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약계안(鄕約稧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WZ.1903.4773-20120630.Y1240310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작성시기 1903
형태사항 크기: 30 X 29
판본: 필사본, 복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26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안내정보

190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약계안(鄕約稧案)
조선말기 경상도(慶尙道)비안현(比安縣)에서 결성되었던 향약계(鄕約稧) 관련 자료들을 엮어 놓은 것이다. 향약계는 구성원 간 향약의 꾸준한 시행과 상호 결속을 위해 결성되었던 전통적인 계(契) 조직이다. 본 자료는 향약계 결성 과정과 의의 및 목적을 간략히 설명한 서문(序文), 운영 규정인 절목(節目), 계원 명단인 좌목(座目)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은 1894년 1월 비안현 출신의 유학자 우희용(禹熙容)이 작성한 것으로 「향약계첩서(鄕約稧帖序)」라는 제목으로 엮어 놓았다. 절목은 모두 11개 조항으로 임원의 선출, 향약계 자금의 모금과 운영 방향, 상벌 규정 등이 언급되어 있다. 좌목은 이전의 것을 1903년 3월에 새롭게 수정한 것으로 모두 74명을 수록하였다. 명단에는 계원의 성명을 비롯하여 직역, 자(字), 출생 연도, 본관(本貫) 등도 함께 기재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당시 비안현 지역의 유력한 양반 가문을 유추해 낼 수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조선말기 慶尙道比安縣의 유림들이 결성하였던 鄕約稧 관련 자료를 엮은 것으로 1894년에 작성된 序文, 1903년의 節目, 1903년 수정된 座目을 수록
鄕約稧案
[내용 및 특징]
조선말기 慶尙道比安縣의 유림들이 鄕約稧를 결성한 뒤 계원들의 명단과 관련 자료들을 엮어 놓은 것이다. 이 자료는 다른 향약 자료와 더불어 比安鄕校에 비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유실된 상태이다. ‘鄕約稧案’이라는 표제가 있으며 1894년의 鄕約稧帖序, 그리고 1903년의 것으로 여겨지는 節目, 1903년 座目 순으로 엮여져 있다.
가장 서두에 있는 鄕約稧帖序는 본 자료에 수록된 좌목의 서문이다. 1894년 正月 비안현 출신의 유학자 禹熙容이 작성한 것이다. 여기에는 향약계가 결성되는 경위와 과정, 그리고 결성의 목적과 의의 등이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먼저 藍田의 呂氏가 처음으로 條例를 만들어 향약이 시작되었으며, 朱子가 이를 증손했다고 한다. 北宋의 呂氏兄弟에 의해 향약이 만들어졌고, 南宋朱子가 당대 상황에 맞추어 가감하여 이른바 朱子增損呂氏鄕約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로써 풍속이 선하게 되었으니, 이에 우리나라 조정에서도 여러 차례 백성들에게 향약 실시를 반시하여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우리 嶠南이 이른바 ‘鄒魯之鄕’으로 많은 儒賢이 배출되었고, 禮義가 이루어진 것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근래 풍속이 해이해짐에 따라 향약의 규례도 폐지되는 지경에 이르는데, 이때 마침 李□永(1837~1907)이 慶尙道觀察使로 부임하여 約規를 새롭게 정하고, 鄕飮酒禮를 경상도 列邑에 奉行케 했다고 한다. 이헌영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던 1891경상도 각 고을에 『鄕里約束』을 배포하여 향약 시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 인물이다. 『향리약속』에서 언급하고 있는 향약 조직은 고을의 하부행정단위인 面里 조직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향약을 매개로 한 지방관의 원활한 지방 통치 의도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실재 비안현에서도 이헌영의 권유에 의해 지역 유림이 중심이 되어 1891년 향약이 제정되고 이와 관련된 제 규정을 엮은 『鄕里約法』이 편찬되기도 하였다. 鄕約稧의 결성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屛山, 즉 비안현에서도 유림들이 뜻을 모아 향약계를 결성하고, 향약의 규약을 만들자는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아울러 이때 향약계의 자금도 모으게 되었다고 한다. 31員이 각기 1緡銅을 내어 이것을 取殖해서 자금을 불리고, 봄과 가을 讀約 때의 비용으로 사용하기로 했다며 향약계 결성 과정을 간략히 언급하였다. 이어 계원과 그 후손들에게 향약의 전통을 계승하여 멈추지 말 것을 당부하며 서문을 마치고 있다.
