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조선후기(朝鮮後期)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이건상량문(明倫堂移建上樑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I.0000.4782-20120630.Y121060412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시문류-상량문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상량문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안내정보

조선후기(朝鮮後期)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이건상량문(明倫堂移建上樑文)
갑자년에 청도향교에서 명륜당을 이건(移建)하고 지은 명륜당이건상량문이다. 18세기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생각되는 본 상량문은 그 내용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부분은 명륜당이건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으로, 유서깊은 문헌의 고장인 청도(淸道)에서 건립된 명륜당은 인의예지 등 유교덕목을 사람들에게 교화하는 유림의 중심지같은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명륜당이 퇴락하고 붕괴의 위험마저 나타났으므로 이건을 하기로 결정되었다. 때마침 덕망높은 사또의 부임으로 이건의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어 청도유림의 터전인 명륜당이건이 신속히 진행되었다. 둘째 부분은 명륜당의 입지환경을 찬미하고 앞으로 청도유림이 무궁하게 발전해 나갈 것을 기원하는 대들보 노래(兒郞偉歌) 부분이다. 비록 그 작성시기를 정확히 판단 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 상량문을 통해서 청도향교가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쳤다는 사실을 재확인 할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甲子年에 청도향교에서 명륜당을 移建하면서 작성한 明倫堂甲子移建上樑文
내용 및 특징
甲子청도향교에서 명륜당을 移建하면서 작성한 명륜당 移建上樑文이다. 이 상량문은 아마 甲子년 이후에 발견된 상량문으로 보이지만, 甲子년을 어떤 특정 연도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 (만약 1651년의 상량문과 연관이 있다면, 1624년과 1684년이 가장 가까운 갑자년이다.) 상량문의 내용은 주로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명륜당을 移建하게 된 사정을 서술한 부분과 移建당시의 上樑과정을 서술하고 있는 대들보 노래의 두 부분이다. 명륜당移建의 사정을 서술한 부분에서는 淸道가 유서 깊은 교육의 고장임을 천명하면서, 특히 명륜당은 仁義禮智의 터전인데 이곳이 퇴락하고 기울어지는 바람에 공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때마침 덕이 뛰어난 지방관이 부임했으므로 명륜당 의 이건이 적기에 이루어지게 되어 淸道유림의 근심을 덜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제 명륜당의 移建이 이루어졌으니 五倫과 紀綱이 서고 유교공부에 뜻을 둔 선비들이 모여들어 淸道一鄕의 유림이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대들보 노래에서는 명륜당이 산과 계곡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吉地에 들어섰음을 먼저 찬미하면서, 이곳에서 선비들이 학문을 깊이 궁구하여 장차 淸道의 유림을 일으켜 세울 인재들이 배출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상량문은 갑자년이라는 것만 기록되어 있고, 명륜당 이건 당시의 참석자나 공사관계자 및 상량식이 이루어진 연도 등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결여되어 있어, 대개 17세기를 전후하여 명륜당의 이건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조선후기(朝鮮後期) 청도향교(淸道鄕校) 명륜당이건상량문(明倫堂移建上樑文)
明倫堂甲子移建上樑文
設教明人倫方際右文之治修繕進後學聿遷講藝之堂世道
自此益隆儒術於斯爲盛粤惟伊西舊域嶺南名州三物之教
所以賓興俗尙淳素十室之邑必有忠信人稱文獻夏曰校殷
曰序周曰庠瞻彼聖廟之累徙漸以仁摩以義節以禮竊慮
棟宇之將傾輿情爰徹於天聰移建式謀於地主拓新基於北
麓相地之冝運舊材於南山揆日斯作先搆魯廟之翼翼巍乎
▣焉玆營夏屋之渠渠美哉盛矣工倕役智揔依昔時之䂓模
匠石逞才不頗今日之䋲墨迨經始是遷是斷庶民子來給餽
餉于橐于囊我侯之德佇見棟隆之吉永期學校之成籩豆釋
菜于聖師庶免傍風上雨冬夏講明乎詩禮賴有左齊右庖
盖其金聲而玉振之韋布攸集維此竹苞而松茂矣倫紀斯存
於焉執經之如雲展也造士之有日將鳴國家之盛夫孰不皷
舞而聳觀凡待文王而興是所謂踴躍而振起爰誦一鄕永言
之曲庸奏雙虹助擧之辭兒郞偉抛樑東翠屛臨水卧如龍淵
源混混朝宗海不息分明一理通兒郞偉抛樑南華岳擎天生
碧嵐厚重端爲仁者樂悠然意趣正巖巖兒郞偉抛樑西白鹿
遺風菀紫溪扶植鄕邦文教在希賢高躅便思齊兒郞偉抛樑
北平林脩道連雲直升高自下是工夫吾黨乾乾須用力兒郞偉
抛樑上曠蕩圓穹覆萬像大德同流不可階玄天垂則斯宣朗
兒郞偉抛樑下靑襟濟濟皆遊夏學文日就有光明顯相駿奔
天錫嘏㐲願上樑之後群才蔚興多士振作禮義相先之地脩
明五常之倫道德秉彛之天淳厖百代之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