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XC.1843.4782-20120630.Y121060411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내용분류: 정치/행정-보고-첩보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1843년 3월 4일, 청도향교에서 대성전의 수리를 위해 여러 성현 위패의 이안제(移安祭) 및 이안(移安)을 시행한 사실을 경상도감영에 보고한 첩보(牒報)이다. 이 첩보의 내용에 의하면, 위패의 이안(移安)을 위해 제사를 먼저 올리고 위패는 명륜당에 임시로 봉안하였다고 했다. 또 다섯 성인과 십육위(十六位)․십육현위(十六賢位)의 제사에 사용된 제물의 수량을 기록하였으며, 아울러 제사를 주관한 여러 제관들의 성명을 기록하였다, 수헌관(首獻官)으로는 청도군수송계백을 비롯하여, 예덕귀김재규손승정박승해 등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말미에는 이안제를 지낼 때의 축문과 이안절차가 첨부되어 있다. 청도향교 중건과정의 진행상황을 파악 할 수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3월4일 淸道鄕校에서 大成殿의 수리를 위해 위패를 移安했음을 巡營에 보고한 牒報
내용 및 특징
1843년 3월4일, 淸道鄕校에서 大成殿의 重修를 위해 위패를 移安했음을 巡營에 보고한 牒報이다. 이 牒報의 내용에 의하면, 3월4일에 移安祭를 올린 다음, 位版을 明倫堂에 奉安하였다고 하였다. 이어서 黍米․鹿醢․鹿脯․大棗․靑葅․豕牲․黃燭․笏記紙․黃筆․眞墨․燈油 등 각 聖位와 賢位 등에 소요된 祭物의 수량을 기재하였다. 다음으로 祭祀에 참가한 祭官들의 성명을 기록하고 있다. 首獻官으로는 淸道郡守宋啓栢을 비롯, 芮德龜金再珪孫承鋌朴升海 등이 기록되어 있다. 大祝은 幼學金再坤이, 執禮로는 幼學李圭執이, 典司官으로는 幼學李炳楨이, 都有司로는 金再坤이, 掌議로는 朴漢烈金泳愚등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移安祭를 지낼 때 사용한 祝文이 실려있는데 이 祝文의 내용에 의하면, 移安에 대한 내용을 고유하는 대상은 顔回曾子子思孟子 등의 聖人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말미에는 移安의 절차에 대한 문건이 첨부되어 있다.
자료적가치
淸道鄕校重建謄錄의 일부이다. 大成殿에 모신 位版의 移安을 위해 移安祭를 지내고, 그 사실을 巡營에 보고한 내용이다. 移安祭의 전체적 집행을 淸道郡守가 직접 주관했음을 알 수 있다. 淸道鄕校의 重建과정을 소상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첩보(牒報)
爲牒報事本郡鄕校移安日字推擇緣由已爲牒報爲有在
果本月初四日移安祭依禮文設行後聖殿位版同日卯
時奉安于明倫堂爲有等以祭物及諸執事幷以粘移次
兩報爲臥乎事合行云云道光二十三年三月初四日報巡營
移安祭祭物
五聖位稻米一斗五升黍米一斗五升鹿酤七升五合鹿
脯十五條大棗靑葅七升五合豕牲一口
黃燭十柄笏記紙一張黃筆一柄眞墨一丁
十六哲位稻米四斗八升黍米四斗八升鹿酤一斗六升
鹿脯四十八條大棗一斗六升靑葅一斗六升豕牲
一口黃燭十六柄燈油一升酒米四斗七升麯子二
斗三升
十六賢位稻米四斗八升黍米四斗八升鹿酤一斗六升
鹿脯四十八條大棗一斗六升靑葅一斗六升豕牲
一口黃燭十六柄燈油一升酒米三斗二升麯子一
斗六升
首獻官行郡守宋啓栢
幼學芮德龜金再珪孫承鋌朴升海
大祝幼學金再坤
執禮幼學李圭執
典司官幼學李炳禎
都有司幼學金再坤
掌議幼學朴漢烈金泳愚
東從享擎奉官幼學朴潤根朴思赫芮時櫓金宗洛
朴晦林朴光浩李大璉李敏睦
西從享擎奉官幼學朴漢佑進士崔潤坤幼學金志坤
李根晦金淵愚朴時德李致善
李在善
東廡擎奉官幼學潘周翊芮東彦金尙權朴斗鎭
郭在仁朴龍德張大奎金履圭
西廡擎奉官幼學蔣龍漢趙義宅李文浩朴振孝
金七坤朴泰黙朴性武閔致奎
西齋三十人
移安香祝
道光二十三年歲次癸卯三月甲辰朔初四日丁未
朝鮮國王
謹遣臣行淸道郡守宋啓栢敢昭告于
先聖大成至聖文宣王伏以有儼聖殿改宜隨頹虔告移奉
吉日泂罍謹以牲醴庶品式陳明薦以先師兗國復聖公
顔氏郕國宗聖公曾氏沂國述聖公孔氏鄒國亞聖公孟氏
配尙

移安節次
鄕校重修移還安香祝禮曺書吏賫擎下來於巡到邑
安縣仍爲病臥巡使道別定比安儒生安百英賫京都城門外
故儀仗龍亭皷吹等節一依迎赦儀擧行而官司客舍龍虎
門外祇迎都有司五里祇迎仍陪直入殿庭官司與都有司四
拜後官司奉安于殿內龍床使校生守直是如可三月初三
日奉行鄕校時儀仗皷吹官司與都有司幷後陪奉安于
明倫堂正間北壁而以壁龕奉行耳同月初四日丑時行移安
祭卯時移安而文宣王位別造龍亭校生擔奉官司後陪
四聖位亦以龍亭次次擔奉差備官後陪十六哲位十六
賢位差備官擎奉五聖位明倫堂東上房移安十六哲
位十六賢位大廳移安而房壁與廳間以蘆蕈防疾雖
鳥獸之物不敢出入正間則作板門封鑰使校生校奴次次逓
番守直而朔望焚香依例擧行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