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84~1759년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향교임사안(鄕校任事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WZ.1684.4729-20130630.Y13108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하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작성시기 1684
형태사항 크기: 35 X 30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34면)
판식: 10행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산 하양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길20길 12-5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안내정보

1684~1759년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향교임사안(鄕校任事案)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시(慶山市) 하양읍(河陽邑)에 위치한 하양향교(河陽鄕校)의 조선시대 교임(校任) 명단이다. 하양향교는 조선시대까지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이라는 독립된 고을의 향교였다. 즉, 본 자료는 조선시대 하양현 시절인 1684년부터 1759년까지, 지역 출신의 유림으로 교임에 임명되어 향교 운영을 주도했던 인사들의 명단과 교체 연도를 기재해 놓은 것이다. 자료에 나타나는 교임은 도유사(都有司)와 장의(掌議)인데, 도유사는 향교 운영을 총괄하고 대표하는 자리로 1인이 임명되었으며, 장의는 도유사를 보좌하고 실제 운영을 담당했던 자리로 보통 2인이 임명되었다. 이러한 교임에 임명되는 인사들은 지역의 명망 있는 양반 가문 출신이었다. 실제 75년 간 교임 역임자 190명의 성관(姓貫)을 살펴보면, 조선후기 경상도 하양현을 대표하던 양반 가문인 창녕조씨(昌寧曺氏), 울산박씨(蔚山朴氏), 영천이씨(永川李氏), 청도김씨(淸道金氏), 하양허씨(河陽許氏) 출신이 다수를 점유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광우,이수환

상세정보

1684년부터 1759년까지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의 역대 校任 명단과 교체 연도를 기재한 서책
甲子以後河陽郡鄕校任事案鄕校任事案天
[내용 및 특징]
지금의 慶尙北道 慶山市 河陽邑에 위치한 河陽鄕校의 校任 명단과 교체 연도를 기록한 자료이다. 조선시대 하양향교慶尙道 河陽縣이라는 독립된 고을의 향교였으나, 현재는 경산시에 편입된 상태이다. 자료 표제에는 ‘甲子以後 河陽郡鄕校任事案 鄕校任事案天’이라고 명기되어 있지만 정확한 편찬 연대는 확인되지 않는다. 표제 가운데 ‘河陽郡鄕校任事案’이라는 글자는 가장 마지막 장에도 기재되어 있는데, 자료가 엮여진 이후 어느 시점에 명기한 듯하다. ‘河陽郡’이라는 지명이 사용된 1896년부터 1914년 사이에 기재된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에는 교임인 都有司와 掌議 역임자 성명, 임명된 해의 간지와 節氣를 수록하였다. 