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20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XG.1720.4717-20130630.Y1311705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예안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20
형태사항 크기: 27.5 X 23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
현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

안내정보

경자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숙종46년(1720)에 작성된 예안향교 《경자향교전답안》이다. 속 표지에 ‘경자양 향교전답안’이라고 되어 있어 이 문서는 조선시대 마지막으로 실시된 숙종 말년인 경자년(1720)의 양전사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전답안임을 알 수 있다. 1720년 시행된 양전사업과 더불어 작성되어 양안과 동일한 격식으로 작성되어 있으나 기주가 등재되어 있지 않다. 먼저 토지의 자호를 기록하고 지번의 순서, 토지의 등급 및 토지의 형태를 기록한 다음 전답필지의 결부수를 기록하고 크기를 기록해 두었다. 마지막으로 반작 또는 시작으로 표시된 토지 경영의 형태와 경작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 硏究』, 오영교, 2001, 혜안
윤정식

상세정보

庚子年(1720)에 실시한 量田 사업과 함께 작성한 慶尙道 禮安鄕校 鄕校田畓案
[내용 및 특징]
1720년은 조선시대 마지막으로 量田이 실시된 해로 이 문서는 문서의 속 표지에 ‘庚子量 鄕校田畓案’이라고 하여 양전과 더불어 작성된 전답안으로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打量’이라 하여 토지를 실측한 자료도 함께 기록이 되어 있다. 토지의 등급을 세분화하였고 토지의 형태에 따라 기록하였으며 크기를 長廣의 형태로 표시하여 보다 정확한 전답안의 형태를 갖춘 것이라 하겠다. 1720년에 실시된 양전사업이 향교전답안의 기록과 형식의 측면을 이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을 반영하였고 이 후 작성된 전답안의 기준이자 토대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는 문서라고 하겠다.
鄕校田은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太宗代부터 정식으로 향교에 學田이 지급되고 있었다. 태종 이후 學田의 액수는 몇 차례 조정되었고, 成宗 23년의 『大典續錄』에 이르러서는 군현의 등급에 따라 10~5結로 차등지급되었다. 그 후 『續大典』에 學田. 成均館 400結, 四學은 각 10結, 州府鄕校는 7結, 郡縣鄕校는 5結 로 學田은 다소 축소 지급되었다. 나라에서 지급한 학전은 소유권이 아닌 收租權만을 준 것이었다. 이 같은 결수는 세종대에 책정된 액수에 비하여 5배가 축소된 것으로 향교의 피폐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고 보여 진다. 이렇게 축소된 田土도 실제로 조선후기에 내려오면서 元額대로 유지하고 있지 못한 향교가 태반이었으며 지방수령의 향교에 대한 관심 여하와 鄕班 등의 노력 여하에 따라 학전은 다소 확충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향교에는 나라에서 지급한 학전뿐만 아니라 향교가 소유권을 가진 토지도 있었다. 향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체 마련해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사항 등의 전반을 土地臺帳으로 작성하여 현전하고 있는 것이 田畓案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전은 守令, 御使 등이 전답을 조처해서 향교에 입속시키거나, 興學에 관심이 큰 수령이 부임하여 향교에 내준 돈을 가지고 儒生들이 전답을 매득하는 경우이다. 매득은 대체로 향교재정을 운영하면서 남은 돈을 가지고 토지를 買入, 확대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유생이나 군현의 양반들이 儒錢을 갹출하여 교전을 매입하는 예도 있었다. 〈盈德鄕校立議說〉에 본교에 소속된 田地가 본디 넓지는 않았는데 근래에 일을 맡은 여러 사람들이 조처를 바르게 하지 않아 모두 典賣하였다. (중략) 이에 一鄕의 齊會가 公議會同하여 마침내 유중에서 동전 100文을 收擧하였고 수일이 안되어 돈궤미를 가지고와 納付하니 약간의 돈이 모였다. 이에 典賣人에게 본 값을 보상하고 저당문서를 돌려받았다. 早田 2石 2斗落, 水田 6石 3斗落 5升이었다. 고 한 것이 그러한 예가 되겠다. 또한 寄贈이나 願納으로 교전을 마련하는 경우인데 이는 대체로 당시 향교에 관여하고 있었던 양반사족들에 의해 조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으로 西齋生에 의한 願納도 있었다. 그리고 철훼된 書院, 祠宇의 전답을 향교에 소속시키는 경우 등으로 마련되고 증가되었다. 반면 향교에 따라서는 중간에 재정의 부족으로, 또는 校任 등의 농간에 의한 流用으로 교전이 매각되기도 하였으나 전답이 항구적인 재정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교전은 다시 복구되고 새로 매입되는 등 필요에 따라 매매되고 있었다.
