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6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진보향교(眞寶鄕校) 체임록(遞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WZ.1896.4775-20130630.Y13114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진보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크기: 33 X 31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88면)
판식: 8행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송 진보향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한2길 63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안내정보

1896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진보향교(眞寶鄕校) 체임록(遞任錄)
1896년에 작성된 역대 진보향교(眞寶鄕校) 임원의 명단으로, 진보향교는 조선시대까지 경상도(慶尙道) 진보현(眞寶縣)에 소재했었지만, 자료가 작성되던 1896년부터 1914년까지는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에,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경상북도 청송군(靑松郡)에 소재하고 있다. 본 자료에는 1896년부터 1902년까지 진보향교 임원인 교임(校任) 역임자의 명단과 교체 연월이 기재되어 있다. 1896년 기존에 있던 임원 명단이 크게 훼손된 까닭에 이전의 명단을 정리하여 『체임록(遞任錄)』이란 제목으로 본 자료를 엮었는데, 자료가 엮여진 이후에도 갱신하여 말미에 추가 기록함으로써 1902년까지의 교임이 수록된 것이다.
체임록』에서 확인되는 교임은 도유사(都有司)와 장의(掌議)인데, 진보향교는 보통 각 1명씩 임명되었다. 이중 도유사는 향교의 수임(首任)으로 고을 내에서 명망 있던 인사로 임명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령이 직접 역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임의 임명 추이는 19세기 이후 진보향교 운영을 주도했던 구(舊) 진보현(眞寶縣) 지역 유력 양반 가문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진보향교에는 현재까지 3책의 『체임록』이 전하는데, 본 자료는 그 중에서도 가장 앞서 엮여진 것이다.
이광우,이수환

상세정보

1836년부터 1902년까지 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소재 眞寶鄕校의 校任으로 활약했던 인사들의 명단과 교체 연월을 기록한 서책.
丙申八月中元修正眞寶鄕校遞任錄一
[내용 및 특징]
지금의 慶尙北道 靑松郡에 위치한 眞寶鄕校의 校任 명부이다. 진보향교는 19세기 후반까지 慶尙道 眞寶縣에 소재하였으나, 자료가 작성되던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시에는 慶尙北道 眞寶郡에 소재한 상황이었다. ‘遞任’이라는 자료의 표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校任의 명단과 함께 교체시기를 명기해 놓았다. 현재까지 진보향교에는 모두 세편의 『遞任錄』이 전해지는데, 그 중에서 본 자료는 1836년부터 1902년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1836년 이전의 『체임록』은 확인되고 있지 않아 진보향교의 교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로는 본 자료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표제와 序文의 작성 연도로 보아 『遞任錄』一은 1896년 8월에 엮여진 것으로 확인된다. 1836년부터 1896년까지의 교임과 교체시기를 정리하면서 본 자료를 엮어 놓은 것이다. 다만 1897년부터 1902년까지의 체임 기록은 성책이 이루지고 난 이후, 校任이 갱신되면서 추가 기재한 것으로 여겨진다.