교임은 일반적인 영남의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도유사, 장의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향교의 首任으로, 향교 업무를 총괄하고 대표하는 도유사는 1인만 임명되었다. 도유사를 보좌하며 향교 실무에 간여하는 副任으로는 2명이 임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1명만 임명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그 외 色掌이나, 東齋 또는 西齋 별로 임명되는 교임은 수록해 놓지 않았다. 향교 교임의 임기는 보통 1년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으나, 그대로 지켜지는 경우는 드물었다. 대부분 1년 미만만 복무하는데, 하양향교도 마찬가지였다. 본 자료에는 교임이 새롭게 임명되는 해의 간지와 절기만을 수록하였는데, 한 해에 3회 이상 교체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본 자료에서 1684년부터 1759년까지 75년 간 도유사 또는 장의로 임명된 인원은 모두 479명으로 나타난다. 이중에는 장의를 역임한 경력을 가지고 도유사로 임명되는 인사가 다수 있다. 479명 가운데 중복되는 이름을 제외하면, 실제 75년 간 향교 교임 역임자는 190명이다. 190명의 교임은 다시 성씨별 분류가 가능한데, 다수 입록된 성씨 순으로 나열하면 曺氏 45명, 朴氏 27명, 許氏 25명, 李氏 21명, 金氏 16명, 鄭氏 13명, 黃氏 9명, 都氏 9명, 張氏 8명, 林氏 5명, 徐氏 3명, 崔氏 3명, 蔡氏 3명, 玄氏 1명, 全氏 1명, 羅氏 1명 순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曺氏, 朴氏, 許氏, 李氏, 金氏, 鄭氏, 張氏, 都氏 등의 성씨에서 많은 교임이 배출되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사회적 기반과 인적 구성에 대한 사례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향교는 단순히 교육 및 교화의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지역 여론에도 큰 영향력을 끼치는 사회조직이었다. 비록 지역별 시기별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지역 내 유력한 재지사족 가문일수록 향교 운영에 대한 영향력이 높았으며, 그것은 校任의 인적 구성에도 반영되었다. 하양향교 任事案의 인적 구성도 지역 사족의 동향과 연관 지어 살펴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任事案에서 다수의 인물을 배출한 姓貫은 昌寧曺氏, 蔚山朴氏, 永川李氏, 淸道金氏, 그리고 土姓인 河陽許氏가 있다. 이들 가문이 16세기 후반 이래 하양 지역의 대표적인 가문으로 자리 잡으며 지역 여론을 주도하며, 향교 운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하양향교에는 본 任事案에 이어서 1760년부터 1777년까지의 교임을 수록한 任事案이 전하고 있어 교임 임명의 추이를 비교 검토 해 볼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이광우,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84~1759년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향교임사안(鄕校任事案)

