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7년 예안향교(禮安鄕校) 교궁중수시문서(校宮重修時文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XG.1847.4717-20130630.Y1311707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부조기
작성주체 예안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작성시기 1847
형태사항 크기: 33 X 30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현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47년 예안향교(禮安鄕校) 교궁중수시문서(校宮重修時文書)
정미(1847)년 중수시 문서를 시작으로 신미년(1871) 수리기사, 단군기원 4280년(1887) 추향시기사를 부록하였고 각 문서마다 서원과 향중, 문중 및 교생의 부조를 기입하고 있다. 정미년의 중수는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 서재, 신문, 제기고, 강청, 고실, 행랑, 대문을 수리하는 대대적인 공사로 4월 3일에 시작하여 9월에 마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어 신미년에는 중수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금 수리의 필요가 생기니 정미년의 고사에 따라 다시금 수리한다고 기록하고 있고 마지막 문서에서는 추향시에 서원 및 문중으로부터 보조를 받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윤정식,이수환

상세정보

丁未 4월에 향교 중수시의 書院과 鄕中, 門中 및 校生들의 扶助를 기록하고, 부록으로 辛未年의 수리에 관한 내용도 첨부한 禮安鄕校 〈校宮重修時文書〉
[내용 및 특징]
丁未(1847)년 중수시 문서를 시작으로 신미년(1871) 수리시기사, 단군기원 4280년(1887) 추향시기사를 부록하였다. 각 문서의 내용은 향교의 건물 수리에 대해 각 서원별의 부조기와 향중의 부조기, 문중별주보기, 교생부조기 등을 기록하고 있는 순서로 총합이 16장으로 되어 있다.
정미년의 수리는 乾坐巽向과 明倫堂, 東齋, 西齋, 神門, 祭器庫, 降廳, 庫室, 行廊, 大門을 4월 초 3일에 시작하여 9월에 마치는 대대적인 공사였다. 도산서원을 비롯하여 8개서의 서원과 향중과 문중, 그리고 교생들의 부조로 비용을 충당하였다고 기록하고 都監으로 金崗翰李一相, 李彙秀, 李鏞淳이 등재되어 있다. 부록되어 있는 신미년 수리시 기사는 향인 李翊相이 헌종정미(1847)년에 향교의 건물이 오래되어 명륜당과 재실, 강청, 제기고 등을 수리하였는데 불과 10여년이 지나지 않아 건물의 주춧돌은 기울고 담장이 무너지고 있는 실정이니 정미년의 고사에 따라 각 문중별로 돈을 거두어 수리하고자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어서 각 서원과 향중, 문중 및 교생의 부조를 기입하고 있다. 이어 1887년에 추향과 관련하여 서원 및 문중에서 보조한 금액을 부기하고 있다.
통상 향교의 중수나 이건 등의 공역이 있을 때에는 儒錢을 수봉하여 그 경비를 충당하는데 이 문서를 그러한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향교는 국가로부터 지방의 교화와 교육이라는 목적을 부여받는 동시에 토지와 노비를 주요 경제적 기반으로서 분급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재정 기반은 조선조 전 시기에 일정하게 관리, 유지되지는 못하였다. 조선사회가 시간이 흐르면서 겪게 되는 사회 경제적 변동은 물론이고 향교를 기반으로 향촌사회의 주도권을 행사하고자 했던 인적구성원의 변동과 이를 둘러싸고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향촌 사회의 교육, 교화 기관으로서의 향교의 역할의 변동과 재정 기반의 약화를 막을 수는 없는 것이었다. 특히 향교와 관련된 건물을 수리하는 등의 일은 단기간에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었기 때문에 향교 운영에 있어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향교 중수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유전을 수봉하는 것이었다. 이 문서가 작성된 비슷한 시기의 梁山鄕校의 〈향교중수기〉(1864)를 보면, 奧在癸亥秋 余與玆士 鄕中章甫 憫校宮之傾圯 斂儒戶略干錢 仍舊而葺之 安君景祿幹其役 文廟明倫堂東西廡齋 輪焉奐焉 豈非斯文之大幸乎 라 하여 고을의 장보들이 교궁이 퇴락한 것을 보고 유호마다 약간의 돈을 거두어서 옛날과 같은 모습으로 수리하여 지금은 문묘와 명륜당, 동·서재가 정비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향교 중수의 일반적인 관행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문서에서는 인접한 지역의 서원, 본관, 생원 등에서 부조한 것만이 기록되어 있는데 유전이 각기 제각각이라서 통상적으로 사림들이 스스로 결정하여 갹출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하겠다. 