먼저 『遞任錄』一의 서문에 해당되는 權秀元의 글에는 본 자료가 엮여진 경위와 의의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진보향교에는 『任錄』이라는 교임 명단이 존재하여 儒籍을 중시하고 선배가 학문을 권장하던 의의를 추모하였으며, 특히 교임의 首任과 副任 姓銜을 기재해 존중하는 전통을 유지해 왔었다고 나타나 있다. 또한 진보향교의 운영이 李滉이 권장한 鄕學의 전통을 계승했음을 밝혀 놓았다. 이는 『遞任錄』 작성 이전 『任錄』이라는 별도의 교임 명단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근래에 발생한 ‘掇院之變’ 이후 故事와 文籍이 대거 毁盡되는 변을 당하게 되었으며, 오직 향교에 보관되어 있는 『任錄』 2책만이 선배들의 성과 휘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 남게 되었음을 한탄하고 있다. 즉 서원훼철령 이전까지 경상도 진보현에는 향교와 더불어 서원 관련 자료가 남아 있어 향촌의 질서를 주도하는 재지사족의 명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서원훼철령 이후 향촌의 유력 인사 명부는 『任錄』만이 남게 되었던 것이다. 이런 『任錄』이 『遞任錄』으로 새롭게 엮여진 것은 眞寶縣監 任百淳의 재임 도중인 1896년 8월이었다. 기존에 있던 『任錄』이 많이 훼손되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현감 임백순이 종이를 지급해 주어 다시 한통을 精寫케 하니, 이에 權炁奭이 깨끗이 써서 『遞任錄』을 엮게 되었다고 한다. 향촌 질서와 관련된 서원 등의 자료들이 훼진된 상황에서, 향촌 질서를 확인하는 새로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향교 『任錄』을 『遞任錄』으로 개편하였던 것이다. 한편, 서문에서 확인되는 『遞任錄』 편찬 관련 인물들은 모두 진보향교의 교임을 역임했던 인사들이다. 편찬을 후원했던 현감 임백순1895년 都有司를 역임하였었고, 권수원권기석1896년 이전 각각 도유사와 掌議를 역임했던 경력이 확인된다.
遞任錄』一에서의 역대 진보향교 교임은 1836년 8월부터 1902년 8월까지 기재되어 있다. 교임으로는 都有司와 掌議만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경상도 소재 향교의 경우 校任 가운데 首任을 도유사라 칭했는데, 진보향교도 수임을 도유사로 불렀던 것이다. 도유사 이외에도 副任으로 장의를 두고 있다. 이외 色掌과 有司 또는 東齋와 西齋 별로 부여된 교임은 확인되지 않는다. 진보향교의 경우 보통 도유사 1명, 장의 1명 체제로 유지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임 없이 장의 혼자만 임용되는 경우도 몇 차례 확인된다. 다만 1897년 1월에서 4월까지 한 차례만 도유사 대신 都執禮, 장의 대신 公事員이라는 명칭의 교임으로 임명되나 곧바로 도유사와 장의 체제로 환원된다.
