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5년 영양향교(英陽鄕校) 부교안(副校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875.4776-20110630.Y11113024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128
작성시기 1875
형태사항 크기: 27.5 X 25
판본: 필사본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향교길 22-20

안내정보

1875년 영양향교 부교안
이 자료는 1875년부터 영양향교에서 작성된 교안으로서 1830년부터 작성된 교안과 함께 병오년에 부본하여 표지를 다시 묶은 후 부교안이라 명명한 것이다. 이 부교안의 명확한 추록상황은 알 수 없지만, 未詳 4명을 포함한 14개 가문, 424명이 등재되어있다. 기재된 자들을 성씨별로 살펴보면 조씨 190명, 오씨 87명, 권씨 50명, 정씨 32명, 남씨 17명, 윤씨 12명, 박씨 9명, 김씨 8명, 금씨 6명, 구씨 3명, 주씨 3명, 한․배․황씨 1명이다. 이들 성씨를 1830년의 부교안과 비교하면 이씨, 우씨, 류씨, 손씨, 백씨, 성씨, 신(申)씨, 신(辛)씨, 안씨 등이 첨입되지 않은 반면 배씨, 황씨가 새로이 들어왔다. 이 부교안의 기재 양식을 보면 이름과 생년, 개명 및 사망여부 등을 기록하고 있는데, 1830년 부교안과는 달리 거주지도 표기되어 있어서 참고가 된다. 『경국대전』을 보면 지방행정 편제에 따라 교생의 정원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목ㆍ부ㆍ대도호부ㆍ목 의 경우 90명, 도호부 70명, 군 50명, 현 30명이었다. 교생의 정원은 조선 말기까지 변동이 없었는데 이 자료의 경우 등재자가 424명으로 정원수 30명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처럼 많은 수가 기재된 것은 약 10여 년간의 교안을 병오년에 부본하면서 연도의 구분 없이 표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상세정보

1875년부터 작성된 英陽鄕校 兩班儒生들의 명단으로서 丙午年에 副本한 校案
내용 및 특징
이 자료는 1875년부터영양 영양향교에서 작성된 校案으로서 1830년부터 작성된 校案과 함께 丙午년에 副本하여 표지를 다시 묶은 후 副校案이라 명명한 것이다. 영양현1413년에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영해의 속현이 되었다가 1676년에 邑民들이 復縣을 청하여 복설하였으나, 다음해에 다시 영해부로 이속시켰다. 1678년 邑民들의 요청으로 읍내면동남면덕봉면수비면진보현에 移屬되었고, 청기면석보면영해에 移屬되었다. 이후 1683년 邑民 南時稷 등이 진정하여 특명으로 復說하고 현감을 두고 독립시켰다. 이때 석보면은 계속 영해부에 영속시키고, 청기면영양에 환속하였다. 이후 석보면1906년에 영양군으로 다시 이속되었다. 이처럼 태종이후 오랜 기간 영해의 속현으로 존재하였던 영양현숙종대 복현이 되어서야 비로소 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1684년 향교가 건립되었다.