《三嘉鄕校校宮誌》의 1826년 10월 1일에 각 면의 尊位와 面任에게 전령한 내용을 보면, 今番校宮之役 所謂儒錢等錢也 初非官家之收斂與勒捧也 乃是一邑士子之至願也 不然則校會堂中 爛商公議 出於大同至正之與 則凡爲方領園袂之服聖服 言聖言者 不敢異議於其間是矣 라 하여 유전이나 등전은 관에서 늑봉한 것이 아니고, 사림들이 스스로 원하거나 향교에서 논의를 거친 후 결정하여 갹출한 것이므로 다른 이의가 있을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런데 등전을 교중에서 사림들이 의논하여 임의로 정했기 때문에 요호들은 불만이 있었을 것이다. 이에 대해 향교에서 요호들로부터 등전을 수봉할 때에는 수전유사 외에 존위가 입회하게끔 조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요호들은 향교의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당시 유림들이 유전을 내지 않을 경우 免役의 특전을 박탈당하여 充軍도리 정도로 향교의 결정이 대단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던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를 거부했을 때 요호들은 더 큰 경제적 손실과 불이익을 감수해야만 했기 때문인데, 예안향교의 중수문서로서는 일반민호나 饒戶들에게 어떠한 경제적 비용을 부담하게 하였는지는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향교 중수라는 공역에 부조금을 낸 경우를 보면 예안의 陶山書院, 東溪書院, 안동 易東書院, 汾江書院, 磨谷書院 뿐만 아니라 진주 淸溪書院, 문경 寒泉書院 등 비교적 멀리 떨어진 지역의 서원과 60家가 넘는 문중 등으로 다양하다. 이는 예안향교가 당시 이 문서가 작성될 당시의 향교 위세를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예안향교가 단순히 안동예안지역의 유림뿐만 아니라 인접지역의 유림까지도 포함하는 汎儒林의 거점이었음을 짐작케 해 준다.
[자료적 가치]
향교의 중수나 이건 등의 공역이 있을 때에는 儒錢을 수봉하여 그 경비를 충당하는데 예안향교에서도 향교중수에 있어 유전을 수봉하여 중수를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특히 예안향교는 지리적 위치를 고려해 보았을 때 인근의 서원을 비롯하여 여러 문중과 향중의 유림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부터 전폭적으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하겠다. 예안향교 중수와 관련하여 시기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다른 문서가 없어 지원 금액에 대한 절대적 비교를 할 수는 없지만 부조금을 지급한 각 기관 및 문중, 향중의 유림들의 명단을 보면 여타 향교에 비해 많은 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고 하겠다.
도산서원은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호계리에 있는 서원으로 李滉이 별세한 지 4년 뒤인 1574년(선조 7)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陶山書堂의 뒤편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것을 시작으로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는 동시에 영남유림의 정신적 중추 구실을 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당시에 없어지지 않고 존속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 현재 이 서원은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도산서원 전교당은 보물 제210호, 도산서원 상덕사 및 정문은 보물 제211호로 지정되어 있다. 역동서원은 1570년(선조 3) 退溪 李滉의 발의로 고려 말기 학자 禹倬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인근의 사족과 수령들의 협조를 받아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 우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원래 낙동강 상류인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 오담에 창건하였으나, 1684년(숙종 10) 사액을 받은 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훼철되었다가 1969년 현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동대학교 내에 이건·복원되었다. 