진보향교의 도유사와 장의도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지역 내 명망 있는 인사 가운데 향교에서 자체적인 추천 과정을 거쳐 수령의 승인 하에 임명된 듯하다. 여기에는 承旨參奉을 역임했던 인사들도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 인사가 임명되었지만 수임인 도유사의 경우 수령이 위촉되기도 하였다. 1895년 9월 도유사로 임명되었던 진보현감 임백순을 비롯하여 李先耆, 李根厚, 洪觀錫, 柳沂秀, 朴海聞, 王濟千, 李周儀, 金東潤, 兪正憲까지 모두 10명의 현감이 도유사를 역임한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시대 수령들 가운데서는 향교의 首任을 직접 맡으면서 ‘興學’을 도모하기도 했는데, 위의 수령들이 수임을 맡은 이유도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장임 역임자 가운데서는 훗날 도유사로 임명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遞任錄』에는 遞任 연월, 교임, 성명만 기재하여 다른 인적사항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교임별로 성씨 분포는 확인이 가능한데, 도유사의 경우 누적 임명 회수가 207회(都執禮 1회 포함), 장의는 누적 임명 회수가 230회(공사원 1회 포함)이다. 연임한 자와 수령 10명을 제외한 도유사 역임자를 계산하면 1836년에서 1902년까지 모두 182명이 도유사를 역임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75명, 權氏 56명, 金氏 14명, 李氏 13명, 鄭氏 7명, 朴氏 6명, 趙氏 4명, 孫氏 2명, 安氏 2명, 崔氏 2명, 柳氏 1명 순이다. 같은 방식으로 장의를 계산하면 모두 130명이 장의를 역임한 것으로 확인되며, 성씨별로 나열하면 權氏 51명, 申氏 34명, 金氏 12명, 李氏 12명, 朴氏 7명, 安氏 5명, 鄭氏 4명, 柳氏 2명, 孫氏 2명, 南氏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이들 성씨 중 주요 성관은 安東權氏, 平山申氏, 密陽朴氏, 眞城李氏 등으로 이들 가문들에 의해 조선후기 진보향교 운영이 주도되었음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향교의 경우 교임의 임기가 보통 1년이지만 1836년 이후 진보향교 교임의 임기는 1년을 채우는 경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나마 1년을 채운 것으로 여겨지는 인사들도 『遞任錄』一의 초반 기록에서만 확인된다. 후기로 갈수록, 그 중에서도 19세기 후반 이후에는 임기가 매우 짧게 나타나며 같은 달에도 교체되기도 하고 1년에 수회에 걸쳐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에는 향교 교임의 위상 약화라는 시대적 분위기와 맥을 같이한다. 19세기 후반부터 근대식 교육기관이 설립되고 향교가 외세에 의해 간섭을 받기 시작하면서, 재지사족들의 활동처로서의 향교 권위가 날로 위축되고 있던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추이와 진보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遞任錄』一에는 향교 교임으로 도유사와 장의가 확인되며, 이들의 遞任 연월만 자료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자료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진보향교 校任의 간략한 구성 현황과 체임 현황, 그리고 교임 역임자의 성씨 정도이다. 