향교에 입학할 수 있는 교생의 자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므로 명확히 말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법제적으로 평민도 입교할 수 있었지만, 조선 초기의 교생은 양반이었다. 그러나 16세기 이후부터는 중인ㆍ서얼 및 상민층도 향교에 입교하였고, 인조대 이후에는 校生考講이 실시되면서 향교 생도의 호칭은 유생과 교생으로 구분되었다. 즉, 동재에 거하는 사족은 유생, 서재에 거하는 중인ㆍ서얼 및 상민층은 교생이라 통칭된 것이다. 17세기 후반 설립된 영양 영양향교 역시 동재는 유생, 서재는 교생으로 분리되어있었다. 현재 영양 영양향교가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보면 동재 유생과 서재유생이 각각 校案과 校生安으로 분리하여 작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영양 영양향교는 17세기 말 설립되었기 때문에 校案은 儒案이나 鄕案, 혹은 靑襟錄과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영양 영양향교 관내 향교 유림의 안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부교안의 기재 양식을 보면 이름과 생년, 改名 및 사망여부 등을 기록하고 있는데, 1830년 부교안과는 달리 居住地도 표기되어 있어서 참고가 된다. 『經國大典』을 보면 지방행정 편제에 따라 교생의 정원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목ㆍ부ㆍ대도호부ㆍ목 의 경우 90명, 도호부 70명, 군 50명, 현 30명이었다. 교생의 정원은 조선 말기까지 변동이 없었는데 이 자료의 경우 명확한 추록상황은 알 수 없지만 未詳 4명을 포함한 14개 가문, 424명이 등재되어 정원의 30명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처럼 많은 수가 기재된 것은 약 10여 년간의 교안을 병오년에 副本하면서 연도의 구분 없이 표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재된 자들을 성씨별로 살펴보면 趙氏 190명, 吳氏 87명, 權氏 50명, 鄭氏 32명, 南氏 17명, 尹氏 12명, 朴氏 9명, 金氏 8명, 琴氏 6명, 具氏 3명, 朱氏 3명, 韓․裵․黃氏 1명이다. 이들 성씨를 1830년의 부교안과 비교하면 李氏, 禹氏, 柳氏, 孫氏, 白氏, 成氏, 申氏, 辛氏, 安氏 등이 첨입되지 않은 반면 裵氏, 黃氏가 새로이 들어왔다. 이 자료는 거주지가 표기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이들 성씨의 대략적인 분포현황을 짐작할 수 있다. 일례로 漢陽趙氏는 注谷里에, 咸陽吳氏는 大川里, 靑杞里에 있었으며, 春川朴氏․野城尹氏등은 수비, 野城鄭氏는 泗川里 등에 주로 거주 하였다.
世宗實錄地理志』와『新增東國輿地勝覽영해도호부조에 나오는 土姓은 朴·金·黃·李·林·申이며, 속현인 영양은 南·李·金·房(方), 靑杞縣의 續姓으로 兪·崔씨가 石保의 續姓으로 金씨가 있었다. 1832년경에 작성된 『慶尙道邑誌』의 영양현 姓氏條를 보면, 本縣의 성씨로 南, 金氏가 있으며, 來姓으로 漢陽趙氏, 咸陽吳氏, 綾州具氏, 奉化琴氏, 安東權氏, 野城尹氏, 野城鄭氏, 潘南朴氏, 月城孫氏, 竹山安氏, 丹陽禹氏, 熊川朱氏, 寧越辛氏 등이 있었다. 대개 읍지 등에 기재된 성씨들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사족들임을 감안한다면, 19세기 초 영양현을 대표하는 성씨들은 모두 15개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이들 성씨는 20세기 초에 작성된 『嶠南誌』에도 동일하게 기재되고 있는데, 이것은 영양의 대표적인 양반사족들이 큰 변화없이 지역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상을 통해보면 영양현의 토성 중 李氏, 房氏는 南氏와 金氏에 비하여 그 족세가 쇠잔하였으며, 方氏는 18세기 이후의 자료에서는 더 이상 보이지 않으며, 英陽李氏 역시 19세기 초의 읍지에도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 족세가 번창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집강록과 교안 등에 나타나는 이씨들은 續姓으로서 이들은 혼인을 통해 영양에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부교안에 등재된 성씨 중 邑誌등에 나오지 않는 성씨로는 淸州韓氏가 있다. 실제로도 교안에 添入된 사람은 1명이었는데, 이는 그만큼 세력이 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외의 성씨는 집강안과 기타 자료에 등장하는 성씨와 거의 동일하였다. 