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17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4+KSM-WZ.1717.4713-20120630.Y12406060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작성시기 1717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복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35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안내정보

1717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
지금의 경상북도(慶尙北道)경주시(慶州市)에 위치한 양동(良洞)마을, 일명 양좌동(良佐洞)에서 실시되었던 동약(洞約)의 구성원 명부이다. 양동마을은 조선중기 이래 경상도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 가문인 경주손씨(慶州孫氏)와 여주이씨(驪州李氏)가 지금까지 세거하고 있는 양반 집성촌이다. 이 마을에서는 일찍이 동리 구성원 간 상부상조와 결속력 강화를 위해 각종 공동체 조직을 구성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동약이다. 동약은 동리 단위로 시행되던 향약(鄕約)을 일컫는 것으로, 조선시대 양반들은 동약 시행을 통해 양반 주도의 향촌질서 확립에 대한 성리학적 명분을 제공받으려 했던 것이다.
동약의 구성원 명부인 동안은 현재까지 양좌동에 10여 종이 전해지고 있는데, 17~18세기에 작성된 것들이다. 그 중 본 자료는 1717년에 작성된 동안이다. 여기에는 모두 224명을 수록하였는데, 성씨별로는 손씨(孫氏) 118명, 이씨(李氏) 76명, 김씨(金氏) 7명, 황보씨(皇甫氏) 6명, 정씨(鄭氏) 5명, 도씨(都氏), 황씨(黃氏) 각 4명, 최씨(崔氏) 2명, 신씨(申氏), 조씨(曹氏) 각 1명 순이다. 양좌동에서 작성된 동안의 작성 방식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적서(嫡庶)의 구분을 명확히 해 놓았다는 점이다. 먼저 적손(嫡孫)을 나이 순서대로 기재한 후, 이어 서손(庶孫)을 한 줄 내려 후미에 기재해 놓았다. 양동마을 내에서 양반과 서얼과의 신분적 구분을 명확히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이광우,이수환

상세정보

1717慶尙道慶州府良佐洞에서 실시되었던 洞約의 洞員 명부로 총 224명을 수록
丁酉正月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慶尙道慶州府良佐洞에서 실시되었던 洞約 구성원인 洞員의 명부이다. 양좌동경상도 지방의 대표적인 반촌으로 조선중기 이후 慶州孫氏와 驪州李氏 두 가문이 세거해 오고 있는 집성촌이다. 양좌동에서는 일찍이 동리 구성원 간의 상부상조와 결속력 강화를 위해 각종 공동체 조직을 결성하고 운영해 왔었는데, 본 동약도 이러한 의도로 결성된 것이다. 양좌동에서의 동약이 언제부터 시행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곳에 전해져 오는 자료로 보아 늦어도 17세기 초반에는 시행되었음이 확인된다. 이 동약의 운영 목적은 開墾, 灌漑, 禁葬, 신분 또는 계층 간 질서 유지 등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양좌동에서는 동약과 성격을 달리하는 香約이라는 공동체 조직이 운영되었었다. 동약과 같은 시기에 병행되어 운영되었는데, 이 조직은 양좌동의 사족인 上人과 하층민인 下人, 그리고 庶孼까지도 참여하는 공동체 조직이었다. 향약은 장례와 상례 때의 상호부조가 주된 운영 목적이었다. 현재까지 양좌동에는 본 동약과 관련하여 17~18세기에 작성된 동안 10여 종이 전해지고 있으며, 본 자료는 그 중에서도 1717년 정월에 작성된 것이다.
