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0000.2771-20140630.Y141100702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기
작성주체 곽명규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형태사항 크기: 3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19세기 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소재 현풍향교(玄風鄕校)의 도유사(都有司) 곽명규(郭明奎)가 기(記)하고, 장의(掌議) 김용호(金用浩)가 서(書)한 기문(記文)이다. 본 기문은 1914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기문에는 현풍향교 재정 지원을 해 준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상진(金相鎭)의 공로를 기리고 있으며, 이어 이때 지원 받은 돈 100민(緡)의 운영 방도를 규정한 3개조의 절목(節目)을 수록해 놓았다. 기문에 따르면 현풍현은 작은 고을로 항상 재정이 궁핍해 현풍향교는 겨우 제례만 거행하고 있었는데, 이때 경상도관찰사 김상진현풍향교에 100민의 돈을 지원해 주었다고 한다. 이에 현풍현의 유림들은 이 돈을 일시에 쓰는 것은 관찰사의 은혜를 저버리는 것이라며, 이자를 놓아 돈을 불리는 것으로 의견을 모으게 되었다. 그리고 그 운영 방법을 3개조의 절목에 수록하였는데, 우선 관내 각리(各里)의 크기에 따라 돈을 나누어 주고 이를 이자로 불릴 것이며, 그 이자로 봄과 가을에 행하는 제향(祭享) 때의 비용으로 집행하고, 남는 돈은 강학(講學) 활동에 보충하기로 결의해 놓았다. 이러한 지방관의 재정 보조는 조선시대 향교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 중 하나였다. 지방 교육과 교화에 뜻있는 지방관들에 의해 특별한 재정 보조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흥학(興學), 즉 교육 진흥이 지방관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慶尙道觀察使가 100緡을 지원하자 현풍현의 유림들이 이를 殖利하기로 결정한 후, 그 의의를 기록한 현풍향교 郭明奎의 記文
事績錄 玄風鄕校
자료의 내용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의 都有司 郭明奎가 記하고, 掌議 金用浩가 書한 記文이다. 자료 말미에 작성 연도가 ‘上之十年乙丑十日月’이라 명기되어 있지만, 재위 15년이 을축년인 조선시대 국왕은 없으며, 본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金相鎭도 역대 관찰사 명단에서 확인되지 않는 인물이기에, 본 자료의 정확한 작성 연도는 알 수가 없다. 다만 현풍향교에 전해지고 있는 「都有司案」은 1632년 9월부터 1838년까지 역대 현풍향교 도유사 역임자의 명단인데, 여기서 본 자료 작성자인 곽명규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를 미루어 볼 때 1838년 이후에 본 기문이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자료는 1914慶尙北道 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事績錄』은 1758년부터 1990년까지 현풍향교 운영과 관련해서 작성된 각종 글들과 문서 등을 엮어 놓은 것이다. 19세기에 작성된 「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는 그 중에서도 스물네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에는 당시 경상도관찰사현풍향교 돈을 지원해 준 노고를 기리고 있으며, 이것의 활용 방도를 제정한 節目 3개 조를 함께 부기해 놓았다. 기문에 따르면 먼저 현풍은 낙동강 사이에 위치한 고을로, 사방이 협소하고 토지가 척박하여 民業이 가난한 실정이라고 하였다. 이에 현풍향교의 재정도 넉넉하지 못해, 겨우 의례를 행하는 정도이고 物力은 養老의 의례를 거행하기 자못 부족함이 많음을 호소하고 있다. 이때 巡相, 즉 관찰사 김상진이 거듭된 흉년에 列邑을 賑恤하고 폐단을 고치는 와중에, 그 일환으로 현풍향교에 100緡의 돈을 지원하였으니, 이것은 큰 盛事임을 칭송하였다. 100緡의 돈을 지원 받자 현풍현의 유림들은 이 은혜를 오래하기로 뜻을 모았는데, 당시 地主 중 한 명이었던 李輔仁관찰사가 돈을 지원해 준 것은 성인을 존경하고 正道를 보호하기 위한 뜻이므로, 한 번에 써 버린다면 관찰사의 은혜를 저버리는 것과 다름없다는 의견을 내었다. 이에 이 돈을 관내 各里에 나누어 주고 契券을 만들어 관리해서, 여기서 나는 이자를 향후 향교의 각종 需用으로 집행하여 관찰사의 은혜를 오래하자는 것으로 결의를 하였던 것이다.
도유사 곽명규가 작성한 기문 다음에는 이때 결의된 3개조의 절목이 수록되어 있다. 3개조에는 殖利의 방법이 규정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一, 劃付 받은 100緡의 돈은 殖本하는데, 一邑의 크고 작은 坊里를 구별하고 錢數의 많고 적음에 따라 式例를 만들어, 存本取利 할 것을 영구히 바꾸지 말 일. 一, 봄과 가을 饗禮 때 그 이자를 취하여 두 차례의 需用에 보충 할 일. 一, 향교에 보용하고 남은 나머지 돈은 袺椐 振資하여 길이 봄과 가을의 講學에 사용할 일.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의 재정적 기반으로는 전답, 노비, 校保와 校村, 儒錢 등을 비롯하여 官의 재정 보조가 있었다. 본 자료에서 경상도관찰사가 지원한 100緡의 돈도 관의 재정 보조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여러 지방관들은 특별한 재정 지원을 통해 향교 활성화에 관심을 기울였었다. 여기에는 교육과 교화를 진흥시키려는 뜻있는 수령들의 관심도 반영되어 있겠지만, 무엇보다 향교의 활성화가 수령 考課 중 하나인 興學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관들은 향교 운영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비록 관찰사는 수령들과 동일하게 考課를 받지는 않았지만 興學을 위해 재정지원을 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한편, 지원된 돈은 관내 각 坊里에 분급되어 殖利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화폐경제의 발달을 매개로 향교가 재정을 증식하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殖利를 통해 수용된 이자로 현풍향교는 향교의 가장 중요한 의례인 祭享 비용으로 사용하고, 남은 돈을 교육을 위한 講學 활동에 집행하려 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巡相國校宮劃付錢植本記
江介邑也四狹土疏而壚㷬澇爲菑民業庫貧校宮僅
且儀文物力不數菜養老之節頗有歉焉今我巡相閤下
金公相鎭因歲大侵監賑于列邑苃弊境聞校執殘薄
特爲劃付百緡錢以助之甚盛事也通與一鄕士及謀耶壽
其惠同辭以白于地主李公輔仁曰相公之思不在物置出
於尊聖衛道之誠則隨手散用以沒其德非冝也遂分俵
於各里立爲契券逐年收殖以補校同凡我一鄕縫章孰不

竭蟨奉承俾我相國曠世之擧永有辭於來許也玆書
節目列于左方
一,劃付百緡錢植本一邑之大小坊里區別錢數之多寡
式列存本取利永久勿替事
一,春秋享禮時取其利折其半以補兩等需用事
一,補校餘錢袺椐振資長以爲春秋講學事
上之十五年乙丑十一月日
都有司郭明奎
掌儀金用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