이외에도 17세기 이전에 樂安吳氏, 金寧金氏 등이 영양甘川靑杞에 세거하고 있었다. 이들은 영양에 세거한지 오래되었지만 이후 무관직만을 역임하고, 문관으로 仕宦하는 자들이 없으면서 점차 가세가 기울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영양에서는 한양조씨, 함양오씨, 야성정씨, 영양남씨 등이 서로 중첩적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지역을 영도하는 위치에 있었다. 이들 가문에서는 급제자와 이후 문행으로 이름난 자들을 대거 배출하면서 영양을 대표하는 가문으로 성장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영양내에서는 사족들간에 문벌에 따라 분기가 있었으며, 그 결과 18세기 중엽이후 노론정권하에서 쇠잔한 사족들이 노론화하면서 향권을 둘러싼 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새롭게 성장한 평민 및 서얼 층들에 의해 새로운 양반들이 나타났는데, 이들을 新鄕이라 불렀다. 이들 新鄕세력은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던 新出老論들과 손잡고 기득권을 가진 舊鄕세력들과 대립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新鄕세력은 중앙정부의 지원과 신분제 변화의 시대적 대세 속에서 기존 양반세족들의 명부인 鄕案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영양에서는 복현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에 鄕案보다는 校案을 중심으로 양반사족의 명부를 작성하고 있었다.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1786년에 작성된 교안의 성씨와 1778년 校生案내의 完議을 통해보면 그 이전부터 교안에 이들 新鄕들이 添入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1765년과 영조연간에 건립된 月麓書堂道皐書堂은 영양의 대표적 舊鄕인 한양조씨, 함양오씨, 야성정씨가 주창하여 건립한 서당으로서, 이 서당들이 건립된 이후 이들은 향교보다는 이 서당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17세기 말에 復縣된 후 향교가 건립되자, 교안에 양반유생들이 참여하고 교생안에는 평민 및 서얼층들이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중 서얼들은 18세기 중엽 서얼허통 이후 교안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으며, 기존의 양반사족들 중 족세가 번창하였던 가문들은 점차 교안에 집착하지 않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이들은 문중서원의 성격을 지닌 서당을 건립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족세가 미약하였던 가문들은 교안에 남아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노론계열의 雲谷影堂 건립을 두고, 남인계열이었던 기존 사족들 즉, 舊鄕들과 족세가 미약하여 노론으로 전향한 新出老論 및 새로이 신분을 상승한 新鄕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던 것이다. 당시 舊鄕들이 향교의 교안 외에 타 지역처럼 청금록을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들은 여전히 향교의 각종 祭儀를 주관하는 한편, 운영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구향의 입장에서도 英山書院과 같은 사액서원이 이미 있었지만, 국가의 공식 교육․교화기관인 향교를 외면하고서는 향권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新舊鄕간의 분열은 계속 되었지만 영양의 鄕權은 舊鄕들에 의해 통제되는 형태로 지속되었다. 이와 같은 新舊鄕간의 대립에 따른 결과로 이후 新鄕들은 舊鄕들이 관장하고 있던 鄕校의 校案에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 교안은 丙午년에 副本된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이는 필사과정에서 인명의 임의 삭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교안을 두고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원래의 교안을 그대로 옮긴 경우이다. 