이 전답안에 의하면 畓이 2結 95負 5束, 田이 3結 62負 1束으로 합이 6結 57負 6束으로 1년 전에 작성된 〈기해전답안〉에 비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크게 변동 폭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록된 전답이 수조권만을 지급하는 학전과 어떻게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유지, 관리되어 왔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사실은 향교 건립 후, 300여 년이 지난 시점의 문서라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학전은 給租中斷, 官에서의 轉用 등의 우려가 있는 것인 반면 향교의 안정적인 경제기반으로서의 사유지, 즉 교전이 반드시 필요했을 것이고, 이 문서는 당시의 예안향교의 교전의 대강을 살펴볼 수 있는 사실을 기록한 것이라고 하겠다.
打量을 한 다음 마지막으로 향교전의 경영형태를 살펴볼 만한 기록이 있는데 불분명한 것과 교기를 제외하면 半作과 私作으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반작과 사작은 향교의 전답이 소작의 형태로 이뤄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전답안의 내용만으로 그 소작인이 兩班이었는지 平民以下의 作人이었는지를 분간할 수는 없다. 다만 교위전답에 대해 반분할 때 士林이라 자칭하면서 半分하지 않거나 定禾後에 억지를 부려 납부를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가 하면 位田을 양반들이 執耕하고, 禾穀을 납부하지 않아 歲入이 줄어드는 등의 폐단이 잇달아 원칙적으로는 관에서 양반들의 교전 소작을 금지하였으므로 양반이 소작인으로 기록되지는 않았으리라 추정된다.
[자료적 가치]
1720년은 조선조 마지막으로 量田사업이 시행된 해였고, 이 문서는 그러한 양전사업과 연관하여 작성된 문서이다. 뿐만 아니라 전답을 조사하면서 打量의 결과를 함께 기록한 문서로 향교전답안의 기본정보로 제공되는 양이 한층 자세하게 기록되어진 문서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문서가 작성되기 이전의 예안향교 전답안이 바로 한해 전의 《己亥田畓案》이 1719년의 것이 전부여서 절대적인 가치평가 기준이 될 수는 없겠지만, 양안과 동일한 格式으로 작성되어 있고 起主가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半作 또는 時作 등으로 표시된 토지 경영의 형태와 耕作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등 이후에 작성되는 전답안의 기준이자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도 이것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데에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향교의 경제기반은 관에서 지급한 것과 양반유생들이 마련한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관에서 향교의 재정을 확보해준 것은 敎育과 祭禮의 기능을 충실히 이행하여 교육과 교화를 통한 조선왕조의 사회체제 유지의 필요에 의해서였고, 유생들은 향교가 그들의 활동장소이자 이해를 합산, 분출할 수 있는 鄕村機構였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형성된 재정의 수입과 지출을 적절하게 집행해야만 향교는 운영이 될 수 있는 것이었고 무엇보다 校田을 통해서 많은 수입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었기 때문에 무엇보다 교전의 관리는 철저해야 함은 물론이었을 것이다. 