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0년 상주향교(尙州鄕校)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XF.1840.4777-20130630.Y135010108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성재평, 상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2길 99
작성시기 1840
형태사항 크기: 98.7 X 76.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안내정보

1840년 상주향교(尙州鄕校) 통문(通文)
이 통문은 1840년 5월 9일 상주향교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것으로 옥산서원의 화재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 것을 양해해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것이다. 이 통문은 먼저 옥산서원의 화재에 대해 위로의 말을 하고, 이어 그 화재를 잘 수습한 것에 대한 축하의 말을 동시에 건넸다. 그리고서 옥산서원이 화재로 인해 사당을 갑자기 새로 짓는데 경비가 얼마나 많이 드는지 말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지만, 자신들이 동재와 서재를 수리하는 일을 때마침 시작하여 언제 마칠지를 알 수가 없어 옥산서원의 부탁을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옥산서원에서 자신들의 처지를 양해하여 너그럽게 보아주면 참으로 고맙겠다는 말로 통문의 끝을 맺었다. 이 통문에서 말하는 옥산서원의 화재는 1839년(헌종 5) 1월 28일에 있었던 구인당의 화재이다. 본 통문은 바로 옥산서원의 기부를 부탁한 것에 대한 답변인 것으로 보인다.
이 통문을 보면 흔히 사문이라고 일컬어지는 유교의 단체에서 중대한 일이 있을 때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 관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서로 간에 상부상조하는 일은 서원의 각종 도록, 치부기, 중수·중건일기, 고왕록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옥산서원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도움을 받은 것을 자세히 기록하는 것은 그 고마움을 잊지 않고 다음에 갚기 위한 조치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상주향교에서 “(도움의 요청을) 받들어 맞이하지 못할 만큼 군색함이 더욱 깊어진다.”라는 말은 단순히 도움을 주지 못한데 대한 변명이 아니라 자신의 딱한 형편을 진솔하게 나타낸 것이라 여겨진다. 그리고 상주향교에서 이런 통문을 보내온 것이나 동원된 인원이나 기부를 받은 금액을 보면 옥산서원의 강당을 중건하는 일은 향내의 관심사일 뿐만 아니라 도내의 관심사로 부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서원이 가문 중심으로 운영되던 이 시기에 도내 전체가 관심을 보였다는 것은 당시 영남에 있어서 옥산서원의 위치가 어떠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한 증거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玉山書院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3
하창환,이수환

