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갑인년 예안향교(禮安鄕校) 전장문부(傳掌文簿)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XG.0000.4717-20130630.Y131171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장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전장기
작성주체 예안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형태사항 크기: 21 X 27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현소장처: 안동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갑인년 예안향교(禮安鄕校) 전장문부(傳掌文簿)
갑인년 5월부터 작성된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기록하여 인수인계를 하고 있는 장부이다. 제례시에 사용되는 각종 제수 및 제복의 지출,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부조금, 심지어 향교 전문의 자물쇠 사용비용까지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일정한 체제의 구분은 없는 편이나 대게 제례나 향례와 관련한 제수물품의 사용처 기입이 우선시되고 있고 그 후 여타의 향교 운영에 관해 지출되는 내용 및 수입 부분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윤정식,이수환

상세정보

甲寅년부터 향교의 재정 출납에 대해 전임자가 후임자에게 인계하는 내용을 담은 禮安鄕校 傳掌文簿이다.
[내용 및 특징]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甲寅年 5월부터 작성된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기록하여 인수인계를 하고 있는 傳掌文簿이다. 祭禮時에 사용되는 각종 祭需 및 祭服의 비용지출,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扶助金, 심지어 향교 殿門의 자물쇠 사용비용까지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일정한 체제의 구분은 없는 편이나 대게 제례나 享禮와 관련한 제수물품의 사용처 기입이 우선시되고 있고 그 후 여타의 향교 운영에 관해 지출되는 내용 및 수입 부분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왕조는 주자학을 지도이념으로 삼고 중앙에는 성균관·四學, 지방에는 鄕校를 통해 관학을 크게 장려하여 유교이념을 백성들에게 널리 보급하고 유교적 교양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며 향풍을 교회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지방에서는 선현을 봉사하는 ‘祠’와 지방자제를 교육하는 ‘齋’로 구성된 서원처럼, 향교는 서울 소재 성균관의 축소형으로 孔子를 위시한 聖賢을 제향하는 大成殿과 지방의 生徒를 교육하는 明倫堂의 2대 시설을 갖추고 이러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수행해 나갔기 때문에 文廟制度와 釋奠儀禮는 향교제도의 확립과 함께 일찍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이래 관학의 쇠퇴와 私學의 발달로 인해 교육적 기능은 점차 약화되고 유교주의의 시화와 함께 제향적 기능이 강조되었다. 특히 향교의 제례기능은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강화되었다. 문화이념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동요를 수습하는 데에도 제례의 강화는 필요하였던 것이다. 즉 경제적 변화, 사회신분적 변화에 대처하고자 조정과 양반사족들은 예속을 강조하였고 향교의 경우에는 선현에 대한 제례의 강화와 이를 통한 하층민에 대한 교화가 강조되었다. 이를 위해서도 향교에서는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재원이 필요한 것이었고 그러한 재원은 다양한 방법으로 확충되었다.
향교 재정의 기본적인 기반은 국가로부터 분급받은 鄕校田과 鄕校奴婢였다. 이는 향교의 설립과 동시에 향교가 나라로부터 부여받은 관학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재정적 근간을 이루게 해 주는 것이었고, 조선 전 시기를 아울러서 향교 재정에 있어 절대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국가로부터 존치이유를 부여받고 운영이 되었기 때문에 지방 守令들의 財政補助도 향교에 있어 적지 않은 재원이었다. 특히 조선 초기에는 향교교육의 진흥을 ‘守令七事’의 하나로 규정하여 지방관으로 하여금 향교에 깊은 배려와 관심을 가지도록 했다. 물론 그 당시 향교의 설립취지가 관료양상에 있었다라기 보다는 化民成俗에 있었기 때문에 더욱 지방관의 기본과업의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정규적이지는 않지만 향교건물의 중수나 이건 등 대규모의 공사가 있을 시에 행해지는 儒錢의 收捧이나 향교에 입교하는 명목으로 받는 願納도 향교재정의 수입원이었다. 또한 校村 및 校保, 額外校生의 원납전과 免講帖, 屬寺 및 店人으로부터 징수하는 貢納, 鄕校復戶結 등이 향교를 운영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재원이 되었다. 