양전사업 또한 국가가 토지로부터 야기되는 여러 가지 폐단을 수습하고 세입을 확대시키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시행되는 일이었으므로 중요한 사업이었다. 조선왕조와 지방향교의 재정 확충과 제도정비라는 측면이 일정부분 만영되어 있는 문서로서 사료적 가치를 가지는 문서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 硏究』, 오영교, 2001, 혜안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20년 예안향교(禮安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庚子
鄕校田畓案
庚子量鄕校田畓案
庚子田畓打量案
■(地)字 三十四西犯六等反直畓 二卜四久 東西長五十尺 廣十六尺
槐川 三十五西犯六等直畓 一卜七久 東西長三十五尺 廣十九尺
員 三十六西犯六等直田 一卜二久 東西長五十尺 廣十尺
■(宇)字 一西犯四等句田 八卜九久 東西長九十三尺 西(活)三十五尺
鄕 二西犯四等六寸田 十一卜 東西長五十尺 西大四十五尺小三十五尺
校 三西犯四等寸田 五卜六久 東西長四十六尺 西大二十五尺 小十九尺 校基
洞 四西犯五等直田 二卜八久 東西長三十六尺 廣二十尺
員 九東犯四等村田 二十七卜四久 東西長百十二尺 西大八十一尺小八尺
十(南)犯西等直田 十二卜一久 東西長五十五尺 廣四十尺
二作南犯四等村畓 四久 東西長十五尺 東大七尺小三尺
十一東犯五等直畓 六久 東西長十六尺 廣十尺
十二東犯六等起田 一卜 東西長三十四尺 西活二十四尺 (金申日)
十三南犯五等起田 五久 東西長十八尺 東活十四尺 校基
二十東犯四等村田 五卜一久 南北長五十五尺 北大二十八尺小六尺
二十一北犯三等直田 二十一卜六久 南北長七十七尺 廣四十尺 性立私田基 (?)男鋤良(?)基
二作東犯三等裁直畓 七久 南小長二十尺 廣五十尺 有(奐)半作
三作北犯三等起畓 一卜五久 南小長二十七尺 北活十六尺
二十六四等直田 十一卜八久 東西長九十三尺 廣二十三尺 有卜半作
二十七北犯四等句田 三卜五久 東西長四十七尺 北活二十七尺 同人私作
宇字五十三西犯四等直田 二十卜二久 南小長而二尺 廣三十六尺 金學丈及地稅田 戊乭(洞)
■字二十一南犯二等直田 九卜七久 東西長五十二尺 廣二十二尺
二十二南犯二等村田 二十二卜三久 南小長七十三尺 北大五十尺小二十二尺 射斤地稅田
二作西犯越付(?)二等直田 四卜三久 南北長六十四尺 廣八尺 (?)
三作南犯二等直田 五卜九久 東西長二十八尺 廣二十五尺 (?)
坪洪一三等直田 五卜二久 南北長■百十四尺 廣六尺 地稅田
里■(員日)字 七十六南犯二等直田 十卜一久 南北長五十四尺 廣二十二尺 李汝奐 半作
二作南犯二等直田 一卜九久 東西長二十三尺 廣十尺 (?)
■月字 九十南犯三等句田 八卜二久 東西長而十七尺 北活二十尺
九十一四等圭田 一卜一久 東西長三十尺 東活十三尺
■字 五十一北犯六等村田 一卜八久 東西長四十尺 西大三十尺小七尺 玉(?)甲
■(具)字 六十二北犯六等直田 四卜九久 東西長六十尺 廣三十三尺 占伊地▣▣▣
■字 五十六北犯四等村田 八卜 南北長七十一尺 北大二十六尺 小十五尺 加伊半作
六十七北犯四等直田 十卜六久 東西長而七尺 廣十八尺 金地(?)
■字 四十北犯六等直畓 十三卜八久 南北長而三十八尺 廣四十尺 (千)年半作
■字 四十二作南犯四等直畓 二十七卜五久 南西長九十八尺 廣五十一尺 奉堂金半作
五十五東犯五等圭田 五卜八久 南北長六十尺 南北四十八尺 竜山半作
珠 五十六南犯五等直畓 七卜九久 南北長六十六尺 廣三十尺 金伊同伴作
十七所下六等裁直田 一卜九久 東西長四十八尺 廣十六尺 石立私作 代(?)伊
六十四北犯五等直畓 十一卜八久 東西長六十四尺 廣四十六尺 戊業 ■半分
■(奕)字 三十五北犯四等反直畓 十一卜九久 南北長五十二尺 廣四十一尺 玉立半作卽今園(?)