하지만 遞任 현황, 특히 임기의 추이는 19세기 향촌사회 질서의 변화상, 그리고 19세기 후반 근대식 교육의 도입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화상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확인되는 舊 眞寶縣 지역의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관련 자료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鄕案이나 鄕約 관련 자료, 또는 書院 관련 자료도 적을뿐더러 향교 자료도 『遞任錄』을 제외하고는 모두 20세기 이후의 자료만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 현황 때문에 『遞任錄』一은 사실상 조선후기 진보 지역의 향촌질서 주도와 유력 사족 가문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이광우,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6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진보군(眞寶郡) 진보향교(眞寶鄕校) 체임록(遞任錄)

丙申八月中元修正眞寶鄕校遞任錄一
遞任錄
置任錄兩示久遠者所以重儒
籍也亦所以追先輩勸後學也
况聖宮首善之地送竪禮拂
遞掌重任者之首副姓銜尤豈
不尊且重歟莊惟先父老之處
鄕也式遵退陶先生鄕學之規
約設條例講立學令章甫濟濟
厥有條諸兩詃誦禮樂之風魚
雅如也騄騄至衰叔寒鄕儒敎
弊盡之今日兩先輩遺風餘徵
無從可尋且中經掇院之變故
事文籍亦隨以毁盡只有本所
任錄二冊兩鄕先輩姓諱一開
卷瞭然當日秋秋冠裳肅肅儀
範怳若復承於殊衡五斗之傍
吁其敬也支顧今世變猖獗之
日凡此文籍昜致閪失且是錄
也間有年條重複字晝刓弊覽
者輒以此歉焉今縣俟任公百
方更心學政蓋知所先務也
竭聖之翌披玩是錄以冊樣
之弊且不淨遂出給紙地俾更
精寫一通蓋欲珍此儒籍垂之
無窮俟之尊衛儒宮此可見矣
且今繕寫巧値一甲於舊丙申
修錄之歲斯亦豈偶爾哉於是
乎言因鄕丈命粧冊淨書者鄕
權炁奭叨忝是議摭實記事
者老生權秀元也時
上之三十三年丙申八月中元書
丙申八月日
都有司李種德
掌議權錫文
丁酉二月日
都有司李種德
掌議申性欽
戊戌二月日
都有司申斗烈
掌議金昌洙
十月日
掌議權錫文
己亥八月日
都有司申致龍
掌議權秉憲
庚子二月日
都有司申廷烈
掌議權載宇
六月日
都有司權錫晦
掌議申冕欽
十月日
都有司李世裕
掌議安述魯
辛丑二月日
都有司權秉運
掌議安述魯
壬寅二月日
都有司申夔成
掌議安奎魯
癸卯二月日
都有司權載宅
掌議權秉壽
七月日
都有司權錫洛
掌議權秉壽
八月日
都有司李先耆知縣
掌議權錫璜
甲辰二月日
都有司朴星老
掌議金鼎鎭
八月日
掌議李沂永
十月日
都有司權錫恒
掌議申若欽
乙巳正月日
都有司金商煥
掌議朴鎭永
三月日
都有司權載奎
掌議朴鎭永
五月日
都有司李長發
掌議朴鎭永
七月日
都有司申致楨
掌議申震烈
丙午正月日
都有司權載憲
掌議南聖述
二月日
都有司申致勳
掌議金海鎭
八月日
都有司申致觀
掌議權秉民
丁未二月日
都有司權錫恒
掌議權秉民
八月日
都有司申弼欽
掌議申致正
戊申二月日
都有司安奎魯
掌議申致正
八月日
掌議權錫璋
己酉四月日
都有司申性欽
掌議金達和
八月日
都有司李錫永
掌議申致益
十月日
都有司權秉憲
掌議申致益
庚戌正月日
都有司權錫玄
掌議權秉魯
二月日
都有司申致峻
掌議權秉洛
辛亥二月日
都有司權澔
掌議權秉洛
