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량문(上樑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I.1843.4782-20120630.Y121060411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시문류-상량문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상량문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량문(上樑文)
1843청도향교에서 대성전의 상량식이 끝나고, 그 내용을 기록한 상량문이다. 원래 대성전의 상량식은 3월7일에 있었지만 상량문의 작자가 상량식에 맞추어 문장을 다 짓지 못했다. 이러한 연유로 부득이 상량문을 명륜당의 게판(揭板)에 게시하게 되었다. 상량문의 내용은 청도향교의 건물들이 낡고 오래되어 향(鄕)의 부로(父老)들이 건물의 중수를 발의함으로써 중수계획이 시작되었으며, 공사가 빠르게 진행되니 청도 유림의 학풍을 진작시키고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말미에는 중수에 관여한 사람들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총책임자로 청도군수송계백이, 성조감(成造監)으로 김재곤예시보 등이 임명되었다.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보여주는 문건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3월9일 淸道鄕校에서 大成殿의 공사를 완공하고 明倫堂에 게시한 대성전상량문.
내용 및 특징
1843년 3월9일, 淸道鄕校大成殿上樑式이 끝나고 그 내용을 기록한 大成殿上樑文이다. 일반적으로 上樑文은 上樑式을 하면서 건축물의 대들보나 상부구조에 안치하는데, 이 당시 上樑文의 作成者가 上樑式의 당일(3월7일)까지 문장을 작성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부득이 나중에 작성된 上樑文을 明倫堂의 揭板에 안치하였다. 상량문의 내용에 의하면, 鄕校는 王章의 상징이고 鄕俗교화의 터전이므로 매우 중요한데, 淸道鄕校는 移建한 지 오래되어 건물이 낡고 퇴락했으므로 斯文의 元氣를 발전시키기 어렵다고 하였다. 이에 淸道 一鄕의 父老들이 重修논의를 시작했더니 內外의 卿大夫들이 호응하여 鄕校의 大成殿 등을 重修하게 되었다. 이에 새로 지은 건물이 威儀가 있고 아름다우니 淸道 儒林의 學風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말미에는 이번 重修에 힘쓴 이들의 명단이 열거되어 있는데, 중요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총책임자는 청도군수宋啓栢이다. 成造監에는 金再坤芮時補등이 임명되었다. 都有司로는 金再坤이, 掌儀로는 朴漢烈金泳愚蔣龍漢 등이, 伐木都監으로는 朴思赫李大璉 등이 임명되었다.
자료적가치
대개 상량문은 상량식을 하면서 건물의 기둥이나 대들보 등에 넣어 두는 것이 보통인데, 상량식 날짜까지 상량문이 지어지지 않아서 본 상량문은 부득이 명륜당의 게판으로 매달아 보존하게 되었다. 역시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보여주는 글이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량문(上樑文)
大成殿上樑文揭板明倫堂
建學立敎丕闡王章之務先修寢齋誠感發鄕俗之近古迄今
牖後仍舊營新窃念道通百王師表萬世盖自太極之上無定
位焉實維生民以來未有盛矣嵬嵬而蕩蕩墻內之威儀斯存
郁郁乎明明天下之彛倫攸叙流行太和元氣開來一脉斯文
後學涵濡潑浩源於洙泗正道宏博仰九仞於龜農從古尊崇
之籩篚儼然春秋盛典至今欽仰之禮儀宛爾文獻大邦玆見
舊宇之重營可驗古敎之大振鄕補鄒魯永垂啓佑之遺風俗
學漢唐咸宗融和之餘韻盖聞八遷之居止豈無卜筮協從爰
葺重欄之毁壞擧功章甫聳動莫非天佑而神助固是上勉而
下勤役使趨奔初緣邑父老之唱議經營籌度竟賴鄕大夫之
樂成遂因基於舊開事半而功倍廼導䂓於前定貌古而材新
矧大嶺衣冠之林維道州尊俎之所瞻仰幾千年之承襲神道
昭明炳賁歷萬代之表章儒風興起笙篁有韻復聞諸絃誦
三春宮墻古規重光其折旋肆夏崇奉之典旣嚴作成之方宜
勉誠勤致力簡穀朝於南衙禮重頒條降香祝於北闕矩方
䋲直翼翼丹雘依然辟水之玲瓏德崇教明濟濟靑襟躋彼黌
堂之淸凈敢效棟樑之隆揭用慕道脉之休長兒郞偉抛樑東
流精百世太陽紅欽崇禮節無夷夏講業千年景仰風兒郞偉
抛樑西十里桑麻是紫溪活水之源河洛運日觀五道一心齊
兒郞偉抛樑南華山崒嵂氣鍾含近城花柳皆精彩序屬春王
雨露涵兒郞偉抛樑北太學肅然表峻德至正至中要物移聖
人居位仰無極兒郞偉抛樑上滿天星月畵中像淸明一氣渾
無息性在陶韻心在養兒郞偉抛樑下斯道平常知得寡復願
玆鄕文教彬杏壇春服日薰炙㐲願上樑之後儒風克昌文運
大啓薰陶是性馳志乎道學之當崇涵養斯心従事於人紀之
可振敦仁博義刮▣諸生先修嘉言入室升堂堦級斯嚴永傳
徽訓須尙誠敬之無怠益篤明薦之勿替崇禎紀元後四癸卯
暮春月上九日壬子竪柱上樑郡守宋啓栢成造監金再坤
芮時補都有司金再坤製掌議朴漢烈金泳愚
蔣龍漢書伐木都監朴思赫李大璉都檢記官金晙河
色吏金赫五金聲國將校李光郁金光道別有
張守大齋有司尹殷大李萬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