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중건출물용하록(重建出物用下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G.1843.4782-20120630.Y121060412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용하기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중건출물용하록(重建出物用下錄)
1843년, 청도향교에서 향교중수공사를 마치고 그 경비의 사용내역을 기록한 중건출물용하록(重建出物用下錄)이다. 용하록의 내용에 의하면, 당초 향교중수공사를 논의할 때, 청도(淸道) 한 고을의 모든 유호(儒戶)로부터 유호전(儒戶錢)을 거두어 경비에 충당할 것을 의결했다. 그러나 3299호로부터 1냥씩 거둔 돈 3299냥으로도 총 경비에는 부족했기 때문에 장부에서 빠진 유호로부터 38냥을 거두었고, 또 향교 뒷산의 나무를 베어 판 돈 10냥 2전과 각 문중의 부조전(扶助錢) 154냥 5전을 합쳐서 총 3501냥 7전의 경비가 마련되었다. 이의 부족분 1냥 1푼에 대해서는 향교가 자체의 돈으로 충당하였다. 이처럼 1843년 향교중수 공사의 자세한 사정 및 경비 내역까지 기록되어 있어서, 1843년 향교 중수에 대해 그 상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에 청도향교에서 중수공사를 마치고 작성한 重建出物用下錄.
내용 및 특징
1843년, 청도향교에서 향교의 중수공사를 마치고 돈을 사용한 내역에 대해 기록한 重建出物用下錄이다. 본 用下錄의 내용에 의하면, 당초 청도향교에서 향교중수를 논의하면서, 淸道一鄕의 儒戶들에게 儒戶錢 1냥씩을 거두어 중수비용으로 충당하기로 하였다. 이리하여 3299戶의 儒戶로부터 3299냥의 儒戶錢을 거두었으나 이 돈으로 경비를 충당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 때문에 장부에서 빠진 儒戶를 조사하여 38냥을 더 거두어 총 3337냥이 되었다. 이 비용으로도 전체비용에는 좀 모자랐기 때문에 校宮 뒷편의 나무를 베어서 思樂樓를 중수하고, 남은 나무를 판매하여 얻은 돈 10냥 2전과 각 門中에서 扶助錢을 거둔 돈 154냥 5전을 중수비용으로 충당하였다. 그 결과, 총 3501냥 7전의 돈을 경비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경비외의 부족분 1냥 1푼은 향교에서 자체경비로 충당하였다. 이처럼 향교중수공사의 전말과 그 경비 사용내역을 용하록에 상세히 기록하여 후대에 참고자료로 제공한다고 하였다.
자료적가치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중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중건출물용하록(重建出物用下錄)
重建出物用下錄
當初建議之時一鄕儒品齊會倫堂以言生財之道則校宮重葺
儒錢取用便是本泉僉議詢同官題亦許故抄出本鄕儒戶
數至三千二百九十九戶每戶一兩式分排則錢爲三千二百九十
九兩故以爲重建之財而及其董役之日每患財力之不足用下
等節官家與都所逐條定式擳擳考勘校宮十有家宇毁而
復新治垣塗雘措用不▣自官更査落漏幼戶以一兩例捧之
亦爲三十八兩儒錢合數三千三百三十七兩樓材次校後松六十
八株斫用枝斷木發賣錢十兩二戔以此勘下則不足錢一百五
十六兩九戔一分也已於畢事之日本鄕士林更會校堂修議於
添財之方則以鄕內儒中使之寡衆分揀各門分定出財以報
加下事理當然而僉論歸一自會中依所願書錄各門扶助錢
一百五十四兩五戔鄕中前後出財三千五百一兩七戔磨鍊用
下則猶有不足錢一兩一分乃自校中日下中酬報一鄕之大擧
無弊竣事大抵財節用事如意者豈非士林之大幸歟校事顚
末生財用節謄諸冊本以供來後之眺云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