三月日
都有司權思信
掌議權秉洛
八月日
都有司申道欽
掌議權載鼎
壬子二月日
都有司權錫文
掌議鄭欽寬
八月日
掌議申致正
癸丑二月日
都有司申致奎
掌議李德寧
二月日
都有司權秉周
掌議李德寧
二月日
都有司金昌洙
掌議申穆烈
甲寅二月日
都有司申冕欽
掌議申性浩
八月日
都有司申致恒
掌議申性浩
十一月日
都有司申致潤
掌議申性浩
乙卯八月日
都有司申致潤
掌議李德寧
九月日
都有司申冣成
掌議李德寧
丙辰二月日
都有司申大欽
掌議權秉一
十月日
都有司安奎魯
掌議權秉一
丁巳二月日
都有司權載宇
掌議申致慱
戊午二月日
都有司李建永
掌議朴鎭宗
三月日
都有司權秉銖
掌議李達和
六月日
都有司權錫璜
掌議權永福
己未二月日
都有司申致琮
掌議李鼎和
四月日
掌議權秉洛
八月日
都有司金養翼
掌議申泰浩
庚申正月日
都有司權秉銖
掌議申泰浩
二月日
都有司申秉欽
掌議申堯欽
六月日
掌議權秉綱
七月日
都有司申若欽
掌議權秉綱
辛酉二月日
都有司權秉民
掌議申佐欽
三月日
都有司金富善
五月日
都有司趙厚淳
掌議權秉銓
壬戌二月日
都有司申東烈
掌議申祖欽
五月日
都有司申致嵩
掌議金裕善
八月日
都有司朴命爀
掌議金裕善
癸亥二月日
都有司金解鎭
掌議金裕善
八月日
都有司權錫璋
掌議權秉吉
甲子正月日
都有司申致穆
掌議權秀浩
四月日
都有司申奎欽
掌議權秀浩
四月日
都有司朴鎭永
掌議權秀浩
九月日
都有司權載庸
掌議孫泰慶
乙丑正月日
都有司申致琬
掌議權秀元
二月日
都有司申致衡
掌議權秀元
九月日
都有司權秉玹
掌議申允欽
丙寅二月日
都有司李濟永
掌議權秉鍵
二月日
都有司申致益
掌議權秉鍵
五月日
掌議安佐翼
丁卯六月日
都有司申景欽
掌議申濬欽
八月日
都有司權秉洛
掌議朴時潤
戊辰二月日
都有司權載鼎
掌議李愿和
八月日
都有司李根厚知縣
掌議權秀淵
己巳二月日
都有司申章欽
掌議權秉好
三月日
都有司申安欽
掌議權秉好
十月日
都有司申致正
掌議權秉好
庚午二月日
都有司申致祥
掌議金樵洛
四月日
都有司權秉敬
掌議金樵洛
四月日
都有司權秉一
掌議金樵洛
九月日
都有司李德寧
掌議權秀亨
十一月日
都有司趙彦興
掌議金鍵洛
辛未二月日
都有司申赫烈
三月日
都有司申致正
掌議權永祥
壬申二月日
都有司權必鎭
掌議權秉正
二月日
都有司申致博
掌議安佐翼
六月日
都有司申鍾浩
掌議安佐翼
癸酉三月日
都有司洪觀錫知縣
掌議朴時潤
四月日
掌議申英欽
甲戌三月日
掌議權秀覺
十一月日
都有司權永福
掌議權秀覺
乙亥二月日
都有司李性和
掌議孫鎭復
三月日
都有司權觀度
掌議李炳章
三月日
都有司權錫瑨
掌議李炳章
三月日
都有司申致重
掌議李炳章
四月日
都有司柳沂秀知縣
掌議李炳章
七月日
都有司申益欽
掌議李炳章
九月日
都有司權秉銓
掌議李秉淵
十一月日
都有司申壽穆
掌議李奎成
十二月日
都有司申祖欽
掌議金夔鏞
丙子八月日
都有司申亨浩
掌議權秀珏
丁丑二月日
都有司金在明
掌議李明和
二月日
都有司金崗壽
掌議權秉直
四月日
都有司權秉綱
掌議申榘欽
十二月日
都有司申達浩
掌議權秀廣
戊寅二月日
都有司申翼浩
掌議權秉星
七月日
都有司崔相顯
掌議安佐翼
十一月日
都有司權秉珏
掌議安佐翼
十二月日
都有司權秉文
掌議安佐翼
己卯正月日
都有司柳健欽
掌議安佐翼
二月日
都有司朴鎭宗
掌議金洛鏞
四月日
掌議申鍵浩
八月日
都有司孫泰慶
掌議權秀{氵+奎}
十一月日
都有司李達和
掌議權秀{氵+奎}
戊辰二月日
都有司申鎔浩
掌議鄭翼右
三月日
掌議權秉星
六月日
掌議權秀海
八月日
都有司朴海聞知縣
掌議權秀海
辛巳三月日
掌議申相夏
五月日
掌議權秉濟
壬午八月日
都有司權秀元
掌議申相翼
十一月日
都有司朴海聞知縣
掌議朴㝎鉉
癸未正月日
都有司權秉浩
掌議申允浩
三月日
都有司李彙秉前【承旨
掌議申載浩
四月日
都有司朴時潤
掌議李震泰
五月日
都有司金在壽
掌議權重銓
五月日
都有司權載心
掌議權重銓
六月日
都有司申崇欽
