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교궁중건용입질(校宮重建容入秩)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G.1843.4782-20120630.Y121060412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용하기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교궁중건용입질(校宮重建容入秩)
1843년에 청도향교에서 향교중수공사를 마치고 작성한 교궁중건용입질(校宮重建容入秩)이다. 본 교궁중건용입질은 1843년에 작성된 중건출물용하록(重建出物用下錄)과 동시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당시 중수공사 이후, 총 공사비 3504냥 1전 1푼에 못 미치는 3299냥의 유호전(幼戶錢)만이 거두어졌으므로 별도로 각 문중에서 부조전(扶助錢)을 거둔 것이 154냥 5전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교궁중건용입질에서도 각 문중에서 거두었다는 부조전이 154냥 5전으로, 중건출물용하록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같은 해에 작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교궁중건용입질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부분은 교궁의 중건과정에서 사용된 각종 건축자재의 종류 · 수량 ·금액 등을 자세히 기재한 부분이다. 예를 들면 대성전에 사용된 재목의 수효는 243토막(土)이고,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에 사용된 재목의 수효는 각기 172토막과 168토막이다. 이 공사는 각종의 못이 동원되었는데 연두정(椽頭釘)·평고두정(平高頭釘)·무시정(無是釘)·소정(小釘)·람정(藍釘)·돌쩌귀(乭作耳)·환(環) 등이 그것이며 이들 철물가의 총액이 191냥 5전 8푼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 및 서재(西齋)에 대해서도 중건공사에 이용된 재목의 수량 · 금액 · 식사비용 등등이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기록의 둘째부분은 공사비의 총액을 유호전으로 모두 조달하지 못하자 각 문중에 부조전(扶助錢)을 내게 하여 154냥 5전을 거두었는데, 바로 이들 34개 문중의 성씨와 보조한 금액 등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에 청도향교에서 중수공사를 마치고 작성한 校宮重建容入秩
내용 및 특징
1843년 에서 향교중수공사를 마치고 나서 건축에 사용된 재료 및 각 문중에서 거둔 추가 보조금 내역을 기록한 校宮重建容入秩이다. 이 校宮重建容入秩은 1843년에 작성된 重建出物容下錄과 함께 작성된 듯하나, 겨우 연도만 파악이 가능할 뿐, 관련 작성 날짜를 명시한 기록이 없으므로 그 날짜는 알 수 없다. (본 문헌에는 각 문중에서 거둔 154냥 5전의 扶助金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重建出物容下錄에 기록된 扶助金의 액수와 일치하므로 연도만은 같은 해에 작성된 것으로 본다.) 본 校宮重建容入秩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의 내용으로 나뉘어져 기록되고 있다. 첫째 부분은 校宮重修에 사용된 각종 재료 및 금액의 숫자들을 기록한 부분이고, 둘째 부분은 각 門中에서 거둔 扶助金의 내역을 기록한 부분이다.
첫째부분은 校宮重修에 사용된 각종 건축재료의 내역을 밝히는 부분인데, 大成殿에 쓴 재목이 243土(토막의 뜻인 듯)이고 東廡西廡에 사용한 재목이 각기 172土와 168土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神門과 焚香門에 사용한 재목이 22土이고, 神位尊床 15坐에 10土의 재목을, 龍亭子와 각종 의자에 5土와 22土의 재목을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椽頭釘·無是釘·籃釘·乭作耳(돌쩌귀의 뜻인듯)·環 등 각종 鐵物價의 수량과 금액을 기록하였는데, 철물가 총액이 191냥 5전 8푼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木手功料錢과 鋸刀匠의 功料錢으로 각기 611냥 4전과 82냥 8전의 금액을 기록하였다. 大成殿東廡西廡에 대한 건축의 내역 다음에는 明倫堂東齋·西齋의 건축에 사용된 금액을 기록하고 있다. 그 내역을 살펴보면, 우선 明倫堂건축에 사용된 재목은 412土이고, ‘東齋’와 ‘西齋’ 건축에 사용된 재목은 각기 41土와 5土라고 기록하였다. 椽頭釘은 88丹 4개가 필요한데 그중 10丹 4개는 기존 사용되던 釘을 썼으며 78丹의 釘을 78냥의 돈을 주고 샀다고 기록하였다. 平高頭釘의 경우, 139丹 6개가 필요한데, 42丹 9개는 舊釘을 사용했고, 99丹 7개의 값으로 48냥 8전 5푼을 사용했다고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小釘을 584丹 9개, 無是釘 12개 등을 사용했으며, 鐵物價총액은 185냥 5전 5푼이었다. 다음으로 思樂樓 건축에 사용된 각종 내역을 살펴보면, 재목이 440土이고 冲方釘·椽頭釘·平高頭釘·小釘·乭作耳·環·片鐵·藍釘 등 鐵物價 총액이 145냥 5전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木手功料錢이 311냥 9전 5푼이고 鋸刀匠功料錢이 50냥이며, 이외에 木手들의 山役功錢이 81냥 2전이며, 鋸刀匠의 山役功錢은 3냥 6전이라고 기록하였다. 기타 바닥에 까는 地尾·白骨席·莞席의 세공가격이나 畵工의 노임등도 자세히 기록 되었다.