서문 다음의 節目은 모두 8개조로 향약계의 기본 운영 지침이다. 일곱 번째 조항에 "지금 좌목을 수정한 후"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바로 뒤에 1903년의 修正 座目이 수록된 것으로 보아 우희용에 의해 서문이 작성되었던 1894년이 아니라 1903년에 제정된 절목으로 생각된다. 절목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一, 稧는 향약으로써 이름을 삼았지만 실상 程子의 것을 취한 것이다. 반드시 뜻이 지향하는 바와 향배를 보고 입록을 허락한다. 一, 每員에게 각기 錢文 1緡씩 수합하여 이자를 놓아 각종 제용으로 쓴다. 一, 約法은 여씨의 4조목을 쓰며, 여러 先儒들의 것을 참작하되 마땅히 별도로 책을 베껴 둔다. 一, 두 개의 장부를 두되 선행은 善籍에 과실은 過籍에 기재하여 勸懲하는 뜻을 보여준다. 一, 나이가 實年인 자를 約正으로 擇望하며 또한 부지런하고 공정한 자 2인으로 약정을 보좌하는 直月로 삼는다. 직월은 재물을 담당하며 향약의 사람 가운데 돌아가며 맡는다. 一, 約中의 사람으로 약조를 3회 어기면 約會에서 직접 벌을 내리나, 끝내 불복하면 절교한다. 一, 지금 좌목을 수정한 후에 입록하기를 원하는 約員이 있어도 절대 허락하지 않는다. 一, 稧會의 일자는 매년 上巳日로 정한다.
향약계의 계원 명단을 수록한 좌목은 1903년 3월에 수정된 것으로 명기되어 있다. 이를 보아 본 자료도 이때 엮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좌목에는 모두 74명이 입록되어 있는데 직역, 성명, 字, 출생 간지, 본관이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직역은 進士가 2명이고 나머지는 모두 幼學이다. 사망자의 경우 ‘仙’이라고 표시하였는데 열 군데에서 확인된다. 사망자 확인은 좌목 작성 후 어느 시점에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입록자 74명의 성관을 열거하면 順天張氏, 善山金氏, 陽城李氏, 屛山朴氏, 咸昌金氏, 延日鄭氏, 草溪卞氏, 密陽朴氏, 金海金氏, 丹陽禹氏, 慶州金氏, 牛峯李氏, 楊根金氏, 星山李氏 순으로 비중이 높다. 『比安邑誌』에 따르면 비안현의 주요 성씨로 토성인 比安朴氏(屛山朴氏)를 비롯하여 密陽朴氏, 草溪卞氏, 順天張氏, 一善金氏(善山金氏), 延日鄭氏, 陽城李氏, 丹陽禹氏 등을 기재하고 있어, 향약계 좌목의 성관별 비중과 거의 일치한다. 한편, 향약계안과 더불어 비안향교에는 鄕案(1623년 작성)이 함께 보관되다 유실되었는데, 이 향안에 기재된 성관의 비중도 이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즉 17세기 이후 비안현의 향권을 주도하던 재지사족의 후손들에 의해 향약계안이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말기 향약 시행의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향약은 재지사족의 향촌자치 규약으로, 조선중기 이후 자치행정기구인 留鄕所의 鄕規와 접목되어 실시되었다. 재지사족들은 이를 매개로 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에 대한 성리학적 명분을 보장받고, 그 지위를 유지시켜 나가려 했던 것이다. 사족 주도로 운영되던 향약은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봉건질서에 붕괴와 複雜多技한 향촌사회의 사회적 갈등에 따라 대부분 지역에서 중단되었으며, 오히려 지방관이 원활한 통치를 위해 향약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이 등장하였다. 1891경상도관찰사였던 이헌영경상도 백성들의 교화와 원활한 통치를 목적으로 향약을 제정하여 각 고을에 그 시행을 권장하게 되었다.