분강서원은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서원으로 1613년(광해군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李賢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鄕賢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것을 시작으로 그 뒤 1700년(숙종 26)에 서원으로 개편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으며, 1967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마곡서원은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구송리에 있었던 서원으로 조선시대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卞秀孫·金有庸·李完·金生溟·朴士熹·柳贇·尹義貞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祠宇인 崇烈祠, 강당인 敬慕堂을 비롯하여 東齋·西齋·奠祀廳·神門·정문 등이 있었다.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지금까지 복원하지 못하였다. 한천서원은 현재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원촌리에 있었던 서원으로 1717년(숙종 4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26년(영조 2)에 ‘寒泉’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현재는 寒泉精舍와 충청북도기념물 제46호로 지정된 永同宋尤庵遺墟碑만 남아 있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윤정식,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7년 예안향교(禮安鄕校) 교궁중수시문서(校宮重修時文書)

丁未四月初三日
冊張合十六
辛未修理文書
校宮重修時文書
乾坐巽向
明倫堂
東齋
西齋
神門
祭器庫
降廳
庫室
行廊
大門
四月初三日始役九月畢
各院扶助記
陶山書院 陸拾兩
易東書院 拾陸兩
淸溪書院 參拾兩
汾江書院 拾參兩
東溪書院 參拾兩
洛川書院 伍兩
磨谷書院 貳拾玖兩
寒泉精舍 壹兩
鄕中扶助記
上溪淸州宅 伍兩
內遁翼洞宅 參兩
丹洞高▣宅 壹兩
新安▣▣宅 壹兩
知▣▣▣宅 貳兩
▣南參判宅 貳兩
新安道▣宅 壹兩
外遁宜仁宅 壹兩
巨村宅 壹兩
西村印谷宅 貳兩
沙溪宅 壹兩
佳邱宅 壹兩
虎洞三山宅 伍戔
梧桃沈進士宅 參兩
川上進士宅 伍兩
善山宅 壹兩
知禮衡湖宅 貳兩
遠村承旨宅 參兩
西村龍亭宅 壹兩
孝巖伍兩巖宅 壹兩
▣▣烏川宅 壹兩
酉谷宅 壹兩
靑邱烏川宅 參兩
下溪正言宅 貳兩
虎洞草田宅 壹兩
校洞養眞(?)宅 壹兩
下溪法田宅 壹兩
遠村坪城宅 壹兩
宜仁(?)眞(?)宅 壹兩
雲谷鍾山宅 壹兩
溫惠河回宅 貳兩
盾洞河回宅 壹兩
陶洞大谷宅 壹兩
沙川梅溪宅 壹兩
宜仁芝厓宅 壹兩
三峴宅 壹兩
陽坪安城宅 拾兩
下溪校前宅 伍兩
西村北向宅 壹兩
浮浦道津宅 壹兩
川前川▣宅 貳兩
盾洞▣谷宅 壹兩
官家貳拾兩
鄕中冠下錢
下溪李氏門中 租九斗二刀
內遁金氏門中 租口頭五刀
新安南氏門中 錢一兩二戔
浮浦李氏門中 錢二兩七戔
外遁金氏門中 錢二兩
西村朴氏門中 錢一兩三戔
許氏門中 錢八戔
李氏門中 錢九戔
柳氏門中 錢一兩一戔
吳氏門中 錢三戔
盾岩尹氏門中 錢五戔
上溪李氏門中 錢二兩三戔
溪南李氏門中 錢六戔
川前金氏門中 錢一兩五戔
宜仁李氏門中 錢二兩一戔
崔氏(?) 錢一戔
城隍金氏門中 錢一兩
松谷李氏門中 錢四戔
丹砂李氏門中 錢三戔七卜
安氏門中 錢二戔
下溪李氏門中 錢四戔
溫惠李氏門中 錢一兩
蟄窩門中 錢五戔
三栢堂門中 錢三戔
安知朴氏門中 錢五戔
新沙李元漢冠 錢一戔
知禮權氏門中 錢六戔
大谷 (靑)邱 沈氏門中 錢一兩七戔
琴氏冠錢 一戔
權氏冠錢 一戔
(?)(?)李氏門中 錢六戔
城隍 陶洞 李氏門中 錢一兩二戔
田(?)成氏門中 錢二戔
梧桃沈氏門中 錢四戔
上里朱氏冠錢 一戔
上里新基金氏冠錢 一戔
上里金氏冠錢 一戔
大谷宋氏冠錢 一戔
權氏冠錢 一戔
靑邱孫氏門中 錢一戔
浮浦琴氏門中 錢一兩二戔
沙川金氏門中 錢一兩
西面安東金氏門中 錢三戔
西面宣城李氏門中 錢二戔
雲谷李氏門中 錢五戔
丹洞李氏門中 錢四戔
(?)田權氏門中 錢二戔
李氏冠錢 一戔
剡村李氏門中 錢一兩一戔
安知權氏門中 錢二戔
沙(?)李氏門中 錢五戔
朴氏冠 錢一戔
曺氏冠 錢一戔
安興洞李氏冠 錢一戔
彔田李氏門中 錢五戔
溫惠任氏門中 錢一兩八戔
孤山李鉉受
李鉉璧
李得永 冠 錢三戔
道谷李氏冠 錢一戔
上川金氏門中 錢四戔
浮浦(?)陰琴氏門中 錢四戔
邑中(?)(?) 錢十五兩 四月卄日▣▣▣▣
(?)(?)租二石
烏川金氏門中 三兩
盾洞申氏冠下 一戔
芝禮權宗郁 十四兩九戔
大谷權貞大 十兩▣▣▣
梨田姜大興 五兩▣▣
校生扶助記
松(鼎)朴元(彦) 四兩
燕谷朴永(秀) 三兩五戔
(?)谷崔厚甲 三兩
古井朴(運周) 四兩
東谷金致▣ 四兩
金致祥 三兩
金其範 三兩
葛谷林日興 三兩
於里朴宅(慶) 三兩
(?)乙(?)林彭令
林東俊 十五兩
彔田李永允 十兩
田頭李重鉉 十兩
龍壽寺白紙壹張 上(?)東西(?)塗(?)