三十六北犯四等反村田 五卜四久 南北長五十六尺 南大二十三尺小十二尺 同人甲■
夜 二作西犯四等村畓 五卜三久 南北長六十七尺 南大十九尺小十尺 同人
■(化) 四十三東犯六等直畓 二卜六久 南北長三十六尺 廣三十尺
■(世) 四十四東犯五等直畓 二卜九久 南北長四十八尺 廣十五尺 石立▣▣
二作東犯五等直畓 二卜六久 東西長三十二尺 廣二十一尺
三作北犯五等反句田 二卜三久 東西長六十尺 中活十九尺 ▣…▣
四十八東犯五等直畓 十卜八久 南北長六十尺 廣四十五尺 加伊私作
四十九北犯五等直畓 八久 南北長二十尺 廣十尺 同人
五十五西犯六等反直田 三卜三久 南北長三十八尺 ▣…▣ 廣三十五尺
五十六西犯六等直田 二卜三久 南北長五十尺 廣十六尺 同伊▣▣
五十七西犯五等村畓 八卜二久 東西長六十七尺 西大三十二尺小二十九尺 殿直庫直私▣
五十八西犯六等直田 九卜 東西長九十五尺 廣三十八尺 特作於叱先死後▣▣▣
■字 五十九南犯六等直田 二卜七久 東西長五十尺 廣二十二尺 金同私作
七十三北犯六等直田 四卜九久 南北長五十八尺 廣三十四尺 石男私作
七十五北犯六等直田 二卜八久 東西長八十尺 廣十四尺 金同私作
七十六南犯五等起畓 一卜七久 南北長三十四尺 南北二十五尺 奉堂金私作
七十七西犯六等村田 一卜一久 南北長三十尺 南大二十尺小十尺 金同(松儿)
加東犯六等儥村田 一卜九久 南北長五十尺 北大二十二尺小九十尺 盤山■作
七十八西犯五等直畓 七卜九久 東西長七十三尺 廣二十七尺 於叱先半作
二作北犯五等直畓 一卜二久 東西長三十尺 廣十尺 同人
五西犯六等直田 六卜三久 東西長六十尺 廣四十二尺 奉堂金私作
六西犯六等直田 二卜五久 東西長四十三尺 廣二十三尺 同人
八東犯六等村田 二卜 南北長五十尺 小大二十五尺小七尺 世竜私作
二作東犯六等起田 一卜五久 東西長三十五尺 西活三十四尺 同人
十九北犯六等村田 五卜三久 南北長二三十七尺 南大二十六尺小五尺 突連私作
二十北犯五等村畓 十五卜一久 南北長百三十五尺 南大三十三尺小二十三尺 石立半作
廣十五加案越南犯五等直畓 五久 東西長三十尺 廣四尺
道二作■越南犯五等直畓 二久 東西長十五尺 廣四尺
十六東犯五等直畓 六卜 東西長七十尺 ▣…▣
十七 十八 二作 合北犯三等直畓 十三卜六久 東西長百▣▣ 廣十八尺 一石三斗
三作東犯五等直畓 二十五卜二久 東西長百八十尺 廣二十尺 甲生三斗落只三石▣
十九南犯四等直畓 四久 南北長十九尺 廣四尺
二十三南犯六等直田 二卜八久 東西長八十一尺 廣十四尺
致字 二北犯六等村田 四卜 東西長七十七尺 東大二十四尺小二十尺
二作西犯六等反直畓 八久 南北長二十三尺 廣十四尺
(雲) 三作南犯六等直田 四卜四久 東西長七十尺 廣二十五尺 ▣…▣
今二作西犯六等裁直田 二卜八久 南北長四十六尺 廣二十四尺 同人
西面(?)字 七十七南犯四等直畓 十九卜三久 東西長六十八尺 廣五十四尺 乭屎半作
湙字 四十四西犯六等直畓 四卜六久 南北長六十一尺 廣三十尺 壬生半作
五十五北犯四等直畓 四卜 東西長五十六尺 廣十三尺 介竜半作
火字百二十一西犯六等直畓 九久 東西長三十尺 廣十二尺