이에 경상도 비안현에서도 1891년 이후 향약 제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조선중기 이후 비안현의 향권을 주도하던 유력한 재지사족의 후손들 주도로, 향약 준수와 상호 간의 결속력 강화를 위한 鄕約稧를 결성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향약계는 조선중기 때의 향약처럼 一鄕을 규제할 수 있는 규약이 아니었다. 이때는 사실상 봉건질서가 붕괴된 시점으로 향약계 결성을 통해 고을의 유력한 전통적 鄕班들은 다른 신분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었다. 즉 향약계는 조선말기 비안현의 전통적인 재지사족들이 상호 간 결속력 강화를 통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결성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比安邑誌』,
『鄕里約束』, 李□永,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약계안(鄕約稧案)
甲午正月日鄕約稧案
鄕約稧帖序
古無鄕約之名而其
法實昉於藍田呂氏之
條例也紫陽朱子之增
損也盖移風易俗莫先
於此肆我
列聖朝德教休明屢降
頒示之命蔚有興行之
效曷不韙哉况惟嶠南
儒賢輩出禮義成俗允
爲鄒魯之鄕而挽近教
弛俗渝鄕約之規廢而
不講者雅矣何幸觀察
使東蓮李公(金+憲)永來按
是省爲是之憂立約規
而勸諭行飮禮而飭勵省
內列邑擧多奉行惟我
屛山壤偏俗樸宜有忠信
好禮之士惡可不爲之講
習美規相觀而善也間與
一二同志語及于此未甞
不慨然興嘆也於是僉章
甫協心建議峻發修稧
之論以立鄕約之法凡三
十一員各此一緡銅以爲
收合若干取殖以供春秋
讀約之備果能行之久遠
而無弊也否嗚呼苟非賢
使之美政吾鄕之厚俗與
夫諸君子之好古不倦其何
能辦此無前之盛擧也哉
不知吾輩當何修何務而
可以無諐於斯事也今此
稧之特以鄕約非徒欲其
貨財拮据會醵暢叙而已
自此日同約之後各須奮勵
讀書修行持身御家一
如玆約咸與維新同歸于
正則玆豈非吾屛一鄕之幸
也耶且復念之財易傷廉
約交易忽傷廉則稧不
立易忽則約不行苟能戒
謹乎所傷愒念乎所忽後
利而先義始勤而終篤久久
如是何盡乎稧不立而約
不行也惟願同約之人相
與勉旃哉歲甲午正月旣
生魄鄕人丹陽禹熙容
節目
一右稧盖以鄕約爲名而
實取程子相觀而善之意
必觀志趣向背許入是齊
一每員各此錢文一緡收合
取殖以需濟用之費是齊
一約法用呂氏四條幷取諸
先儒之論叅酌從宜別置
謄冊是齊
一置二籍有善則書于善籍
有過則書于過籍以示勸
懲之義是齊
一擇望實年齒者爲約正又以
二人副之勤幹公正者二人
爲直月司貨則約中人輪回
爲之是齊
一約中人非有故不肯叅約過
三次約會則自約中施罰而
終不服從者絕之是齊
一自今日修正座目之後縱
或有應入之員切勿許追
是齊
一稧會日子以每年上巳日爲
定是齊
座目【癸卯三月日修正】
幼學張守道【文可戊午順天
【仙】進士金學瀅【善五壬戌善山
幼學李春坤【德元壬戌陽城
朴文鳳【益瑞壬戌屛山
張奎燮【應五癸亥順天
金汝極【敬建癸亥咸昌
朴鸞九【德遠癸亥屛山
金洛範【致五癸亥善山
【仙】鄭基弘【致寬乙丑延日
張璣煥【舜瑞乙丑順天
卞海萬【士巨乙丑草溪
金炳相【孝仲丙寅咸昌
【仙】張龜壽【聖蓮丙寅順天
朴容澤【相彥丙寅密陽
【仙】卞顯世【士文丁卯草溪
金瀅培【德五丁卯金海
金在衡【璣伯丁卯善山
朴容春【景和丁卯密陽
朴孝大【德遠戊辰密陽
【仙】金汝成【致玉戊辰咸昌
金汝雨【時若戊辰咸昌
禹龍澤【在見戊辰丹陽
朴孝直【敬實己巳密陽
【仙】張基一【明震己巳順天
朴潤春【盛華己巳密陽
禹熙容【晦敷庚午丹陽
金鎭文【學汝庚午咸昌
朴甲永【錫胤庚午屛山
張仁燮【安汝辛未順天
李萬裕【應華辛未陽城
金斗明【亨七辛未慶州
金基魯【聖極壬申咸昌
金鍾雲【聲遠壬申金海
【仙】張基台【相三癸酉順天
李丙柱【極一癸酉牛峯
金基浩【養善癸酉咸昌
卞宅仁【聖居癸酉草溪
卞容默【聖初癸酉草溪
卞弘默【成彥甲戌草溪
【仙】進士卞顯文【周一甲戌草溪
幼學禹熙敬【聖緝甲戌丹陽
李鎭華【聖三甲戌陽城
金秀坤【德裕甲戌楊根
【仙】金基洙【聖九乙亥咸昌
朴周鳳【岐瑞乙亥屛山
張仁高【德立乙亥順天
李鍾祐【伯裕乙亥陽城
張一壽【箕五乙亥順天
張洛基【星八乙亥順天
禹秉謨【敬文乙亥丹陽
鄭道欽【貫一丙子延日
卞周燮【運五丙子草溪
朴容秀【聖實丙子密陽
李鍾煥【道明丙子陽城
李夏九【春和丙子星山
鄭基道【聖立丁丑延日
張守浩【聖天戊寅順天
張斗鎭【星伯戊寅順天
朴甲孝【源汝戊寅屛山
卞文燮【章伯己卯草溪
朴甲壎【和伯己卯屛山
朴泰東【聖瞻庚辰密陽
張大鎭【孝淑庚辰順天
卞奎默【文五辛巳草溪
禹熙穆【敬夫辛巳丹陽
朴孝重【景立辛巳密陽
卞斗燮【建七壬午草溪
【仙】金相坤【兌卿壬午善山
張基五【範極癸未順天
張芝壽【應三乙酉順天
張在明【而德乙酉順天
卞顯謨【周賢丙戌草溪
金正錫【景中丙戌楊根
朴九鳳【聖來丁亥屛山

甲午正月日
鄕約稧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