邑中各廳資備 錢一百兩
上里奴金乭贖 錢一百八十五兩 ▣二▣▣
都己上合錢七百十四兩二戔一卜內
五兩立柱時木手例下
一兩三戔二卜白木二十二尺価
十兩上樑時木手例下
三兩五戔六卜上樑祭需及雜(?)下
九兩木手九名衣(?)下
二百四十七兩木手(工)価下
十八兩一戔盡尾(工)価下
二十六兩土(工)(?)価下
二十一兩六戔鉅刀(工)価下
十五兩冾(工)(?)価下
三十二兩二戔(?)(?)盡尾土(?)吋崔人下
三兩九戔八卜安興洞兩冾伐木時下
一戔五卜下元塘伐木吋下
二戔孤山道木時下
五戔四卜骨(?)伐木時下
四戔八卜古里(?)伐木時下
三戔安興洞運材時下
五戔二卜遵菴伐木時下
一戔四卜龍壽伐木時下
二戔四卜邑藪伐木時下
二戔下浮伐木時下
五戔(?)泉鉅刀(工)価下
二戔邑(?)(?)価下
一戔八卜(牎)戶紙六張価木手所居(?)修(?)下
三戔九卜(?)(?)(?)(?)価下
二兩五戔上樑吋白木一疋価下
二兩九戔大廳塗(?)及張版紙価下
四戔八卜(牎)戶紙十六丈価(?)(?)塗牎及(?)(?)(?)(?)(?)
一兩四戔四卜(?)(?)(?)(?)紙及丈書冊紙価下
一戔三卜(?)価下
一兩五戔平(?)十立価木手下
一兩三戔(?)一竹価下
八戔五卜沙器十竹価下
一兩五戔席子三立価下
一戔(?)(?)(?)(?)(?)
二戔五卜泥土時(?)(?)器二(?)価下
七兩五戔塩価下
十兩四戔二卜甘(?)価下
三十六兩五戔材木価下
十七兩二戔五卜(?)錢(?)十五兩具三(?)利報下
二戔二卜道(?)古(?)(?)(?)材(?)下
十四兩三卜南(?)価下
十三兩六戔七卜錢(?)価下
七兩(?)戔七卜麻▣▣▣価下
六十九兩九戔六卜酒価下
八兩九戔三卜木手六(?)(?)価下
四戔(?)価下
二戔二卜軟鷄価下
一兩九戔二卜木手▣▣▣価下
三戔(?)子二柄価木(?)下
一百十八兩二戔六朔(?)(?)米価下二十五石十斗七(?)合
二兩木手古(?)下
五十九兩八戔五卜(?)価下
九戔▣▣▣
七戔一卜眞油価下
二兩眞(?)価下
三兩菜(?)価下
十兩七戔二卜▣▣▣正六石七斗五刀価下
二戔▣石価下
一戔五卜▣価下 ▣▣▣▣
二戔六卜白炭価下
己上用下錢六百九十五兩六戔六分
在錢十七兩五戔五卜內
四兩三戔四卜時(?)三名食母一名別下
一兩八戔六卜戊申四月▣▣▣下
在錢十一兩三戔五卜
書院扶助記 戊申七月十五日▣▣▣
陶山書院 參兩
易東書院 壹兩
淸溪書院 貳兩
汾江書院 壹兩
東溪書院 貳兩
洛川書院 壹兩伍戔
磨谷書院 貳兩
合錢十貳兩伍戔
合在錢(?)(?)參兩捌戔伍卜內
六兩二戔大米十二斗二刀価
一兩五戔(?)米三斗価
五戔 曲子価
一兩三戔八卜(?)魚二(?)価
五戔(?)価
捌(?)(?)(?)価
四戔三卜南(?)価
二戔 ▣▣
四卜 眞油価
二戔二卜 ▣▣価
五戔▣▣ ▣▣
四兩三戔 ▣価
十兩 白紙一(?)価
九戔五卜 白紙一▣▣▣▣▣▣▣▣▣▣▣▣▣
用下合錢二十三兩六戔五卜準下
眞(?)三斗在庫眞處塗(?)吋下
都監
金崗翰