본 동안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명확한 嫡庶의 구분이다. 적손 주도로 양좌동의 동약이 운영되고 향안이 작성되었지만, 서손들도 참여하고 있었다. 동안에는 적서 모두의 성명을 수록하였는데 기재 방식에는 차이를 두고 있다. 먼저 적손을 나이 순서대로 수록하였다. 첫 번째 좌목의 적손 중 가장 서두에 있는 孫汝澤이 戊子(1648) 生인 70세로 가장 나이가 많았으며, 李恢中은 丙子(1696) 生인 22세로 가장 어렸다. 그리고 성명 아래에는 세주로 字와 출생 간지를 기재하였다. 반면 서손의 경우 적손에 비해 한 줄 내려 성명만 기재해 놓았는데, 적손과 마찬가지로 나이순으로 기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본 동안을 비롯하여 다른 시기에 작성된 동안에서도 이러한 형태의 기재 방식은 적용되어 있다. 사족 중심의 향촌질서를 확고히 하려는 당대 적손들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한편, 적손의 경우 과거 급제의 이력이 있으면 출생 간지 아래에 합격 간지와 시험 종류도 기재해 놓았다. 甲子年(1684)의 文科에 급제한 孫德升을 비롯하여 武科 급제자 1명, 司馬試 급제자 6명 등 모두 8명이 확인된다. 성씨별로는 손씨가 5명, 이씨가 3명이다.
1717년 정월에 작성된 본 동안은 모두 3편의 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丁酉 正月의 것으로 표제되어 있지만 수록된 좌목은 丁酉(1717) 2월, 戊申(1728) 정월, 戊申 9월 15일 좌목 세 편이다. 첫 번째 정유 정월의 좌목에는 180명을 수록하였다. 성명이 확인되는 180명 이외에도 削籍 흔적인 다섯 군데에서 확인되나 까닭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들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孫氏 99명, 李氏 56명, 皇甫氏 6명, 金氏 5명, 都氏, 黃氏 각 4명, 鄭氏, 崔氏 각 2명, 申氏, 曹氏 각 1명 순이다. 비율로는 손씨 55%, 이씨 31%이며, 기타 성씨가 14%이다. 두 번째 무신 정월의 좌목에는 모두 38명을 수록하였다. 이들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0명, 손씨 13명, 정씨 3명, 김씨 2명 순이다. 비율은 이씨가 53%, 손씨가 34%, 기타 성씨가 13%이다. 세 번째 무신 9월 15일 좌목에 수록된 인물은 모두 6명인데, 전원 손씨이다. 이상의 입록자를 다시 성씨별로 종합하면 손씨 118명, 이씨 76명, 김씨 7명, 황보씨 6명, 정씨 5명, 도씨, 황씨 각 4명, 최씨 2명, 신씨, 조씨 각 1명 순이다. 비율별로는 손씨 53%, 이씨 34%, 기타 성씨 13% 순이다. 단연 양좌동의 대표 가문인 경주손씨와 여주이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입록자를 적서별로 구분하면 첫 번째 좌목의 180명 중 적손은 102명으로 57%, 서손은 78명으로 43%이다. 적손의 성씨는 손씨 55명, 이씨, 46명, 신씨 1명 순이며, 서손의 성씨는 손씨 44명, 이씨 10명, 황보씨 6명, 김씨 5명, 도씨, 황씨 각 4명, 정씨, 최씨 각 2명, 조씨 1명 순이다. 두 번째 좌목은 적손 24명으로 63%, 서손 14명으로 37%이다. 적손의 성씨는 이씨 18명, 손씨 6명이며, 서손의 성씨는 손씨 7명, 정씨 3명, 김씨, 이씨 각 2명 순이다. 마지막 좌목의 입록자는 6명인데 모두 서손이며 손씨이다. 3편의 좌목 입록자 모두를 적서별로 종합하여 구분하면 224명의 입록자 중 적손은 126명으로 56%이며, 서손은 98명으로 44%이다. 성씨별로는 적손의 경우 손씨가 61명으로 48%, 이씨가 64명으로 51명이며, 나머지 1명은 신씨이다. 서손의 성씨는 손씨 57명으로 58%, 이씨는 12명으로 12%, 기타 7개 성씨가 29명으로 30%를 차지하고 있다. 적손에 비해 서손의 타성 입록 비율이 높으며, 전체 입록자의 비율에 비해 이씨의 서손이 매우 적음이 주목된다.