둘째부분은 전체의 총공사비가 3504냥 1전 1푼인데, 청도의 각 儒戶로부터 거둔 금액이 3299냥에 불과하므로 향교 뒷산의 소나무를 베어 판돈 10냥 2전과 명단에서 누락된 儒戶에게서 거둔 돈 38냥을 합쳐도 부족하였기 때문에 각 門中에서 扶助金 154냥 5전을 거두어 액수를 맞추었다고 하였다. 이어서 34개의 門中으로부터 거둔 금액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 중 5냥 이상 낸 문중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南溪金氏·仙巖朴氏·明溪李氏·琴湖李氏·鳳洞芮氏·華溪蔣氏·新安洞朴氏·日谷里崔氏· 元塘里朴氏·勒坪里潘氏·冷井里李氏·蓴池洞金氏·能谷里閔氏·安仁里趙氏
자료적가치
본 校宮重修容入秩은 청도향교 重建時의 財政조달 방안 및 重建에 투입된 資料나 금액 등이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서원과 향교에 대한 重修記錄이나 建立記錄은 적지 않지만, 그러나 설계의 직접적인 내역, 예컨대 나무를 베는데 몇 명의 人力이 며칠 동안 동원되어 나무를 몇 그루나 베고 食價나 勞賃을 얼마나 주었다든가 등의 세밀한 내용까지 기입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校宮重建容入秩은 朝鮮時代의 建築진행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교궁중건용입질(校宮重建容入秩)
校宮重建容入秩
大成殿入材木二百四十三土
東廡入材木一百七十二土
西廡入材木一百六十八土
神門焚香門入材木二十二土
龍亭子所入木五土
各位倚子所入木二十二土三十二坐
椽頭釘一百八丹七箇十七丹八介舊丁改用九十丹九介錢九十兩九戔
平高頭釘九十三丹二箇五十四丹八介舊丁改用三十八丹四介錢十九兩二戔
無是釘五箇錢五兩
小釘七百二十丹七箇二百六十丹舊丁改用四百六十丹七介錢五十七兩五錢六分
藍丁八十一丹二箇錢八兩一戔二分
乭作耳二十四巨里
環二十二箇
女乭作耳二十二箇
錢十兩八戔
合鐵物價一百九十一兩五戔八分
木手功料錢六百十一兩四戔
鉅刀匠功料錢八十二兩八戔
明倫堂入材木四百十二土
東齋入材木四十一土
西齋入材木五土
椽頭釘八十八丹四箇十丹四介舊丁改用七十八丹錢七十八兩
平高頭釘一百三十九丹六箇四十二丹九介舊丁改用九十九丹七介錢四十八兩八戔五分
小釘五百八十四丹九箇二百二十丹舊丁改用三百六十四丹九介錢四十五兩九戔
無是釘十二箇錢九兩六戔
合鐵物價一百八十五兩五戔五分三兩二戔鎖金四介價一百八十二兩三戔五分鐵釘價
木手功料錢二百二十一兩二戔
鉅刀匠功料錢四十六兩九戔五分
思樂樓移建入材木四百四十土
冲方釘八箇二箇舊丁改用六箇錢四兩八戔
別大釘一丹錢二兩
椽頭釘七十九丹三箇七丹五介舊丁改用七十一丹八介錢七十一兩八戔