李一相
李彙秀
李鏞淳
辛未修理時記事
粤在
憲宗丁未鄕內先父老重修校宮上自明
倫堂傍及齋室降(?)祭器庫可謂
一新矣(?)過數十餘年尾礎傾圯坦
墻頹壞鄕之僉君子爲是之惧乃出
幹事人某某排捧各門中如干錢而一
丁未故事修葺塗褙之餘付之校宮
以補不足此豈非斯文之幸耶窃念環一
區諸學宮一朝見撥獨此 夫子之廟
爲士子依歸之所入此堂掌此任者益勤
絃誦之業胥勉詩禮之敎無忝我
退陶夫子之遺訓報谷先父老繼先裕後
之意則乃吾烈之幸惟願僉君子勗哉
勉哉丁未之役家兄在監蕫之任而則今
十數年間不肖家弟又(?)幹事之役追
惟往蹟只增愴憾而(?)未知此後幾十年
各門後生(?)(?)此任而重新之如今之倣
古者否乎功告(?)不可安識畧記顚末如
右 鄕人李翊相
各院扶助記
陶山書院 貳拾兩
淸溪書院 貳拾兩
汾江書院 貳拾兩
東溪書院 貳拾兩
洛川書院 貳拾兩
磨谷書院 貳拾兩
雲溪書院 拾兩
鄕中扶助記
上溪東萊宅 壹兩
龍溪洪州宅 拾兩
溫惠高山宅 拾兩
遠村大監宅 壹兩
溪南忠州宅 貳兩
(?)南三陟宅 貳兩
宜仁護軍宅 壹兩
川前進士宅 貳兩
烏川後凋堂 貳兩
虎洞川上宅 貳兩
靑邱芳岑宅 壹兩
梧峴沈進士宅 伍兩
芝村鄭座首 壹兩
宜仁崔生員宅 壹兩
各門中扶助記
烏川後凋堂門中 參兩伍戔
雪月堂門中 壹兩
濯淸亭門中 貳兩
川前金氏門中 貳兩
上川金氏門中 伍戔
芝厓李生員門中 壹兩
浮浦李氏門中 壹兩伍戔
琴氏門中 壹兩
何陰琴氏門中 參戔
申氏門中 伍戔
浮上金氏門中 伍戔
虎洞李氏門中 壹兩
川上趙氏門中 壹兩伍戔
芝村鄭氏門中 參兩
下溪宅 貳戔
琴氏門中 貳兩
葛(?)權氏門中 貳戔
趙氏門中 壹兩
金氏門中 伍戔
還洞金氏門中 伍戔
大谷李氏門中 壹兩
沈氏門中 壹兩
尹氏門中 參戔
退峴孫氏門中 貳兩
靑邱沈氏門中 壹兩伍戔
城隍李氏門中 壹兩
一善金氏門中 伍戔
養正堂金氏門中 壹兩伍戔
梧峴沈氏門中 貳兩
梨野李氏門中 伍戔
泗川權氏門中 貳戔
回芳權氏門中 伍戔
金氏門中 貳戔
皮朴李氏門中 壹兩
松谷李氏門中 伍戔
夫毛權氏門中 貳戔
宜仁李氏門中 貳兩
剡村李氏門中 壹兩壹戔
下溪李氏門中 壹兩伍戔
遠村李氏門中 壹兩伍戔
丹砂李氏門中 貳兩伍戔
上村李氏門中 參兩
川砂金氏門中 伍戔
安氏門中 貳戔
項谷李氏門中 壹兩伍戔
綿村李氏門中 壹兩
南氏門中 伍戔
金氏門中 伍戔
陽參金氏門中 壹兩
佳仕琴氏門中 壹兩
淵皐趙氏門中 貳兩
廣石琴氏門中 壹兩
李氏門中 伍戔
汾川李氏門中 參兩
靑峴李氏門中 壹兩
陽坪李氏門中 貳兩
溫惠老松亭門中 貳兩
三栢堂門中 壹兩
蟄窩門中 壹兩
上溫任氏門中 壹兩
吳氏門中 貳戔
中村李氏門中 伍戔
梅亭李氏門中 壹兩
雲谷李氏門中 壹兩伍戔
葛洞李氏門中 壹兩
孤山金生員 伍戔
斜谷琴生員 伍戔
金生員 壹兩
石橋李氏門中 貳兩
佉野朴氏門中 貳兩
新安南氏門中 壹兩
金氏門中 參戔
英陽金氏門中 貳戔
都致許氏門中 伍戔
沙川柳氏門中 壹兩
金氏門中 壹兩