즉, 1808운곡영당 사건을 조사한 경상감사鄭東觀의 狀啓에서 운곡영당을 둘러싼 영양현의 쟁단 원인으로서 舊鄕들이 校院을 오로지 관장하여 新鄕들의 添入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新鄕들이 吏校들과 협력하여 그들 나름의 校院을 세웠고, 또 영당이 건립된 후 신향들은 스스로 儒案을 만들어 生員이라고 칭하였고, 吏校와 常漢輩들과 결탁하여 避役者들을 위한 하나의 장소를 만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1830년부터 작성된 교안에서는 舊鄕으로 분류된 성씨들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지만, 운곡영당 사건이후부터는 新鄕측 가문의 一族들은 교안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신향세력들이 1803년 이후 재건립된 운곡영당을 중심으로 활동하였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운곡영당 재건립은 당시 정순왕후의 수렴청정과 남인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둘째는 副本과정에서의 임의 삭제이다. 즉, 19세기 초반에 신향들이 운곡영당 건립과 관권의 지원 하에 구향들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되면서 이들의 교안 입록이 늘어갔을 것으로 짐작된다. 구향들 역시 공식교육․교화기관인 향교를 외면하고서는 향촌내 기득권을 유지하기 어렵기에 이전에 비하여 교안에 첨입하는 수가 늘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집단이 같은 교안에 등재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교안이 副本된 丙午년에 다시금 舊鄕들이 鄕權을 장악하였으며, 대립이 있은 후인 19세기에 작성된 교안에서 新鄕을 제외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자료적 가치
이 자료는 수년간에 걸쳐 작성된 교안을 副本한 것으로, 19세기 당시의 영양현의 유력 사족의 동향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양 영양향교에 소장된 이전 시기의 교안 및 집강안과 영양현 소재 서원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하면, 17세기 말 영양현이 복현된 이후 전개되었던 기존 양반사족 즉, 舊鄕세력들과 서얼 및 새로이 영양에 들어와 정착하면서 노론으로 전향한 新出老論이라 불리는 新鄕간의 향촌 주도권을 둘러싼 치열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부교안은 그 결과로서 舊鄕들이 이전에 작성된 교안에서 添入한 新鄕들을 삭제하고 새로이 엮어서 만든 것이다. 즉, 이 부교안은 19세기 영양현의 대표적 사족들을 총망라한 것이자, 향촌사회의 변화 과정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英陽郡誌, 영양군지편찬위원회, 중외출판사, 1970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북악사론 4, 조준호, 북악사학회, 1997
漢陽趙氏大同世譜, 한양조씨대동세보편찬위원회, 뿌리문화사, 2003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5년 영양향교(英陽鄕校) 부교안(副校案)
英陽鄕校 丙午三月 日
副校案
趙秉赫 辛丑
趙命基 壬寅
趙耆容 癸卯
趙厚容 同 故
趙秉奭 乙巳 改 秉春
趙永基
趙秉芝 丙子
趙蓍容 丁未
趙晉容
趙宅容 己未 改 鎭容
趙秉績
趙廷容 同 故
趙友容 ?? ??
趙寅容 壬子
趙銖容
趙相基 丙辰
趙秉慤丙亥 改 秉植 故
趙壽寧 改 龜錫
趙基學
趙秉淑 改 秉? 己未
趙亨基
趙謹容 壬寅 己上 ?谷
吳世寧 戊辰
吳正轍 ??
吳世億 癸卯
吳世廷 戊申 改 世瀚
吳世潑 乙亥
吳錫寅 庚寅
吳錫容 乙卯
吳世澈 ?寅
吳錫常 丙辰 改 錫純
吳世建 壬子
吳世澄 戊午 改 世鳳
金蓍秉 癸亥 己上 靑杞
吳正浴 癸卯
吳世輔 丁亥
吳世英 己未
吳世彙 癸亥
吳世稷 甲寅
吳世橫 同 改 世濩
吳承洛 乙卯
吳承烈
吳世藎 癸亥
吳世穆 戊子 改 世萬
吳世憲 己未 改 世獻
吳世薰 癸未 己上 ??
趙彦璭
趙秉夏 故 ??
趙彦輔 癸子
趙秉璣 壬寅
趙彦興
趙秉珽 乙巳
趙彦? 丁辰
趙彦珏 癸卯
趙彦和 丙午 改 秉純
趙秉善 乙巳
趙秉弼 丁未 洪 故
趙秉祚 戊寅
趙錫容 癸亥 改 燻容
趙仁容 癸丑 改 ?? 故
趙彦贊 癸丑 ??? 故
趙秉權
趙秉? 癸戌 ??
趙鍾殷 戊午 戊戌 ???
南炳天
南基永 癸丑
南基八 戊子
琴禹基 己未
尹行中 ??
尹行機 壬亥
權錫雨 癸卯
吳錫㣧 癸卯 ??
