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4년 하양향교(河陽鄕校) 상서(上書)
1724년 5월,하양향교의 유생박서봉(朴瑞鳳)이 경상감사김동필(金東弼)에게 환성사(環城寺)를 하양향교의 소속사찰로 해줄 것을 다시 한번 청원한 상서(上書)이다. 1724 4월 박서봉등의 상서로 인해 시작된 환성사의 소속문제는 경상감사김동필이 하양향교에 유리한 판결을 내리면서 일단락 된 듯 했다.그러나 이에 반발한 임고서원(臨皐書院)의 유생들이 용인(龍仁)의 충열서원(忠烈書院)과 成均館에 통문(通文)을 보내고 경상감사판결의 부당함을 비판하면서 문제가 다시 불거지게 되었다. 이에박서봉등 하양향교의 유생들은 재차 상서를 올려경상감사의 판결을 지지하면서 임고서원의 주장이 옳지 않다고 반박하였다. 본 상서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부분은환성사가 하양향교의 소속사찰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부분이다. 임고서원은 소속사찰이 4개나 되는데, 하양향교에는 하나의 사찰도 소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리적으로도 하양과 가까운 환성사를 임고서원이 양보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임고서원의 유생들이 심지어 경상감사의 판결마저 비판하면서 서원과 태학에 통문을 보내어 반대여론을 조성하는 것은 官民의 질서를 위반하는 것으로 응당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분이다. 본 상서는환성사의 소속문제를 두고 임고서원과 하양향교가 서로 갈등을 빚게 된 전말을 짐작할 수 있는 자료 중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