平高頭釘八十二丹五箇四十一丹舊丁改用四十一丹五介錢二十兩七戔五分
犬脚軒所入別釘三十七丹七箇錢二十五兩九戔五分
小釘一百三丹六箇二十一丹舊丁改用八十二丹六介錢十兩二戔
乭作耳六巨里
同四實環十六
大門片鐵十二
藍釘十丹
錢十兩
合鐵物價一百四十五兩五戔
木手功料錢三百十一兩九戔五分
鉅刀匠功料錢五十兩
始終㪚下
錢八十一兩二戔木手十六名山役功錢
錢一百四十二兩四戔五分伐木都監將校四人及木手十六名三十七日食下
錢三兩六戔鉅刀匠三名四日山役功價
錢四兩五分右食下
錢三百二十七兩二戔五分地尾十五訥五百二十五張價
錢六十六兩一戔五分材木七百十株價
錢一百六十二兩一戔五分土役匠功料五十二兩一戔一分食下一百十兩▣▣及土役功價
錢二百九十兩七戔五分畵工功料九十三兩七戔五分食下一百九十七兩功價
錢一百三十四兩一戔四分白骨席莞席葛席及縇木細繩價彩花匠針刺匠等食下
錢四十二兩一戔紙地價二兩中壯紙一束四十兩一戔白紙十九▣五束
錢七十六兩二戔二分移還安祭物四十八兩八分移安二十八兩一戔四分還安
錢三十九兩四戔九分移還安時諸執事食下
錢四十三兩七戔一分校會下記報
錢十四兩九戔九分都廳及成造監一員食下
錢十四兩將校二人料
錢十五兩思樂樓立柱上樑例下
錢八兩三戔四分懸板刻宇匠功料
錢二兩香祝祗來人比安儒生路子下
錢三十七兩五戔殿內倫堂築墻貰
錢三十五兩七戔三分役丁一百三十六名貰
錢二十兩磧川寺僧致死被傷者二名自官分付帖下
錢八十七兩一戔八分做事小小各色幷
錢九兩二戔二分加下歸屬時兩次校會下記報
都合下錢三千五百四兩一戔一分內
三千三百三十七兩幼戶錢捧三千二百九十九兩先出秩三十八兩落漏幼戶査出捧來
一百五十四兩五戔鄕內各門中分排錢來
十兩二戔校後出松楸斫用後端木作錢
一兩四戔大峴金朴兩姓木價相訟勿施還推入
一兩一分自校中擔當
材木都合所入一千五百四十土內
一千三百十五土給價伐木七百十株作土中加减實數
二百十一土校後山伐木六十八株作土
五土竹林寺案山木一株作土
九土植松田斫来
各門中分排
紫溪金氏門中錢壹兩
南溪金氏門中錢㭭兩
仙巖朴氏門中錢拾伍兩龍岡幷
明溪李氏門中錢拾伍兩
琴湖李氏門中錢柒兩
道林李氏門中錢壹兩
鳳洞芮氏門中錢㭭兩
華溪蔣氏門中錢伍兩
新安洞朴氏門中錢㭭兩次北面
梨谷里金氏門中錢貳兩
日谷里崔氏門中錢拾兩內西面
元塘里朴氏門中錢伍兩龍山面
勒坪里潘氏門中錢陸兩
水也洞金氏門中錢肆兩上北面
小亭里孫氏門中錢貳兩次北面
冷井里李氏門中錢陸兩
龜尾洞孫氏門中錢參兩下南面
院洞里成氏門中錢壹兩下南面
蒪池洞金氏門中錢拾兩二位面
芳㫖洞丁氏門中錢參兩中東面
牙音里金氏門中錢肆兩上南面
能谷里閔氏門中錢陸兩龍山面
柳等里郭氏門中錢壹兩
柳等里張氏門中錢壹兩次邑面
慕堈里趙氏門中錢貳兩
慕堈里崔氏門中錢貳兩龍山面
安仁里趙氏門中錢伍兩
古坪洞朴氏門中錢參兩次邑面
老鳳洞金氏門中錢參兩上邑面
文峀洞郭氏門中錢貳兩次北面
德山里金氏門中錢壹兩東上面
柿谷里康氏門中錢貳兩次北面
梧琴里曺氏門中錢貳兩上北面
合錢壹百伍拾肆兩伍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