이러한 재원을 바탕으로 향교는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先賢들에 대한 祭享을 수행하였으며, 향촌사회를 사회적 지배체제 하에서 교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한편 향교의 재정지출에 대해서는 각 향교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한데 안의향교 〈鄕校節目小序〉에, 凡財物委之校任 以日用所下 責之士林 斷斷不可 自戊戌七月爲始 別擇西齋中二人名爲典穀 每年應入應下 俱爲次知 每朔望焚香時 會計入鑑于校任着署 以季朔 有司親呈官家 憑考節目 當爲成貼 而如有違越之事 難免罪責者 이라 하여 향교의 모든 재물은 교임이 맡아서 처리하되 서재생 중에서 2명을 선출하여 전곡으로 삼아 매달 분향시에 회계하여 교임에게 서명을 받고, 유사가 그해 마지막 달에 관가에 가서 보고하면 관에서는 절목과 대조하여 성첩한다고 했다. 이처럼 향교재정은 비록 1년 단위로 그 결과를 관에 보고하고 성첩을 받고 있지만, 실제로는 향교에서 자치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예안향교도 크게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문서에서 관에 보고하거나 교임, 유사 등과 관련하여 역할 분담이 어떻게 이뤄진 것에 대한 대강은 파악하기 힘들지만 문서를 작성하고 유사와 재임이 수결하는 등의 흔적을 보아 자치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지출에 관한 부분이 대부분을 이루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춘추향사 및 각종 제례 등의 행사 때의 공궤가 주를 이루고 백일장 등의 응시자들에 대한 助錢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향교에서 주관하는 祀의 비용으로 지출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향교의 재정운영은 주지하다시피 수령의 책임하에 관리되다가 실질적으로 향교 구성원들의 자치에 의해 이뤄졌다. 특히 조선 중기 이후로 향교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변질되면서 지방관은 향교에 무관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향교는 더욱 피폐하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聖賢을 추모하는 마음이 극진하거나 지방교육의 부흥에 뜻을 둔 지방관들은 향교에 官穀이나 廩俸을 분급하여 향교재정에 한 몫이 되게 한 경우도 있지만 향교가 가진 실질적 기능은 폐단과 반비례로 축소·확대되면서 재정적 기반을 유지하여 향촌기구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향교로 작동하도록 만들려는 재지사족들의 노력이 수반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이 문서는 적어도 당시의 향교 재정 지출에 있어 엄격히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투과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자료적 가치]
향교의 재정 지출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향교에서 주관하는 祀의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파악한다는 것은 향교가 가진 교육적 측면이 서서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접어들면서 선현에 대한 제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가던 시기에는 향교의 기능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근간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서도 주로 제향시에 사용되는 祭需를 중심으로 하여 지출 사항을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기는 힘들어도 적어도 예안향교도 여타의 향교와 같이 교육적 기능을 점차 상실해가는 시점에 작성되어진 문서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향교의 지출에 관한 면을 살펴볼 수 있어 향교의 재정 운영의 주요 수입인 전답안, 노비안과 더불어 지출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1990, 일조각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慶尙北道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1992,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1998, 한길사
윤정식,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갑인년 예안향교(禮安鄕校) 전장문부(傳掌文簿)

甲寅五月日
傳掌文簿
十五兩(?…?)
四兩(?…?)
九兩(?…?)
十六兩(?…?)
五兩(?…?)
四兩(?…?)
四兩(?…?)
六兩(?…?)
二兩(?…?)
一兩(?…?)
一兩(?…?)
三兩(?…?)
五兩(?…?)
二兩(?…?)
一兩(?…?)
二兩(?…?)
五兩(?…?)
二兩(?…?)
五戔(?…?)
八兩(?…?)
六戔(?…?)
一兩(?…?)
一戔(?…?)
十一(?…?)
一(?…?)
一(?…?)
三(?…?)
二(?…?)
二(?…?)
二(?…?)
五(?…?)
五(?…?)
二(?…?)
五(?…?)
己上(?…?)
甲寅八月 釋
牲一首 十六兩五戔
(?)(?)(?)(?) 五兩五戔
(?)(?) 二戔
(?)(?) 三十三兩五戔五(?)
生(?)一首 八戔
(?)(?)三(?) 四兩九戔五(?)
(?)(?)(?)(?) 五兩五戔
(?)(?) 二戔
(?)(?) 三十三兩五戔五(?)