知禮吳氏門中 伍戔
李氏門中 壹兩伍戔
權氏門中 參戔
鹿田李氏門中 伍戔
權氏門中 伍戔
安知朴氏門中 參戔
外屯金氏門中 伍戔
內屯金氏門中 貳兩
魚(?)尹氏門中 貳戔
聖永金氏門中 參戔
退峴柳氏門中 壹兩
校生扶助記
白哲文 壹兩伍戔
李時彔 壹兩伍戔
李德龍 壹兩
李性在 壹兩
李重彔 壹兩
孫鳳羽 柒戔
林敬先 柒戔
李箕先 捌戔
朴在文 七戔
朴萬發 柒戔
林斗哲 壹兩
林國正 貳兩
林弘洛 貳兩
朴永壽 壹兩
曺正雲 貳兩
李龍哲 壹兩
朴在九 壹兩
崔白雲 伍戔
李宗伊 壹兩
權彭壽 壹兩
宋郁文 壹兩
申龍伊 壹兩
安岳伊 參兩
檀君紀元四二八0年丁亥秋享時記事
鄕校之有釋奠由來遠幷凡橫目而二足者疇非生息(?)
夫子之道化育(?)夫子之敎(?)誠如是也斷不可(?)一日之所
而遽撤其久成之禮况(?)耶設使有大故而去之其(?)人
儒之至且仍爲(?)歲乙酉秋天(??)我邦國彼日本見
下(?)西羙而沍山乃自若(?)爲吾族(?)喜犭當(?)如而顧
又天人未合擬議相垂新(?)不(?)信故者不(?)從新一種
(??)至有夫子廟撤享之擧鳴(?)是(??)出(???)
口耶有田而不使納享有貸而不(?)助(?)遂致一春一秋
之怨(?)余適忝在校(?)百爾思(?)不知所出乃(?)典校李
氏在鎬(?)鄕之(?)父老曰若(?)(?)安古号稱鄒魯不(?)隨
衆自安而生視其卒(?)(?)則處之不有其(?)(?)父(?)咸曰善
或生等或生貸(?)(?)紙燭以行奠享之(?…?)甚無猶
愈(?…?)儀不在物夫子無曰(??)
(?…?)順天后人金秉兌(?)識
典校 李在鎬
掌議 金秉兌
金世榮
李鍾武
各院收合金
陶山書院 貳千圓
洛川書堂 壹千圓
汾江書堂 壹千圓
磨谷書堂 壹千圓
東溪書堂 壹千圓
道溪書堂 壹千圓
寒泉精舍 壹千圓
眞城李氏門中 貳千圓
合壹萬圓也
申煥善 三百圓
戊子正月二十九日
鄕中各門收歛記
陶山書院 白米 一斗
上溪李氏門中 白米 一斗 文 五百円
上溪參奉宅 生栗 一升五合
下溪李氏門中 白米 一斗 文 五百円
宜仁李氏門中 白米 一斗 文 四百円
溫惠老松亭 白米 五升
兜溪精舍 文 五百円
三栢堂 文 五百円
浮浦琴氏門中 文 八百円
(蘓)亭南何有(?) 文 三百円
靑邱沈氏門中 文 五百円
川前金氏門中 文 七百円
汾川李氏門中 文 千円
沙川金氏門中 文 五百円
柳氏門中 文 四百円
西村朴氏門中 文 三百円
金氏門中 文 二百五十円
李氏門中 文 二百円
許氏門中 文 三百円
英陽金氏門中 文 二百円
安知朴氏門中 文 三百円
烏川金氏門中 文 千円
三臺金氏門中 文 八百円
道川李氏門中 文 五百円
溫惠任氏門中 文 五百円
寒泉精舍 文 二百円
知三權氏門中 白米 一斗
知禮吳氏門中 文 三百円
溪南 申煥善 白紙 八張
文合壹萬壹千四百五十(?)
新冊張十八丈
辛未八月初九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