무렵까지, 신녕향교의 운영 상황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본 자료는 그 중에서도 네 번째로 수록된 것이다. 한편, 본 제문 앞에는 1678신녕현의 유림들이 향교 이건을 청원하는 「遺文」이 수록되어 있다. 이때의 청원이 수락되어 1679년 開基祭가 열렸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남몽뢰가 작성한 제문에는 신녕향교 이건의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먼저 文廟는 우리 道의 중요한 곳으로 윤리와 기강, 그리고 교화와 관련되어 있기에, 이곳에서 尊崇하여 백대에 걸쳐 보답하는 제사를 지내고 있음을 전제하였다. 그러나 신녕향교의 地勢는 傾側하고 破缺되어 유림들이 오랫동안 한탄해 오다, 지역 유림들이 모의하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좋은 땅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며, 이건 경위를 밝혀 놓았다. 그리고 이상의 사정으로 吉日을 택해 基地를 넓이고 희생과 제물을 정결하게 갖추어 올리니, 앞으로 하늘과 땅이 보살펴 영세토록 무사하기를 청원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일면과 신녕향교의 연혁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특히 신녕향교 이건이 신녕현 재지사족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주목된다. 조선시대 향교가 官의 관리와 협조를 받았지만, 실질적인 운영은 재지사족들이 주도했기 때문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개기제문(開基祭文)」

開基祭文

曰維文廟吾道重地倫紀攸係敎化所自尊崇百代報祀千秋
擇選名區天下齊州顧玆舊居地勢傾側破缺級甎漫漶赤白
儒林飮恨行路含嗟爰謀移卜勝地不遐山明水麗花岳其南
葱籠佳氣縹渺溪嵐來玄擁銜坐向每閑允矣地秘展也天慳
迺拓基地辰良日吉牲酒肥馨尊勺淨潔神其歆格永世無射
南善山夢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