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상량문(明倫堂上樑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I.1843.4782-20120630.Y121060411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시문류-상량문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상량문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상량문(明倫堂上樑文)
1843년 10월, 청도향교에서 명륜당(明倫堂)의 상량식을 하면서 지은 상량문(上樑文)이다. 청도향교의 유생들은 1842년 2월부터 청도향교의 중수를 요청하였으며, 이에 새로 청도군수로 부임한 송계백(宋啓栢)은 향교의 중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고, 3월부터는 대성전의 중수공사부터 시작하였다. 본 상량문의 내용으로 미루어 명륜당의 중수공사는 10월 10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 같다. 본 상량문의 내용은 향교는 국가교육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교육시설인데, 청도향교가 이건(移建)된 지 오래되어 퇴락하였으므로 여러 유림들이 건물의 중수를 결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어서 청도향교 주변의 산천경계를 찬미하면서, 향교중수를 계기로 해서 청도의 유림이 더더욱 발전하기를 기원한다는 말로 상량문을 끝맺었다.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살펴 볼 수 있는 자료 중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10월 10일, 청도향교에서 명륜당상량식을 할 때 지은 명륜당상량문.
내용 및 특징
1843년 10월 10일, 청도향교에서 명륜당 상량식을 하면서 작성한 명륜당상량문이다. 청도향교의 유생들은 1842년 2월부터 퇴락해진 향교건물의 重修를 요청하였는데, 여러 차례의 논의 끝에 향교의 重修가 결정되어 1843년에 건물의 보수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진다. 1843년 3월에는 大成殿의 重修가 시작되었는데, 본 문건으로 판단해볼 때 명륜당의 重修는 비교적 늦게 시작된 듯하다.(상량문의 작성시기가 음력 10월 10일이니 상량식도 이때 있었을 것이다.) 상량문의 내용은 우선 明倫堂이 성인의 가르침을 전하는 곳이며, 倫常을 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명륜당이 퇴락하고 낡았으므로 斯門의 선비들이 힘을 합쳐 重修를 발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청도향교가 위치한 주변의 산천경물을 찬미하면서, 이 명륜당의 중수를 계기로 하여 청도일대에 유교의 교화가 널리 펼쳐지기를 기원하고 있다. 1843년 10월 10일이라는(숭정4계묘 양월 상순일) 연도표기 밑에는 이 중수공사에 참여한 인명들이 나열되어 있다. 총 책임자로는 청도군수宋啓栢, 成造監에는 金再坤芮時補, 掌儀에는 孫亮熙金泳愚蔣龍漢, 都檢記官金晙河등이 열거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이름들이 나열되고 있다.
자료적가치
명륜당상량식 당시에 작성한 상량문으로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중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상량문(明倫堂上樑文)
明倫堂上樑文
入德之門大開仰聖訓於居仁由義講道之堂爰葺觀士風
於致敬執熙用永新祥毋墜舊典窃惟明堂之旣肅盖自斯道
之所關戴普天而咸宗大成莫盛鄒魯之風化履率土而畢尊
先哲最深河洛之典刑講此堂之明倫禮固定於上下學斯文
之立教訓亦垂夫華夷是乃宏大其楷模必須永昌其制度寓
思千古尙切士林之聳瞻未遑百年幾歎棟宇之靡靜奠聖廟
於因舊籩豆之典益嚴刱黌堂於重新絃誦之風復著上天若
助而時順多士致力而事諧入師門而薰陶正君臣父子之道
升其階而揖讓講愼思明辨之工文教復明興四方之淳俗賢
良軰出聞百世之遺風趨事者感奮而殫誠尙德者欽慕而執
敬怳然承襲之舊制諸生實獲依歸宛爾陟降之遺儀神道永
有昭享高層樑於南岳矧玆農山之開顔臨弘基於前川擬是
泮水之橫帶聊賦吾儻之同慶敢頌聖道之彌彰兒郞偉抛
樑東日出雲門山影紅誰識這中流聖化難形無臭繞蒼穹
兒郞偉抛樑西覽德千年露鳳兮淸一黃河何處是英英正氣
與天齊兒郞偉抛樑南涓涓王井釀來甘蔚然竹樹華山下
廟貌維新古制談兒郞偉抛樑北一帶東流川不息逝者如斯
何取哉泗洙源自長無極兒郞偉抛樑上精瑞天南奎壁郞黙
識其中存養心彌堅而鑽彌高仰兒郞偉抛樑下杏壇論志暮
春者詠而歸得耕而鑿高闢心田又大廈㐲願上樑之後儒風
復振聖學克彰維春夏之龢祀列纓弁而同歸亘天地之紀
綱攀戶牖而用慕崇禎紀元後四癸卯陽月上旬日壬子郡守
宋啓栢成造監金再坤芮時補都有司金再坤
掌議孫亮熙金泳愚蔣龍漢書都檢記官金晙河
將校李光郁金光道色吏金赫五金聲國都木手
金聲允鄭基洙差使李用碩千日洪校都書員洪
道元庫子韓有述都殿直徐達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