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C.1843.4782-20120630.Y12106041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내용분류: 정치/행정 - 보고 - 첩보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1843년 4월 24일과 5월 2일에 대성전의 수리를 위해 이동하였던 위패의 환안일자(還安日字)를 5월 1일로 잡았음을 보고하는 첩보와 5월 1일에 환안제를 봉행하였음을 보고하는 첩보로 이루어져 있다. 이밖에도 이 두 종류의 첩보 앞부분에 ‘성묘상량부록(聖廟上樑附錄)’이라는 글이 실려있는데, 이 글은 원래 상량문으로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상량이 이루어진 4월9일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부득이 명륜당의 현판으로 게시하였다고 했다. 본 첩보의 내용에 의하면, 환안제(還安祭)를 올리면서 수헌관(首獻官)으로는 청도군수송계백과 유학(幼學)인 김두승박한규박정검예시검등의 성명을 기록하였다. 환안제의 제수품은 이안제의 제수품과 동일하므로 생략하였으며, 환안제에 사용했던 축문(祝文)을 말미에 첨부하였다.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5월2일 淸道鄕校에서 大成殿의 수리가 끝나서 位版을 還安한 사실을 巡營에 보고한 牒報.
내용 및 특징
1843년 5월2일, 大成殿의 수리가 끝나고 還安이 다 이루어졌음을 巡營에 보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牒報이다. 특이한 것은 5월2일의 牒報앞에 4월24일 淸道鄕校에서 巡營에 보낸 牒報가 있으며 (그 주요내용은 還安의 日字가 5월1일로 정해졌다는 내용이다), 이 牒報의 앞에는 또 上樑日까지 上樑文을 짓지 못해 결국 늦게 지은 上樑文을 가지고 明倫堂의 懸版으로 걸게 되었다는 사연을 담고 있는 ‘聖朝上樑附錄’이라는 글이 첨부되어 있다. 이 上樑文의 내용에 의하면, 淸道鄕校는 1734년(崇禎紀元後百有七年) 9월24일에 현재의 자리로 移建되었다고 하며, 기둥에서 발견된 上樑文은 그 내용을 베껴서 鄕校 留冊에 넣어 보관하도록 했다. 다음으로 還安祭의 祭品들은 移安時의 祭品과 동일하므로 그 소개를 생략하였다. 이어서 환안제를 주관한 사람들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首獻官으로는 淸道郡守宋啓栢을 비롯하여 金斗昇朴漢圭朴廷儉芮時儉 등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 大祝으로는 金再坤이, 執禮로는 李敏睦이, 典司官으로는 金昌潤이, 都有司로는 金再坤이, 掌儀로는 孫亮熙金泳愚 등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말미에는 還安祭에 사용했던 祝文이 첨부되어 있는데, 그 형식은 移安祭에 사용했던 것과 비슷하다.
자료적가치
淸道鄕校重建謄錄의 일부이다. 大成殿의 수리를 끝낸뒤, 明倫堂에 모셨던 位版을 還安하면서 還安祭를 봉행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還安祭도 역시 淸道郡守가 주관하였으며, 淸道鄕校의 重建過程을 소상히 알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聖廟上樑附錄
崇禎紀元後四癸卯卽道光二十三年癸卯也伐木壬寅十二月
十二日始役癸卯三月初五日戊申竪柱初七日庚戌巳時上
樑初九日壬子午時而上樑文不寫登樑書揭于明倫堂懸板
聖廟移建本基者崇禎紀元後百有七年甲寅九月二十四
日也舊上樑文謄書于鄕校留冊中郡守宋啓栢都有司
金再坤成造監金再坤芮時補掌議朴漢烈金泳愚
伐木都監朴思赫李大璉都檢金晙河色吏金赫五
金聲國伐木將校李光郁金光道都木手金聲允
爲牒報事本郡鄕校聖殿今已修改而還安日子推擇是
乎則來五月初一日巳時是乎等以緣由牒報爲臥乎事合行云
道光二十三年四月二十四日報巡營爲牒報事本郡鄕校還
安日字推擇緣由已爲牒報爲有在果本月初一日巳時還
安祭依禮文設行後祭物及諸執事幷以粘移次兩報爲
臥乎事合行云云道光二十三年五月初二日報巡營
還安祭物與移安祭同
首獻官行郡守宋啓栢
幼學金斗昇朴漢圭朴廷儉芮時儉
大祝幼學金再坤
執禮幼學李敏睦
典司官幼學金昌潤
都有司幼學金再坤
掌議幼學孫亮熙金泳愚
東西從享擎奉官幼學李謙善郭在斗金東奭李琥楨
蔣龍九李寅善潘錫源朴廷柱
李周晟金時克朴龍德朴世垕
芮東煥蔣龍漢孫應籙金養圭
東西廡擎奉官幼學朴萬燮張大奎朴楨德李竝祐
孫養秀朴基柱康思億朴尙龜
金尙珏金致曄李大容朴準德
趙起宅金贊坤李膺善李光斗
西齋三十人
還安香祝
道光二十三年歲次癸卯五月癸卯朔初一日癸卯
朝鮮國王
謹遣臣行淸道郡守宋啓栢敢昭告于
先聖大成至聖文宣王伏以塗垕告成廟宇重完潔我鉶
籩禮奉孔安設以牲醴庶品式陳明薦以先師兗國復聖
公顔氏郕國宗聖公曾氏沂國述聖公孔氏鄒國亞聖公孟
氏配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