상세정보

1840년 5월 9일, 玉山書院의 火災에 도움을 주지 못함을 전하는 尙州鄕校의 通文
[
내용 및 특징
]
이 통문은 1840년 5월 9일 尙州鄕校에서 玉山書院으로 보낸 것으로 옥산서원의 화재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 것을 양해해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것이다. 이 통문은 서두에 옥산서원의 화재가 斯文의 큰 액운이었으나, 참으로 다행스럽게도 건물을 새로 짓고 임금의 扁額이 다시 내려지게 된 것은 士林이 기뻐하며 박수를 칠 일이었다는 말로 상대의 불행에 대한 위로와 그 불행을 잘 수습한 것에 대한 축하의 말을 동시에 건넸다. 그리고서 옥산서원이 화재로 인해 祠堂을 갑자기 새로 짓는데 경비가 얼마나 많이 드는지 말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이라고 다시 한번 상대의 사정을 잘 알고 있음을 전하였다. 하지만 같이 유림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중요한 일에 참가하지 못해 부끄러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자신들의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이어서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상주향교에서는 東齋와 西齋를 수리하는 일을 때마침 시작하여 언제 마칠지를 알 수가 없어 옥산서원의 부탁을 받아들이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옥산서원에서 자신들의 처지를 양해하여 너그럽게 보아주면 참으로 고맙겠다는 말로 통문의 끝을 맺었다.
이 통문에서 말하는 옥산서원의 화재는 1839년(헌종 5) 1월 28일에 있었던 求仁堂의 화재이다. 이 화재로 10間이나 되는 講堂이 전소되어 이에 대한 책임으로 재임이 쫓겨나고, 그곳을 지키던 종 다섯은 태형을 받고 쫓겨났다. 특히 이 날의 화재로 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던 宣祖 때 李山海가 쓴 賜額板, 숙종 때의 傳敎謄書板, 영조 때의 備忘記板, 정조 때의 御製祭文板과 白鹿洞規板, 그리고 本院院規板, 韓石峯이 쓴 求仁堂兩進齋偕立齋라는 3개의 현판 등이 모두 소실되었다. 옥산서원영남의 首院으로 소장품들 또한 상당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들이었다. 그래서 옥산서원의 화재가 사문의 큰 액운이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통문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그 해 11월에 불탄 현판이 다시 사액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중건하는 일이었다. 옥산서원에서는 화재를 당하자 곧바로 2월 1일에 중건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여 鄕內 校院에 통문을 내고, 2월 13일에 西岳書院에서 수백여 名이 참석한 鄕會를 개최하여 重建役事를 담당할 任司를 결정하고 그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은 후손들로부터 각출하거나 鄕中과 道內의 각 校․院․祠와 문중 등의 기부로 충당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향교에는 30兩, 향청과 사마소에는 10兩 등의 기부금을 배정하였다. 본 통문은 바로 옥산서원의 기부를 부탁한 것에 대한 답변인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옥산서원에서 불탄 건물을 중건하기 위해 尙州의 校院으로 기부를 부탁하는 통문을 보냈고, 이를 전해들은 상주향교에서는 사정이 여의치 못해 도움을 줄 수 없다는 내용의 통문을 옥산서원으로 직접 보낸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리고 이 통문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불탄 건물을 중건하는데 막대한 인원과 자금이 소요되었다. 『求仁堂重建日記』와 『鄕中錢入記』, 그리고 『道內錢入記』에 따르면 건물 중건에 동원된 役丁은 총 16,259명이며, 鄕中과 道內로부터 기부를 받은 금액은 도합 2616兩 2錢이었다.
이 통문을 보면 흔히 斯文이라고 일컬어지는 유교의 단체에서 중대한 일이 있을 때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 관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서로 간에 상부상조하는 일은 서원의 각종 都錄, 置簿記, 重修·重建日記, 考往錄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옥산서원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도움을 받은 것을 자세히 기록하는 것은 그 고마움을 잊지 않고 다음에 갚기 위한 조치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상주향교에서 “(도움의 요청을) 받들어 맞이하지 못할 만큼 군색함이 더욱 깊어진다.(不得奉副 慊窘殊深)”라는 말은 단순히 도움을 주지 못한데 대한 변명이 아니라 자신의 딱한 형편을 진솔하게 나타낸 것이라 여겨진다. 그리고 상주향교에서 이런 통문을 보내온 것이나 동원된 인원이나 기부를 받은 금액을 보면 옥산서원의 강당을 중건하는 일은 향내의 관심사일 뿐만 아니라 도내의 관심사로 부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서원이 가문 중심으로 운영되던 이 시기에 도내 전체가 관심을 보였다는 것은 당시 영남에 있어서 옥산서원의 위치가 어떠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한 증거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
자료적 가치
]
이 통문은 어려움에 처한 校院들에 서로 어떤 도움을 주고받았는지를 알게 하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주향교에서 이러한 통문을 보내면서까지 옥산서원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자신의 구차한 사유를 들어 설명한 것을 보면 당시 교원들 사이에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어떠했는가를 이 통문을 통해 간접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玉山書院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3
하창환,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0년 상주향교(尙州鄕校) 통문(通文)
通文
右文爲回諭事伏以 貴院火變已是斯文之㥘會而何幸丹雘重新
恩額復宣士林之欣抃容有旣哉第伏念莫重俎豆之所猝當巨創之役經費之許多不待 盛諭
而可知矣鄙等旣在章甫之列未能趍參於敦事之末雖緣地少之脩左而秪地私心之愧歎又況義在
共尊遠近無間則敢不隨力仰助而鄙鄕 兩廡重修之役適在此時訖工無期姑不得奉副
慊窘殊深伏願 僉尊諒此事勢而俯恕之千萬幸甚
右文通
慶州玉山書院
庚子五月初九日尙州鄕校都有司 成在平
掌議 姜愚永
成鎭煦
齋任 李忠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