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의흥향교(義興鄕校) 간행 『의흥교록(義興校錄)』 수록 1641년 박흔(朴俒) 「이안고사축문(移安告辭祝文)」, 「봉안제축문(奉安祭祝文)」, '성묘위차지도(聖廟位次之圖)'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5+KSM-WZ.1641.4772-20130630.Y13112010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향교지
작성주체 의흥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군위군 의흥면
작성시기 1641
형태사항 크기: 28.6 X 18.9
판본: 석판본
장정: 선장
수량: 1책
판식: 半郭 : 15.0×18.6㎝, 四周雙邊, 有界, 10行20字, 上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현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안내정보

의흥향교(義興鄕校) 간행 『의흥교록(義興校錄)』 수록 1641년 박흔(朴俒) 「이안고사축문(移安告辭祝文)」, 「봉안제축문(奉安祭祝文)」, '성묘위차지도(聖廟位次之圖)'
1641경상도(慶尙道) 의흥현(義興縣) 소재 의흥향교(義興鄕校)의 위패 봉안(奉安) 때 작성된 두 편의 축문(祝文)과 대성전에 모셔지는 위패의 위차도(位次圖)로, 모두 1935의흥향교에서 간행한 『의흥교록(義興校錄)』에 수록되어 있다. 축문의 작성자는 미상이며, 작성 시기는 1641년으로 추정된다. 별도로 작성 연도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위패를 옮길 때 작성되었다는 본문의 내용으로 보아, 실제 의흥향교의 새 대성전이 완성되고 봉안식이 이루어진 1641년 10월 초5일의 축문임을 알 수 있다. 두 편의 축문은 각각 「이안고사축문(移安告辭祝文)」과 「봉안제축문(奉安祭祝文)」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 전자는 국왕을 대리한 신하가 향교에 모셔진 5성(五聖)을 상향(尙饗)하며 작성한 것이다. 위차도는 ‘성묘위차지도(聖廟位次之圖)’라는 제목으로 5성, 송조(宋朝) 4현(四賢), 동국(東國) 18현(十八賢)의 위차를 표시해 놓았다. 본 자료는 『의흥교록』에 수록된 기문(記文)이나 서문(序文) 등과 더불어, 1641~1642년 향교가 중건 될 때의 전후 사정을 살펴보는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이광우,이수환

상세정보

1641慶尙道 義興縣 소재 義興鄕校의 새 聖廟에 위패를 옮겨 奉安할 때 작성한 祝文 두 편과 聖廟의 位次圖
[내용 및 특징]
1641慶尙道 義興縣 소재 義興鄕校에서 위패 奉安이 이루어질 때 작성된 祝文과 位次圖이다. 축문은 의흥향교의 새 聖廟에 위패를 옮겨 奉安할 때 작성된 것이며, 위차도는 聖廟, 즉 대성전에 모셔진 先賢들의 위패 위차도를 뜻한다. 祝文은 두 편으로 작자는 미상이다. 두 편의 축문은 각각 「移安告辭祝文」과 「奉安祭祝文」이라는 제목으로 位次圖와 함께, 1935의흥향교에서 간행한 『義興校錄에 수록되어 있다. 작성 시기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義興校錄에 수록된 李慶培의 「鄕校移創節目記」에 따르면, 1641년 10월 초5일 聖廟를 우선 완성한 뒤 위패를 奉安한 것으로 나타나, 두 祝文도 이때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의흥향교1641년 중건 공사를 시작하여, 그 해에 聖廟의 공사를 완성한 뒤 위패 奉安을 하였으며, 그 이듬해에 나머지 明倫堂과 門樓 건물을 완성하였었다.
「移安告辭祝文」은 새롭게 중건된 향교에 위패를 移安할 때 國王을 대리하여 작성된 것으로 5聖인 孔子, 顔子, 曾子, 子思, 孟子를 尙饗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奉安祭祝文」은 새로운 장소로 위패를 옮겨 봉안하게 되었으니, 영원히 안식하기를 바라며 엄숙하게 제사를 지낸다고 기재해 놓았다. 뒷부분은 ‘上下同’이라 부기한 뒤 생략하였다. 位次圖는 ‘聖廟位次之圖’라는 제목으로 5聖, 宋朝 4賢, 東國 18賢의 위차를 표시한 것이다.
[자료적 가치]
義興校錄에는 본 자료를 비롯하여 1641년과 1642년, 의흥향교를 移建하면서 작성된 각종 記文과 序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1641년에 작성된 李慶培의 「鄕校移創節目記」, 1642년에 작성된 洪禹範의 「重建鄕校頌幷序」와 朴俒의 「附重刱記後」는 본 자료와 함께, 의흥향교 관련 자료가 대부분 逸失된 상태에서 의흥향교의 연혁을 살펴보는 데 참고가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1935년에 慶尙北道 軍威郡 소재 義興鄕校에서 간행한 『義興校錄』 卷之一의 八에서 九까지 「移安告辭祝文」과 「奉安祭祝文」, 그리고 ‘성묘위차지도(聖廟位次之圖)’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義興校錄』, 義興鄕校, 1995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軍威마을誌』, 대구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군위군청, 군위문화원, 2007
이광우,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의흥향교(義興鄕校) 간행 『의흥교록(義興校錄)』 수록 1641년 박흔(朴?) 「이안고사축문(移安告辭祝文)」, 「봉안제축문(奉安祭祝文)」, '성묘위차지도(聖廟位次之圖)'

移安告辭祝文
某年月朔朝鮮國王某謹遣臣某敢昭告于
先聖大成文宣王伏以廟宇新構實惟舊基將奉
靈座玆有告辭謹以牲醴庶品式陳明薦以先師
復聖公顔氏郕國宗聖公曾氏沂國述聖公孔氏
鄒國亞聖公孟氏配尙饗
奉安祭祝文
伏以簡辰奉移舍舊就新庶冀永妥祗薦明禋【上下同】
[도표]
[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