(?)子二升 二兩
(?)棗五十介 二兩
抽子一升 一兩三戔
文棗一斗 二兩
(?)栗一升 一兩七戔
(?)(?)三斗半 八兩六戔
梁米■(四)五斗■(半) 十一兩
桼米六斗 十三兩八戔
曲子四(?) 五兩八戔
燭四十二柄 五兩二戔五(?)
菹菜四(?) 三兩五戔
幣布六尺 一兩三戔
析(?)一(?) 二兩二戔
塩 一兩五戔
合一百二十三兩四戔五(?)
席子四立 十兩一戔
尊床(?)床牲床改修板価三兩
(?)物二(?)五(?)
木手工価 七兩五戔
役丁(?)(?) 三兩七戔五(?)
木手(?)価 三戔
松盤一升 四兩五戔
乃(?)觀(?)吋殿直(?)(?)二兩五戔
(?)(?)五尾 十二兩
(?)(?)一冊 五兩
木(?) 一兩一戔
白紙四卷 四兩八戔
(?)(?)六(?) 三兩九戔
(?)(?)二級 四兩四戔
白米十七斗六合三十九兩二戔六(?) 自六(?)(?)至十(?)(?)上 合床二百五十二床 (?)(?)米二斗並入 (?)斗一斗十六床
眞納 一兩
石納 六戔五(?)
(?)木價 七兩五戔
首旁馬丁貰文 七戔
菜(?)価 十二兩
(?)(?)(?)(?) 五兩
合一百二十九兩二戔一(?)
己上(?)下兩合二百五十二兩六戔六(?)
(?)(?)(?)(?)(?)
齋有司 李中肅
李裕容
文書▣▣倂 四戔
塗壁(?)粉倂 一兩
兩任床倂 一兩五(?)
首席(?)駄倂 二兩六戔
觀市(?) 四十兩一(?)(?) 八戔
殿直月料 六十兩
上合陸拾五兩八戔五(?) 十二月追勘
六(?)香(?)吋(?)(?)十二兩六戔
十月(?)鄕會浮(?) 三兩八戔四(?)
十二月初一日鄕會浮(?) 三兩六戔
十二月卄四日(?)會浮(?) 六兩
獄(?) 五兩
燭臺一雙 十兩六戔
(?)器十五介 一兩三戔五(?)
接匙十五介 一兩五(?)
鍾旨十五介 一兩五(?)
乙酉正月二十日差定吋 八兩六戔鄕會是(?)入
(?)(?)五戔五(?)
首席馬丁貰 一兩五戔
殿門鎖鐵 一兩
上合伍拾陸兩七戔四(?)
乙卯二月初二日 享禮吋
牲一(?) 十四兩二戔
犯魚五尾 三兩五戔
紅蛤二串 二戔五(?)
(?)(?)二脚米 三十二兩五戔
北魚一浮米 一兩五戔
柏子一刀 二兩
胡桃百二十介 一兩
大(?)二斗 二兩
生栗一刀 二兩
(?)米三斗(?) 六兩六戔五(?)
梁米五斗 四兩
香米七斗 六兩二戔
(?)子四(?) 四兩四戔
燭三十(?)(?) 一兩七戔
菹▣…▣
(?)席▣…▣ 二兩五戔
(?)塩一斗 一兩六戔
(?)(?)一(?) 一兩
大米五斗 九兩五戔
眞油 一兩
(?)魚四級 八兩八戔
海衣七(?) 一兩四戔
南草五(?) 二兩七戔五(?)
白米十一斗一合 二十兩四戔八(?)
菜(?) 十二兩
石油一器 六戔五(?)
甘萑五條 二兩二戔五(?)
燒木六駄 十一兩五戔
白(?)三米 二兩四戔
夜(?) 一兩六戔二(?)
首席驕丁貰 二兩六戔
殿直月料 四十兩
上合貳佰參兩玖錢五(?)
己上三合參佰貳拾陸兩五錢四(?)
己上都用錢三百三十兩五戔四(?)
殿直(?)(?)都合(?)三百二十二兩一戔九(?)
右(?)用不足八兩三戔五(?) (?)(?)(?)(?)(?)次
右付片(?)(?)(?)条(?)(?)(?)(?)(?)(?)(?)付
(?)(?)(?)(?)(?)(?)