甲子以後河陽鄕校任事案鄕校任事案天
甲子以後任案
都有司曹振世
掌議【曹慶漢鄭洙甲子年
都有司曹振世
掌議許翊周乙丑
都有司鄭復亨
掌議【鄭時鉉曹逸漢乙丑
都有司朴諒
掌議【曹翊漢許濡丙寅年
都有司朴諒
掌議【曹奉漢黃得澄丁卯年
都有司曹濟世
掌議曹贊漢戊辰年
都有司曹元世
掌議【金壽鼎許元㱓己巳年春夏
都有司鄭時鉉都有司許翊周
掌議【黃必澄曹逸漢】掌議【鄭洙林㙾
曹顯漢庚午年己巳秋冬
都有司曹榮世
掌議【曹啓漢李萬祺辛未年
都有司鄭時鉉
掌議【曹翊漢朴泰矩壬申年
掌議【曹翊漢許泳癸酉年
都有司朴訥
掌議【金壽鼎許堠甲戌年
都有司鄭時鍵
掌議【曹佑漢鄭繼林乙亥年
都有司鄭時鍵丙子丁丑
掌議【曹柱漢丙子鄭繼林丙子秋冬】 【朴瑞鳳丙子丁丑春】
都有司曹贊漢
掌議【曹國楷朴瑞鳳丁丑戊寅春夏
都有司金壽鼎戊寅己卯
掌議【曹國楷戊寅春秋徐元行戊寅己卯夏】 【張壽箕己卯夏】
都有司曹翊漢
掌議【曹顯漢李萬祉己卯秋冬
都有司鄭時鉉
掌議許埰庚辰辛巳
都有司曹俊漢
掌議【曹顯漢許信辛巳壬午
都有司鄭洙
掌議【李萬祺張壽箕壬午
都有司鄭時鑑
掌議【曹昌漢鄭濂壬午
都有司黃益澄
掌議【許堠朴瑞麒壬午癸未
都有司黃益澄
掌議【朴瑞鳳許墀癸未
都有司李潤基
掌議【朴瑞鳳林泰鳳癸未
都有司李潤基
掌議【鄭繼林朴瑞雨癸未
都有司李潤基甲申年
掌議【許俊甲申許埰甲申秋】
黃再澄甲申李萬禧甲申冬】
鄭亨泰甲申冬】
都有司李三老
掌議【朴瑞麒林泰鳳乙酉春夏
都有司徐元行
掌議【朴瑞麒鄭濂乙酉
都有司朴詡
掌議【鄭繼林曹永承乙酉
都有司朴詡
掌議【李萬祿鄭繼林丙戌
都有司曹啓漢
掌議蔡復夏丙戌
都有司李潤基
掌議【鄭繼林許墀丙戌
都有司朴詡丙戌丁亥
掌議【許埰丙戌許侃丁亥春】
許墀丁亥
春】
都有司金天翊
掌議【許侃李萬禧丁亥
都有司金天翊
掌議【朴瑞鳳李德華丁亥秋冬
都有司朴詡
掌議【許埰鄭繼林戊子
都有司金壽鼎
掌議【曹永彬朴瑞雨戊子
都有司李萬春
掌議【鄭繼林李德華戊子
都有司李萬春
掌議【朴瑞鳳李德華戊子
都有司李潤基
掌議【朴瑞龜黃允中
林泰鳳己丑春】
都有司金允彩
掌議【張壽星李景蔓己丑
都有司曹柱漢
掌議【都凞采李鐵耈己丑
都有司曹柱漢
掌議【李鳳彩許墀庚寅
都有司鄭洙
掌議【鄭繼林曹永承庚寅
都有司李萬春
掌議【張壽星朴瑞雨庚寅秋冬
都有司金允彩
掌議【李萬禧朴瑞麟辛卯
都有司曹顯漢
掌議【曹永徵張壽箕辛卯
都有司朴詡
掌議【曹永承鄭濂辛卯
都有司朴詡
掌議【徐梭鄭亨泰壬辰
都有司曹奉漢
掌議【曹永章朴瑞鷰壬辰夏冬癸巳
都有司曹顯漢癸巳夏秋
掌議【曹永封鄭溶】同年夏秋
都有司李萬祺同年冬
掌議【曹永彬許墀癸巳甲午
都有司許埰甲午年
掌議【曹永孝張邦彦甲午
朴瑞麟曹永徵甲午秋冬
都有司許堠乙未夏秋
掌議【曹永壽李景蔓乙未春秋
都有司朴諶乙未丙申秋冬
掌議【曹永復鄭世權丙申春秋
曹永錫黃執中丙申秋冬
都有司曹永徽
掌議【黃執中曹永冑丁酉春夏秋
朴瑞雨林鳳鳴丁酉戊戌
都有司曹昌漢戊戌春夏
掌議【都萬基朴瑞麟戊戌
許增曹永封戊戌
都有司朴瑞鳳戊戌春秋己亥春夏秋
掌議【許增曹永封戊戌秋冬己亥
曹弼漢己亥
夏秋朴瑞奎己亥夏】
許壄己亥秋】
都有司曹顯漢
掌議【曹弼漢許壄己亥
都有司朴瑞鳳
掌議【曹永徵金復鍊庚子
都有司鄭洙
掌議【曹永徵金復鍊庚子
都有司曹永章
掌議【曹永徵金復鍊庚子夏秋
都有司朴瑞鳳庚子
掌議【都萬基李遠基
都有司曹永承
掌議【都萬基鄭世權辛丑春秋
都有司李亨基
掌議【曹永封辛丑林伯鳳壬寅春秋】
都有司蔡復夏
掌議【黃執中朴鼎顯壬寅秋冬曹永孝同年冬】
都有司朴履遠癸卯
掌議【朴聖翊朴鼎顯
都有司金世鍵癸卯夏秋
掌議【朴聖翊朴鼎顯癸卯夏秋
都有司曹永錫
掌議【都萬重曹永彪癸卯
都有司黃允中