한편, 입록자 가운데 上有司나 下有司를 역임한 자는 입록 간지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孫銢孫是楫이 각각 己酉年(1729)과 庚戌年(1730)에 하유사를 역임하였으며, 무신 정월에 追入된 李衡中이 己酉年(1729)에 상유사를 역임한 것으로 나타난다. 상유사와 하유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임명되고 운영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각각 적손과 서손 계열을 대표하는 유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각 좌목의 말미에는 당대 洞任의 성씨와 署押이 기재되어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좌목에는 손씨와 이씨 각각 1명씩 동임을 맡고 있으며, 마지막 좌목에서는 동임 2명 모두 손씨인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18세기 동약 시행의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동약은 동리를 단위로 시행되는 향약으로, 조선중기 이래 재지사족들은 향촌사회에 동약을 시행함으로써 그들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에 대한 성리학적 명분을 제공받으려 했다. 아울러 제 규정을 통해 상하 질서를 확립하고, 대소사가 있을 때 상부상조함으로써 구성원 간 결속력을 강화해 나갔다. 경상도의 대표적인 반촌인 양좌동은 16세기부터 경주손씨와 여주이씨 두 가문이 세거한 집성촌으로, 이곳에서도 동약이 시행되었었다. 이들은 동약을 통해 일족 간 상부상조와 결속력 강화를 도모하였지만, 한편으로는 하층민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삼으며 사족으로서의 지위를 표방하였다. 이러한 사족으로서의 지위 유지 양상은 양좌동의 동안 작성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좌목에서 嫡庶의 구분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공동체 구성원을 수록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동리 내에서 사족과 비사족 간의 향촌질서를 명시화 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적손과 서손을 각각 대표하는 상유사와 하유사를 별도로 임명한 것도 이러한 의도였다.
한편 본 동안에서 적손 전체 입록자의 비율에 비해 이씨의 경우 서손이 매우 낮게 나타난다. 이씨 입록자가 적손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여주이씨 族勢의 성장과 맞물려 있다. 여주이씨는 17세기 이후 명실상부 경주 지역을 대표하는 재지사족 가문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가세의 성장에 따라 양좌동을 떠나 인근 동리에 정착한 후 자립하는 서손 계열이 등장하였기에, 양좌동에서의 서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적손의 경우 이씨와 손씨 이외의 성씨는 신씨 단 1명만 있다. 반면 서손은 손씨와 이씨 이외에도 6개 성씨가 더 확인되며 이들의 비율도 적손에 비해 높다. 17세기 이후 성리학적 예제의 정착에 따라 양좌동이 손씨와 이씨 중심의 집성촌으로 정착되어 가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다.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良佐洞硏究』, 嶺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判部, 1990