首席 李中轍
齋任 李和聖
金東植
(?)齋任 李中吉 呈 學
沈章漢
(?)一首 一兩
(?)(?)稅 二兩五戔
八求通給四吋下人(?)(?) 五戔
己上合四兩(?)月八日(?)
乙卯八月初五日 享禮吋
牲一首 十四兩五戔
犯魚五尾 八兩八戔
紅蛤 一兩一戔七(?)
貰(?) 四十兩七戔
北魚 二浮 二兩六戔
柏子一刀寸 三兩
胡桃 三兩三戔
▣…▣ 一兩六戔
▣…▣ 一兩五戔
▣…▣ 三兩五戔
(?)米 五斗 九兩五戔
田米米 六斗 九兩二戔
栗米 七斗 九兩五戔
大米 七斗 十二兩三戔
(?)子 五(?) 四兩五戔
(?)(?) 卅四(?) 二兩七戔
菹菜 宲席 一兩五戔
(?)塩 一斗 二兩五戔
眞油 一兩五戔
(?)紙 二(?) 二兩二戔
香魚 四級 五兩六戔
(?)(?) 六条 三兩一戔
(?)魚 三尾 七兩三戔
三(?) 二尾 三兩六戔
(?)學 四(?) 四兩六戔
白米 十七斗 三十五兩二戔
菜(?) 十二兩八戔
夜(?) 五兩五戔
(?)木 十兩四戔
(?)子 三(?) 七兩
土器 二兩四戔五(?)
石(?) 二器 一兩二戔
(?)(?)稅 十一兩五戔
(?)稅 百一稅 一兩五戔
首席轎丁稅 二兩六戔
上合二百五十三兩八戔八(?)
七月初一日(?)(?)吋
十三兩一戔 (?)(?)(?)
一兩五戔 首席(?)
己上合十四兩六戔
弟墨 八戔五(?)
(?)(?)稅 二兩五戔
(?)(?)吋下人行資 一兩
五次香(?)(?) 十兩五戔
殿直(?)(?)(?) 二兩
殿直月料 六十兩
己上合七十六兩八戔五(?)
垣墻修理費
尾 六十(?) 九兩
(?)(?)五十八兩四戔五(?)(?)(?)七十兩內
(?)(?)松板 二十兩
兩(?)(?)丁貰 (?)(?) 三十八兩四戔
利子 十一兩六戔
七月二十四日兩(?)(?)(?)(?)
四兩五戔
八兩三戔五(?) (?)(?)吋(?)下
一百七十七兩一戔 (?)享會(?)吋(?)(?)(?)条
合一百八十九兩八戔八(?)(?)(?)(?)(?)(?)
己上合七十九兩
(?)(?)會費 一兩八戔
己上五合四百四十六兩一戔三(?)
前首席 李康鎬
首席 金輝瑨
齋任 沈章漢
李泰鎬
丙辰二月 享禮時
牲一首 十五兩
乾魚五尾 八兩五戔
列蛤 三戔
(?)(?) 六十五兩
北魚 三(?) 四兩五戔
柏子 二升 四兩
胡桃 三兩五戔
大(?) 二斗 四兩五戔
生栗 二兩五戔
紅(?) 一(?) 四兩
(?)米 五斗 十一兩五戔
梁米 六斗 五兩五戔
香米 七斗 六兩
大米 七斗 十七兩 五戔
曲子 五(?) 六兩五戔
(?)(?) 二兩七戔
菹菜 (?)(?) 一兩五戔
塩 一斗 二兩五戔
眞油 一兩五戔
(?)(?) 三(?) 二兩七戔
(?)魚 三級 十一兩
(?)目魚 三級 七兩五戔
海衣 十(?) 二兩
(?)羊 五兩六戔
(?)(?) 十五兩八戔
(?)木 十五兩四戔
(?)牛稅 十一兩五戔
(?)生貰 一兩五戔
牛稅 百一貰 一兩五戔
(?)萑 五條 四兩
石油 一兩八戔
北魚 二兩二戔
魚物 五兩
夜(?) 六兩二戔
首席轎丁貰 二兩六戔
合貳佰陸拾伍兩五戔二(?)
四(?)香謁費 十兩
退溪先生位牌空櫝改(?)時 五戔
首席行(?)時 十一兩二戔
八月(?)用条 一兩五戔
正謁 十二兩九戔
收(?)(?)(?)四次費 十三兩八戔五(?)