掌議【都萬中曹永彪癸卯
李奎徵甲辰春秋】
都有司許埰
掌議【曹顯益朴鼎顯甲辰秋冬乙巳春秋丙午
都有司朴瑞麟
掌議【蔡仁榮曹永禎丙午夏秋冬丁未春夏秋
都有司曹昌漢
掌議【朴瑞斗鄭光孝丁未秋冬
都有司李亨基
掌議【許爀金直萬戊申
都有司曹永徵
掌議【許㙫朴泰蹞戊申春夏
金復鍊張道泰戊申
都有司朴瑞鳳
掌議【許垈曹道益戊申己酉庚辰
都有司曹永彬
掌議【朴師孟曹永祿庚辰夏申亥春
都有司鄭濂
掌議【李蹞泰李宜馥辛亥夏秋
朴瑞泰曹壽益辛亥秋冬壬子仲春
都有司朴瑞鷰
掌議【朴聖翊曹永冑壬子春夏
都有司曹永錫
掌議【朴聖翊鄭炯壬子秋冬
都有司黃允中
掌議【曹永禎鄭炯癸丑春夏
曹永耈許恊癸丑夏秋
都有司鄭濂
掌議【都萬重曹永禎癸丑
曹永禎黃瑞瑃甲寅春夏秋
都有司金復鍊
掌議【曹道益黃瑞瓚甲寅乙卯
都有司金世鍵
掌議【曹顯益許墐乙卯夏秋冬丙辰
都有司張壽星
掌議【許爀朴順顯丙辰丁巳
都有司曹永封
掌議【許恰朴咸蹞丁巳春秋
朴鼎顯許堈丁巳戊午
都有司李世郁
掌議上同戊午夏秋
許㙫戊午秋冬】
都有司朴瑞獜
掌議【許㙫黃瑞瓚戊午
曹蹞益己未春夏秋
都有司許垈
掌議【金慶鍊曹永宗己未庚申春夏秋
都有司金世鉉
掌議【許恰曹道益庚申
都有司曹顯益
掌議許恰辛酉春夏秋
曹道益
都有司曹永祿
掌議曹重夏辛酉
朴敦顯
都有司蔡仁榮
掌議【曹永耈許墐申世大壬辰春夏秋
朴鼎顯壬辰
都有司朴聖翊
掌議【曹永耈蔡時中癸亥夏秋
都有司朴瑞麟
掌議【蔡時中都鎭泰癸亥甲子
都有司許㙫
掌議【鄭世模都鎭泰甲子
都有司許㙫
掌議【鄭世模金達萬乙丑
都有司許㙫
掌議曹行益
許鐸乙丑
都有司曹永復
掌議【曹行益許鐸乙丑
都有司黃允中
掌議朴㶊顯
許憓丙寅春秋
都有司許墐
掌議朴㶊顯
許憓丙寅秋冬丁卯
都有司許墐
掌議【李世德都鎭平丁卯
都有司許壄
掌議【李世德都鎭平丁卯
都有司許恰
掌議【崔斗杓曹昌益丁卯
都有司許恰
掌議【鄭世模曹昌益戊辰春夏秋
都有司曹永禎
掌議【朴敦蹞林繼宗戊辰秋冬
都有司曹永禎
掌議【許{忄+甲}林繼宗己巳春夏
都有司朴師孟
掌議【曹垕益許鐸己巳
都有司朴師孟
掌議【曹垕益許鐸庚午
都有司許㙫
掌議【鄭世模曹行益庚午仲春
都有司許㙫同年季春
掌議【鄭世模金世浣
都有司曹弼漢同年秋冬
掌議【鄭世模金世浣
都有司曹弼漢辛未
掌議【張道璿許愽
都有司曹弼漢
掌議【張道璿都鎭夏辛未
都有司曹弼漢同年秋
掌議【張道璿都鎭夏
都有司曹壽益同年秋冬
掌議【許忱金世涵
都有司曹永耈壬申春夏
掌議【許忱金世涵
都有司曹永耈同年秋
掌議【李世楷全蹞泰
都有司曹永耈同年冬
掌議【李世楷張聖權
都有司曹永耈同年冬十一月
掌議【李遇祥張聖權
都有司金國賢癸酉
掌議【李遇祥張聖權
都有司朴瑞夢癸酉
掌議【玄德華黃瑞雲
都有司羅宗岳癸酉
掌議【玄德華黃瑞雲
都有司羅宗岳癸酉
掌議【曹永宗李益祥
都有司黃瑞瑃癸酉
掌議【張道瑾李希孟
都有司金世鉉
掌議【張聖權癸酉
都有司黃瑞瑃甲辰
掌議【許鐸鄭一龍
都有司黃瑞瑃同年夏
掌議【許惓曹尙文
都有司崔斗杓同年秋冬
掌議【張道瑾都鎭夏
都有司崔斗杓乙亥
掌議【張道瑾都鎭夏
都有司許爀乙亥
掌議【金充珎李希孟
都有司李世履同年夏
掌議【張道恊李希孟
都有司曹永耈同年秋
掌議【張道恊李希孟
都有司金國賢同年冬
掌議【張道恊李希孟丙子
都有司金國賢
掌議【金敵萬黃瑞雲】同年夏
崔允貞
都有司金直萬
掌議【崔允貞徐命璣】同年秋
都有司朴咸蹞
掌議【金敵萬徐命璣】同年冬
都有司金達萬
掌議【李希曾同年冬徐命璣丁丑春】
黃瑞瑚李希曾】同年夏
都有司金達萬
掌議【黃瑞瑚都鎭綏】同年秋
都有司金達萬
掌議【曹夏龍張道瑾】同年冬
都有司朴瑞泰
掌議【張道瑾曹尙義】同年冬
都有司朴瑞泰
掌議【張道瑾曹尙義戊寅
都有司都萬葉戊寅仲春
掌議【朴敏顯曹尙義
都有司都萬葉
掌議【朴敏顯許鐸】同春同秋
都有司曹永宗
掌議【都鎭陽李希孟戊寅秋冬
金達聲
都有司曹永宗
掌議【金達聲崔汝泰己卯
都有司許㙫
掌議【金達聲崔汝泰】同年春夏
都有司許㙫
掌議【朴乃顯朴駿孫乙卯
河陽郡鄕校任事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