二作北犯六等直田 一卜七久 東西長三十二尺 廣二十一尺
三作北犯六等直田 二卜六久 南北長三十五尺 廣三十尺
四作西犯六等直畓 一卜二久 南北長四十▣尺 廣十尺
五作西犯六等直田 一卜一久 南北長三十四尺 廣十三尺
六作西犯六等直田 三久 南北長六十尺 廣二尺
帝字 一東犯六等直畓 三卜七久 南北長四十一尺 廣三十一尺
鳥字 二十一南犯五等句畓 七卜五久 東西長八十七尺 東活四十三尺
衣字 二十六甲三作南犯四等直畓 五卜六久 東西長▣…▣ 廣十三尺 衣(?)半作
二作東犯四等直畓 六久 南北長十五尺 廣九尺
有字 二十三北犯六等反直田 二卜七久 南北長百十尺 廣十尺 同伊私作
二十四西犯六等直田 二卜四久 南北長百五尺 廣九尺 同人
虞字 十四南犯四等村畓 十七卜九久 南北長百七尺 北大四十七尺小十四尺 突立私作
二十東犯五等圭畓 十卜 南北長百尺 南活五十尺 占世 突立 半作
二十一南犯五等直畓 三卜二久 東西長三十尺 廣二十六尺 永貴半作
二十六 二十七 合北犯五等直畓 五卜 南北長八十四尺 廣十五尺
一西犯五等直畓 二卜八久 南北長百尺 廣七尺 (?)
二西犯四等直畓 六卜六久 南北長百尺 廣十二尺
四十二 四十三 合東犯五等直畓 十四卜一久 東西長八十四尺 廣四十二尺 校奴(?)奐半作
■字 三北犯四等村畓 十五卜二久 南北長九十七尺 南大三十五尺小二十▣ 介叱同半作
二作西犯四等直畓 一卜八久 南北長八十二尺 廣四尺
十一南犯四等直畓 十五卜三久 東西長八十七尺 廣三十二尺 石立三斗落只三石(?)
罪字 十九北犯六等反直田 四卜五久 南北長六十尺 廣三十尺 羅仃乃半▣…▣ ■■■■
今字 一東犯六等句畓 二卜六久 東西長五十三尺 西活四十尺
二南犯六等村田 二卜一久 南北長五十三尺 南大二十五尺小七尺 刀尺▣▣
二作西犯六等直畓 一卜 南北長三十尺 廣十四尺
三■南犯五等村田 十卜二久 南北長六十二尺 南大五十六尺小二十尺 有卜半作四石七十四斗落只
十南犯五等直畓 十五卜四久 南北長六十三尺 廣六十一尺 石立半作七石二十六斗落只
二作西犯六等反直田 四久 東西長十八尺 廣五尺 (?)
十八南犯五等句畓 二卜一久 南北長四十六尺 南活二十三尺
二作南犯五等直畓 八久 南北長十九尺 廣十尺 (?)川
十九南犯六等直田 三卜四久 南北長六十尺 廣二十三尺 还退
良字 三十八北犯六等直田 五卜八久 南北長八十六尺 廣二十七尺 ▣▣半作
靡字 二十西犯五等村田 十一卜四久 東西長六十尺 西大六十尺小三十五尺 (?)巾半作
行字 百二十九東犯六等直田 七卜九久 南北長百六十六尺 廣十九尺 碧先半作衆九(?)
使字 十六加十一作六等裁直田 一卜一久 東西長三十七尺 廣十二尺 五(????)
十二作東犯六等直田 二卜一久 東西長六十尺 廣十四尺
川前員字 五十二刀十四負三束 (???) ▣…▣
榮川欲字 七十三田四十八束 七十四田四卜二束
月字 一百十五田二十六卜二束 一百十六田一卜五束
己酉買畓牛谷員釼字二畓八卜六束
直仁員罔字六十四刀四卜
畓二結九十二卜
田三結六十一卜
合六結五十三卜六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