回文時下人(?)資 二兩五戔
殿直(?)(?)資 一兩五戔
殿直月料 五十兩
(?)(?)兩齋条(?)(?) 三兩
(?)(?) 五兩五戔
合伍佰拾貳兩(?)戔五(?)
己上合參佰柒拾柒兩五戔七(?)
(?)(?)(?)利(?)貳佰參拾肆兩一戔六(?)
舊(?)(?)(?)佰五十兩
(?)(?)米十三斗一升四十六兩九戔九(?)
己上合捌佰捌兩七戔二(?)內肆
佰伍拾柒兩五戔(?)(?)(?)用(?)參
佰伍拾壹兩貳戔二(?)(?)(?)二月(?)(?)牛稅一兩(?)
(?)稅二兩五戔幷不足合參佰伍拾肆兩(?)二卜內
上有司 李中旭
齋任 李鱗鎬
沈章漢
二月初九日(?)(?) 一兩
(?)(?)(?) 二兩五戔
(?) 三兩五戔
(?)(?)(?)參佰伍拾肆兩柒戔二(?)
殿直(?)(?)勘
壹佰市利報次
伍拾兩月利報次
伍拾兩殿直月料報次
肆兩柒戔二分去享時勘(?)不足
壹佰伍拾兩殿直舊舊条未勘
沈章漢
元金中分(?)收入祀
李中瑛 五十兩
金永洙 二十八兩 雲鎬 十五兩
金周淵 二十八兩 (?)(?) 陶山書院 六兩
金秉益 十四兩 李中瑛 九十兩 (?)(?)
李尙鎬 壹佰兩 三十兩(?)七十兩秋 金秉益 六兩
沈章漢 十四兩 金周淵 二兩
陶山書院 十四兩 李用鎬 五兩
(?)(?)(?)(?)合条佰柒拾貳兩內
一百十六兩 具八市利報
五十兩 殿直月料下 (?)(?)
五十九兩 具六(?)利報
四兩七戔二(?)又(?)享時不足条報
用下合貳佰貳拾玖兩柒戔二(?)
(?)(?)(?)壹佰柒拾貳兩貳戔八(?)
講堂及東齋修理費
六兩二戔 土工(?)
六兩 木手口貰
六兩四戔 (?)人口貰
五戔 伐木時(?)人貰
三戔 鐵釘価
殿直(?)未勘条參佰伍拾肆兩柒戔二卜內正佰兩市
利条○五十兩月利条○正佰伍拾兩殿直得舊(?)(?)条
○伍拾兩殿直月料条○肆兩柒戔二卜春享不足条
沈章漢
二兩一戔五分 (?)(?)
七兩五戔 食価
合条拾壹兩柒戔五分
在壹佰拾兩伍戔三卜
齋有司 李彦永
柳運熙
丙辰八月初十日享禮時
牲一首 十六兩
又貰 金二兩二戔五卜
乾魚 五尾 七兩五戔
貰(?)前(?)脚 二十九兩
又(?)里 一雙 三兩
又內賜 二兩 (?)(?)(?)
北魚 二(?) 三兩
列蛤 二串 二戔五分
胡桃 五介 二兩五戔
大棗 一斗 二兩
梨 百介 一兩
生栗 一兩五戔
(?)米 五斗 十二兩五戔
梁米
黍米 米十三斗 十一兩七戔
大米 五斗 十二兩五戔
曲子 五圓 四兩五戔
塩 一斗 一兩五戔
洋燭 一匣 二兩五戔
厚紙 二(?) 三兩
{山/瓜} 六戔
鷄 一首 九戔
菜蔬 (?)(?) 一兩五戔
(?)(?)
土器 一兩三戔
(?)魚 二尾 七兩三戔
三(?) 二尾 三兩四戔
(?)(?)魚 三尾 一兩八戔
石油 一兩二戔
南草 四(?) 三兩
夜火米 一斗(?) 三兩七戔五卜
(?) 二条 一兩五戔
燒木 八兩
(?)(?) 七兩
(?)(?)米 十斗五食(?) 二十六兩八戔
上床八十 (?)(?)(?)(?)(?)(?)(?)(?)(?)(?)
下床九十二 (?)(?)(?)(?)(?)(?)(?)(?)(?)