掌議權重銓
八月日
都有司申正浩
掌議權重銓
十二月日
都有司權秉夏
掌議權秀廣
十二月日
都有司申廷浩
掌議權秀明
甲申三月日
都有司申稷欽
掌議權秀明
四月日
都有司鄭鎬寬
掌議申弘浩
八月日
都有司申濬欽
掌議申弘浩
八月日
都有司申彛欽
掌議鄭翼運
九月日
都有司申炁浩
掌議權秉星
乙酉正月日
都有司申義浩
掌議金龍植
八月日
都有司權秉吉
掌議金龍植
十月日
都有司權秉鍵
掌議申顯欽
丙戌正月日
都有司申允欽
掌議申顯欽
二月日
都有司申夏烈
掌議申顯欽
二月日
都有司安佐翼
掌議朴柱源
五月日
掌議權秉悳
七月日
都有司權秀淵
掌議權秉悳
八月日
都有司權秀元
掌議權秉鶴
八月日
都有司權秉好
掌議權秉鶴
丁亥二月日
都有司權永祥
掌議金斗植
四月日
都有司金禎善
掌議金斗植
五月日
都有司李逵和
掌議金斗植
六月日
都有司金鍵洛
掌議金斗植
七月日
都有司權秉鎬
掌議金斗植
七月日
都有司王濟千知縣
掌議金斗植
十一月日
都有司申鑽浩
掌議權炁升
戊子二月日
都有司申秀浩
掌議權秉仁
二月日
都有司崔龍顯
掌議權秉仁
四月日
都有司趙秉亨
掌議權秉仁
四月日
都有司申英欽
掌議權秉仁
己丑四月日
都有司鄭鑽寬
掌議申相夔
四月日
都有司鄭翼周
掌議申相夔
五月日
都有司權秀庾
掌議申相夔
九月日
都有司申肯浩
掌議申驥泰
庚寅二月日
都有司權秀亨
掌議申驥泰
四月日
都有司金樵洛
掌議鄭禹逵
辛卯二月日
都有司李周儀知縣
掌議權秀弼
三月日
掌議權秀升
七月日
都有司權秀覺
掌議權秀升
壬辰二月日
都有司鄭之喬
掌議李好淵
三月日
都有司權秉直
掌議李好淵
八月日
都有司權載平
掌議李好淵
八月日
都有司鄭翼韶
掌議權秀正
十一月日
都有司申允浩
掌議權秀正
癸巳二月日
都有司申致元
掌議權秀正
三月日
都有司金道鎭
掌議權秀正
四月日
都有司金禧善
掌議權秀正
五月日
都有司申致亨
掌議權秀正
五月日
都有司安佐翼
掌議權基煥
五月日
掌議權秀天
六月日
掌議申炳浩
甲午二月日
掌議申致炫
三月日
都有司金東潤知縣
掌議申秉浩
四月日
都有司權秉星
掌議申秉浩
五月日
掌議權秉穆
五月日
掌議申允泰
八月日
掌議申相燁
九月日
掌議申彛泰
乙未五月日
掌議安琮煥
六月日
都有司申鏞浩
掌議安琮煥
八月日
都有司申章浩
掌議安琮煥
八月日
都有司權秉政
掌議安琮煥
八月日
都有司申述浩
掌議安琮煥
八月日
都有司申觀欽
掌議安琮煥
九月日
都有司任百淳知縣
掌議安琮煥
九月日
都有司申綏欽
掌議安琮煥
丙申三月日
都有司孫鎭復
掌議權炁和
十月日
都有司金蓍洛
掌議權奎煥
十二月日
都有司申膺浩
掌議權奎煥
丁酉正月日
都有司申舜欽
掌議李俊永
正月日
都執禮權秉星
公事員申相魯【後改相宇】
四月日
都有司李炳章
掌議申相珏
八月日
都有司李炳淵
掌議申相珏
八月日
都有司兪正憲知縣
掌議權寅煥
戊戌二月日
都有司李壽嵒
掌議權炁奭
三月日
都有司申弘浩
掌議朴尙弼
十二月日
都有司申弘浩
掌議權鳳煥
己亥二月日
都有司鄭翼世
掌議申相燮
都有司申世浩
掌議申相燮
三月日
都有司金政煥
掌議申相燮
三月日
都有司申斗欽
掌議申相燮
四月日
都有司趙秉城
掌議申相燮
四月日
都有司鄭翼右
掌議申相燮
九月日
都有司權秉璇
九月日
都有司權秀明
掌議申相燮
十一月日
都有司申周浩
掌議朴尙祐
庚子正月日
掌議權泰煥
二月日
都有司申相悳
掌議金在秉
三月日
都有司權秉貞
掌議柳運鎬
七月日
都有司金孚洛
掌議柳運鎬
七月日
都有司申達欽
掌議權秀鶴
八月日
都有司申杰欽
掌議權秀鶴
八月日
都有司權秀貞
掌議權秀傑
九月日
都有司許薰【參奉
掌議權秀傑
十月日
都有司權奎輔
掌議權秀傑
十二月日
都有司權秉濟
掌議申柄泰
辛丑八月日
都有司申相夏
掌議安琦煥
八月日
掌議權秀燁
十一月日
都有司朴尙奎
掌議申相璣
十一月日
都有司權秉悳
掌議申相璣
壬寅八月日
新件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