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사락루이건실기(思樂樓移建實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G.1843.4782-20120630.Y12106041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사락루이건실기(思樂樓移建實記)
1843년 7월15일, 청도향교김재곤(金再坤)이 작성한 사락루이건실기(思樂樓移建實記)이다. 사락루청도향교명륜당의 입구에 있는 문루(門樓)이다. 이건실기의 내용에 의하면, 사락루 창건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원래 고평동(古坪洞)에 있었던 사락루는 1568년에 천로(天老)로 옮겼다. 1628년에 다시 오산(鰲山)아래로 옮겨졌으며, 1684년에는 다시 천로로 옮겨졌다가, 1734년에는 송정(松亭)으로 옮겨졌다. 이후 100년 넘는 세월이 흘러 건물이 퇴락하였으므로, 1843년 향교중수공사때 사락루도 함께 중수되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사락루의 역사는 청도향교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7월15일, 청도향교金再坤이 작성한 思樂樓移建實記
내용 및 특징
1843년 7월15일, 청도향교金再坤이 작성한 思樂樓移建實記이다. 思樂樓청도향교明倫堂으로 향하는 門樓이다. 移建實記에 의하면, 思樂樓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創建初期의 思樂樓古坪洞에 있었다고 한다. 思樂樓宣祖元年(1568년)에 天老로 移建하였다가, 仁祖6年(1628년)에는 鰲山아래의 午坐로 移建하였다. 肅宗10년(1684년)에는 天老의 子坐로 移建되었다고 하며, 英祖10년(1734년)에는 다시 松亭으로 移建하였다고 한다. 松亭은 현재의 터이긴 하지만, 100년 넘는 세월이 흐르면서 건물이 낡고 퇴락하게 되어 다시 重修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1843년 3월에 대성전중수가 시작되었으며, 5월에는 明倫堂의 중수가 시작되었고, 7월초부터는 思樂樓의 중수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 重建工役을 감독하고 지휘한 사람은 淸道鄕校의 重修工事에서 成造監을 맡았던 김재곤이었다.
자료적가치
청도향교사락루의 중수과정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사락루이건실기(思樂樓移建實記)
思樂樓移建實記
樓卽鄕校之門樓也校乃道州之學校也道州之校樓始自剏建至
于是基已卜八遷盖剏初三遷世遠未詳傳自古坪隆慶二
戊辰移建于邑下天老上癸坐後戊辰移建于邑上鰲山下
午坐康熙二十三年甲子移建于下天老子坐崇禎紀元後百有
七年甲寅九月二十四日移建于中松亭松亭卽是基也其間百七
十年之久殿廡堂齋日毁月壞東撲西顚重建之議曠世末
遑矣宋侯尊聖盛德合於鄕儒建議始事於道光二十二年
寅至月而癸卯三月以爲殿廡重建還安後五月倫堂齋舍
之役七月初繼始樓役樓本在神門之西西齋之北墻外東向而巋
然獨立殘礎欹桶頹以倫堂移建于堂之北鳩材伐木己盡於
殿堂之重建大役追伐校後松新備體椽之材其董役浩大
竟不煩丁而成樓規矩神妙之策實爲凡見所難良籌况又鄕
財三千餘金校宮十有舍宇未朞年而丹雘煥然復成抑亦晦
顯有時歟鄕運回泰歟余以庸陋之才猥當成造時二任與監
役僉執事發慮出謀非徒校宮之翼然列聖賢哲位奉安之
儀造倚子備盡其道豈非本鄕士林之大幸歟始事顚末昭在於
蔣雅士記文中而樓之役重大故畧陳其事實云爾崇禎紀元後
四癸卯閏七月卽望金再坤朴龍德
開基列礎七月十七日卯時竪柱二十四日巳時上樑閏七月十八日
辰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