『民族文化論叢』15, 李樹健, 李樹煥, 鄭震英, 金容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4
『嶺南學』17, 김현영,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이광우,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17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
丁酉正月
良佐洞洞案
孫汝澤【啓潤戊子
李德恒【士久庚寅
孫汝義【子方辛卯丙辰武科】
孫汝濟【景楫辛卯
孫泰恒【幼常壬辰
李德新【又日壬辰
李德華【汝實壬辰
孫是永【愼哉甲午
孫是爕【和淑乙未
李德隆【汝洽甲午
李德咸【子一乙未
孫泰裕【伯除乙未
李德佑【廷弼乙未
李德璋【幼玉丙申
孫是仁【安卿丁酉
李德袤【延之己亥
孫德升【玄叟己亥甲子文科】
孫汝智【子周辛丑
李德儀【廷羽辛丑
孫泰慶【善裕辛丑
孫是楨【邦彥壬寅
孫是文【彬如壬寅
孫是義【宜卿甲辰
孫是奕【士淵甲辰
孫是標【聖則甲辰
李德休【廷義甲辰
李德潤【汝修甲辰
李德祚【太初乙巳
孫是謙【益卿丁未
孫是郁【父若丁未
李時中【聖能丁未己卯司馬】
李德謙【士益戊申乙酉司馬】
孫是雍【和伯戊申
申灝戊申
孫是格【聖揆戊申
孫是相【聖輔庚戌戊子司馬】
李敏中【士行庚戌
李德祺【眉仲庚戌
李英中【公著辛亥
孫是栻【敬叟辛亥
孫是橃【濟世癸丑
孫是豪【士雄辛丑
孫是容【直哉庚戌
孫命杰【天秀甲寅
李益中【謙如丁巳
李德祿【重興丁巳辛丑司馬】
孫命昌【啓裕戊午
李兼中【敬夫己未
李德禧【綏之庚申
孫是杺【聖父丁巳
孫命說【賚汝庚申癸巳司馬】
孫是復【萬初丁巳
李寬中【栗夫庚申
孫是震【萬元庚申
李元中【善夫庚申
李一中【秀萬壬戌
孫雲著【以顯壬戌
孫景杰【大之壬戌辛丑司馬】
李宏中【達夫癸亥
孫命來【順之癸亥
李德祉【成之甲子
孫孟杰【元之甲子
孫是林【子平甲子
孫是完【仲修乙丑
孫命運【天開乙丑
孫命喆【明甫乙丑
孫命新【受之丙寅
李晛中【天章丙寅
李立中【卓如丙寅
李德讓【士謙丙寅
李華中【公實戊辰
李實中【若虛戊辰
李明中【聖輝戊辰
孫是元【春鄕戊辰
李開中【后白己巳
李憲祖【宗式己巳
孫漢杰【景三己巳
李處中【正夫己巳
孫是㰒【父甫己巳
孫是梴【子頎己巳
孫命遇【天興庚午
孫三杰【兼之庚午
李恒中【聖允庚午
李積中【叔厚辛未
孫是懋【公勗辛未
李存中【聖著辛未
李建中【聖極壬申
孫孝著【有源壬申
李程中【叔度癸酉
李憲元【寬夫癸酉
李正中【君普甲戌
李有中【聖祖癸酉
李執中【允夫壬申
孫瞻杰【師伯乙亥
孫夙聞【承伯丙子
孫命逸【天用甲戌
▣▣▣
孫命尙【周叟乙亥
孫命聃【玄老丙子
孫應杰【應三甲戌
孫是先【執鄕庚午
李憲曾【宗甫丙子
李恢中【后泰丙子
李堳
金翊漢
孫鈗
都夏重
孫偃
孫儀
孫汝廉
李㙉
黃允耉
孫億
孫鑌
黃正耉
都千重
李德良
孫俊
鄭時錘
孫天漢
孫泰復
孫汝轍
孫鐸
孫英佐
皇甫瑚
孫汝翼
孫善佐
孫汝述
孫泰林
孫汝徵
孫錘
孫鏛
李德用
孫珉
李德鳳
孫德敬
孫鐺
孫泰後
孫泰元
金禹鼎
金球
金禹錫
孫銢己酉下有司】
▣▣▣
崔東竣
皇甫哲
▣▣▣
崔興竣
孫是楫庚戌下有司】
孫是雲
鄭瀷
都是大
孫汝珣
孫汝成
曹慶晩
孫命壽
孫泰巖
李德運
皇甫完
孫哲佐
黃聖賚
黃聖運
李德宗
孫泰豪
孫泰杰
都是成
孫是曾
李德浹
皇甫元
▣▣▣
▣▣▣
李德弼
孫鏡
李德諶
孫汝新
金季佐
皇甫根
孫鎬
孫是玄
皇甫雄
孫泰雲
孫泰謙
孫鎛
孫泰和
孫汝億

丁酉二月洞任【孫[署押]李[署押]】
追入
李衡中【以齊甲子己酉上有司】
李頭中【仲養丙子
李稱中【淑平己卯
李憲翼【孝元庚辰
李懋中【聖勗庚辰
孫曾杰【道胤辛巳
李賁中【明卿辛巳
李憲河【道南辛巳
李憲周【長文辛巳
孫夙達【伯點壬午
李述中【聖演壬午
李任中【叔行壬午
李大中【聖建壬午
孫喜曾【伯孝癸未
李憲朝【仲元癸未
李憲柱【擎天庚辰
李憲章【爾述甲申
孫宏杰【遠則丙戌
孫喜規【圓式乙酉
李質中【文卿乙酉
李憲邦【君式丙戌
孫喜朝【必華戊子
李範中【彜卿戊子
李達中【仲盈戊子
鄭涑
李德諧
鄭淥
孫濬升
孫是梧
孫日升
金應啇
金就啇
孫聖升
孫碩升
孫是克
孫是佑
鄭{氵+奭}
▣▣▣
李養中

戊申正月日洞任【孫[署押]】
追入
孫興杰
孫泰老
孫舜升
孫顯升
孫達升
孫是大

戊申九月十五日洞任【孫[署押]孫[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