首席(?)(?) 伍戔 一兩
(?)(?)四匹(?)(?) 二斗 一兩
筆墨価 三戔八卜
己上合壹佰玖拾壹兩捌戔柒卜
香謁貰六次 十五兩
殿直月料 五十兩
前首席(?)(?)(?) 七戔
(?)(?)(?)(?) 五戔五卜
(?)(?) 一兩
(?)価 二戔五卜 七月合貰時
合陸拾柒兩伍戔
己上用都合貳佰伍拾玖兩条戔条分
利子金貳佰(?)拾陸戔(?)分收用不足金
(?)貳拾陸兩肆戔伍分 ▣…▣ 入
己上元金用(?)戔壹佰拾兩伍戔內不足
金貳拾陸兩肆戔伍分(?)
(?)(?)捌拾肆兩捌分殿直(?)(?)(?)
上有司 琴泰基
利子金三十一兩七戔四卜
(?)入合(?)(?)(?)(?)(?)(?)殿直
(?)(?)(?)級(?)(?)殿直

齋有司 李彦永
柳運熙
九月一日香謁時 浮費 合一兩四戔
十月一日上(?)(?)行(?)香謁時 四兩二戔又(?)
丁巳正月十五日差定時 二兩九戔四分
又丁貰壹兩伍戔
己上合什壹兩四分
二月初三日享禮時
貳拾肆兩
貰金 貳兩貳戔五卜
(?)(?)一雙 貳拾伍兩
又黃(?) 上有司別(?) 貳兩伍戔
乾魚 伍尾 肆兩伍戔
北魚 貳拾參尾 貳兩參戔
鷄 一首 壹兩
列蛤 十伍介 肆戔
銀(?) 一升 參兩伍戔
楜桃 一百二十五介 貳兩伍戔
生栗 一升 壹兩參戔五(?)
乾(?) 一帖 壹兩伍戔
大(?) 五升 伍兩
洋燭 一匣 貳兩貳戔伍(?)
菜蔬 三片 參兩伍戔
塩 壹斗 壹兩伍戔
曲子 四圓 伍兩貳戔
厚紙 三十張 貳兩肆戔
墨 一場 貳戔五(?)
土器 四介 壹兩捌戔
上下房
又烝米 燒木価 陸兩
(?)貰 貳兩伍戔
己上用合壹佰壹兩貳戔 貰入
下溪田 太貳(?)什貳兩內(?)(?)
飛津畓三斗落正貳百貳十舊斗
什來(?)參什參升內
梁(?) 捌升
▣…▣
▣…▣
(?)米 八升
合參什一升用(?)餘在貳升作(?)參
兩參戔
上(?)捌什貳(?)価貳拾捌兩伍戔
下(?)捌什 (?)価貳拾(?)
合肆什肆兩伍戔
殿直月料伍什兩
己上用都都合貳佰陸兩柒戔四(?)
利子金果太米作合貳佰陸什陸
兩陸戔六(?)內
什壹兩四(?)三次(?)謁費下上下(?)行只吋
壹佰壹兩貳戔祭需下
肆什肆兩伍戔(?)(?)
伍什兩殿直月料下餘(?)伍什九兩
■〔玖〕戔二(?)未(?)条殿直(?)(?)(?)(?)則
(?…?)
殿直處舊封条▣…▣
故仍置
上有司 李中輔
齋有司 李中吉
李中瑛 四兩
李中進 二兩五戔
沈章漢 五兩
李中垈 九兩五戔
李中逸 一兩
金東植 九兩四戔
▣…▣条舊殿直捧用云
李源宗
閏二月初一日浮浦首席(?)(?)
上下(?)価八戔
三月初一日首席(?)(?)吋
▣…▣三兩五戔
(?)(?)価五戔四(?)
(?)価八戔
馬(?)(?)二(?)五戔
上合五兩六戔九卜合外錢價
上有司 李中{肅/心}
齋有司 李中格
李洗鎬
買(?) 香謁時
上下床価一兩九戔五卜 溫惠 (?)(?)
(?)(?)価四戔七卜 (?)(?)(?)
(?)価一兩 (?)(?)(?)
合三兩四戔二卜
五月初一日 香謁時
上下席価一兩七戔
別(?)一戔八卜
紙價二戔四卜
合二兩一戔二(?)
上有司 李晩潑 (?)行時呈草
齋有司 李炳俊
琴建基
己上都合什五兩陸戔八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