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9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국왕제문(國王祭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I.1694.4776-20110630.Y11113099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시문류-제문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작성주체 이순,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작성시기 1694
형태사항 크기: 57 X 6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영양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영양향교

안내정보

169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국왕제문(國王祭文)
1694숙종예조좌랑김우일(金遇一)영양 영양향교에 보내어 향사(享祀)를 주관하게 하고 퇴계선생을 위해 친히 지은 제문(祭文)이다. 본 제문은 퇴계선생의 학덕과 공업을 찬양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우선 선생께서 따로 스승의 지도 없이 독학으로 공부하여 심오한 주자학의 종지를 깨우치고 주자학의 계승자가 되었음을 칭송하였다. 다음으로 선생이 주장한 경(敬)과 의(義), 인의도덕(仁義道德) 등은 백대의 사표가 될 수 있는 주장일 뿐 아니라, 예학(禮學)에도 우뚝 뛰어났으므로 선생의 문하에서 걸출한 학자들이 배출되었음을 찬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이곳 궁벽한 영양 영양향교에도 선생이 배향되어 있으므로 특별히 사신을 보내어 제문을 드린다는 내용등이 기록되어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694肅宗禮曹佐郞金遇一영양 영양향교에 보내어 대독하게 한 國王祭文
내용 및 특징
1694숙종禮曹佐郞金遇一英陽鄕校에 보내어 英陽鄕校의 향사를 주관하게 하고 국왕제문을 대독하도록 하였다. 본 국왕제문은 英陽鄕校에 배향되어 있는 退溪先生의 학덕과 공업을 기리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제문을 보면, 우선 退溪先生은 스승없이 스스로 朱子學을 공부하여 程朱學의 정수를 체득하였으며, 朱子學의 가장 뛰어난 계승자가 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생이 주장한 敬과 義, 仁義道德 등은 百代의 스승으로 인정받을 만하며, 禮學에도 깊은 조예를 가졌던 학문의 宗匠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退溪先生朝鮮을 주자학을 숭앙하는 鄒魯之國으로 만들었으며 선생이 남기신 말씀과 가르침은 後代의 학자들과 백성들이 실행하고 따를만한 귀감이라고 칭송하였다. 심지어 궁벽한 바닷가에 위치한 英陽에도 향교에서 선생을 배향하고 있으므로 이에 특별히 禮曹佐郞金遇一을 보내어 享祀를 치르게 하면서 국왕이 직접 지은 祭文을 대독하도록 하였음을 알리고 있다.
자료적 가치
朝鮮時代에는 나라에 큰 공을 세운 重臣이나 功臣이 사망하는 경우, 국왕이 직접 제문을 지어 亡者를 조문하기도 하였다. 이런 제문은 상당히 드문 것이기는 하지만, 유교국가인 朝鮮에서는 왕의 제문이 일종의 정치적 행위이기도 하였다. 본 제문은 退溪先生의 향사에 맞추어 당시의 국왕 숙종이 직접 지어 보낸 제문이다. 이는 결국 영남지방의 士林에 대한 격려 및 민심진작 차원에서 이루어진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겠다. 또 復縣된지 얼마 되지 않는 英陽縣에 대한 배려 내지 격려의 의미도 들어 있다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9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국왕제문(國王祭文)
康熙三十三年歲次甲戌三月己亥朔二十五日癸亥
國王
遣臣禮曹佐郞金遇
諭祭于故文純公李滉之靈仰惟
列聖培食百年宏儒輩出迭爲後先發揮正學大開文明孰集厥成天篤生卿星嶽之氣金玉
其質不由師承妙契河洛惟明與誠曰敬及義夾持兩進不知老至極深硏幾眞知實得義精
仁熟表裏融徹道成德全百世之師追其緖餘可做雍熙進退由禮曾不少淹休養林泉造詣
益深立言垂訓啓我蒙愚指南迷塗揭日昏衢鄒魯吾東是誰之力建祠崇德殆遍一國惟彼
益陽▣▣▣曁人慕遺風久猶未已有翼其廟于海之漘配以高弟君子若▣賦予旣厚授受
▣的正笏立朝奸諛褫魄仗節涉海威服蠻蟈臨危受命撑柱南天立身行事皎如白日久矣英
才無負敎育生旣升堂沒亦隮享一室函丈儼若疇曩獎餙之典鄭重未遑今因齊籲特循
輿望錫以嘉號用賁儒宮遣官致酹尙鑑予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