鄭調鉉 癸亥
鄭德鉉 癸子
鄭仁永 癸卯
▣▣▣ 癸戌
鄭錫永 庚戌
鄭中鉉 甲辰
鄭洛鉉 同 故
鄭三鉉 癸戌
鄭馹逵 丙午
鄭顔黙 癸亥
鄭重鉉 丙子
吳世萬 己丑
具學魯 癸丑 改 字
趙秉淳 己亥
趙秉河 己未 改 秉元
趙秉酌 癸亥
趙秉松 戊子 己上 上下 釜谷
吳世? 癸卯
吳錫洛 癸戌
吳錫永 壬子 改 錫泰
吳世璜 癸戌
李濟萬 癸丑 己上 道谷
趙彦宗 癸卯
趙秉鍵 乙卯
鄭昌鶴 丁 大月
趙彦赫 己丑
趙秉琇 丁巳
趙秉天 癸亥 己上 沙皐
趙秉倫 戊戌
趙秉述 戊午
趙秉黙 己丑
趙時容 丁巳 己上 沙皐
尹行轍 乙巳
尹行彪 戊午
尹行鐸 癸亥
尹行軾 丙子
朴氣陽 戊午
朴震陽 癸亥
朴燮陽 己子 己上 首比
朴理陽 甲寅
朴鳳陽 壬寅 沂甲
趙觀容 己亥
趙儒容 癸卯
趙範容 甲寅炁容
趙中基 癸丑
趙榮基 丙辰
趙昌基 癸亥
趙民基 丁巳 改 崇基
李象鉉 己亥
李重鉉 己辰
李昌鉉 丙辰 己上 芝?沂里
權燦奎 甲辰
權燦斗 己未
權燦英 同 故
權燦璣 癸亥
權相鐸 丙辰 改 翰模 己上 新村
權燦昇 乙卯
權相華 戊子
吳世洛 庚戌
權燦華 壬戌 新村
李 ? 乙巳 唐洞
趙秉瓚 己未 校村
李鉉夏 庚申
李鉉燦 壬戌 道谷
李希淵 辛酉 沂里
趙秉祐 癸亥釜谷
鄭觀鉉 壬子 梧峴
趙裕容 丁巳 元塘
趙秉酌 己未 改 秉瑄
趙秉彛 甲寅 校村
趙秉英 丁巳 改 秉一
趙秉杰 癸丑
趙萬容 己未 沙皐
趙徽容 辛酉
鄭元洛 辛酉 水月
鄭源萬 己亥 泗月
鄭建黙 辛亥釜谷
趙寓容 辛丑
趙秉洛 乙卯 改 秉雲
趙海容 甲寅
趙秉潤 戊午 注谷 改 秉雨
趙秉林 辛酉釜谷
趙瓚容 壬戌 改 鍵容 改 演容
南炳七 己酉
南基百 乙丑 剡村
趙琦容 庚申釜谷
趙彦七 戊午
趙禹容 乙卯
鄭翼世 壬寅
鄭翼右 乙巳
鄭翼運 戊午
鄭龍九 癸丑 幾浦 己上 泗川
鄭宗鉉 丙子 ??
鄭蓍鉉
權弼永 ??
權大永 丙辰 幾浦
李圭錫 丁未 龍和
李晩鳳 丙子 ?? 移去
趙彦燁 癸卯
趙彦煒 庚戌
趙秉蘭 乙卯 改 秉欽
趙秉民 甲寅 改 秉瑗 己上 ?鯉洞
趙彦序 乙未 ??
吳世瑗 乙巳 道劣
鄭道永 甲寅
▣▣▣ 乙卯
鄭彦三 己酉
趙彦鼎 辛酉
▣▣▣ 辛酉 己上 釜谷
趙若容 丙午
趙鴻基 丁未 己上 芝坪
趙龜寧 癸亥 改 河錫
趙龍基 乙卯 己上 沂里
趙海容 甲辰 芝坪
吳錫河 丙寅 道谷
尹行秀 癸丑 剡?
趙龜容 辛亥 ??
趙河容 戊子
趙斗容 壬巳 沂里
吳錫珽 戊戌 ?? 改 錫命
趙冲基 己未 改 舜基
趙興基 癸亥 沂里
趙河容 大川
吳世忠 己未 改 世鐸
南朝海 庚申 德峯
鄭祐永 癸丑 梧峴
趙達容 癸丑 芝坪
趙端容 丙辰 上同
趙翼容 戊午 ?? 改 燦容
吳世忠 大川
鄭佑永 甲寅釜谷
趙櫄容 辛未 ?谷
趙雒錫 乙丑 沂里
南孝百 壬戌 懸村
朱夏烈 丙辰 唐洞
權孝達 甲子 新村
朴勝龜 甲子 沂里
琴達淵 壬子 道溪
趙秉泳 丙辰
趙彦夏 乙卯 改 珩
趙秉? 癸亥 改 宅
鄭元永 壬戌釜谷
權永基 甲午
權永悳 戊申
權漢靖 甲午
權漢俊 己亥
權漢睦 癸卯
權達璇 壬戌
趙彦? 辛丑
權永福 丙寅
趙秉鎬 丁巳 道溪
李燦奎 辛亥 道溪
趙振容 甲子
鄭圭鉉釜谷
吳植潤 庚申
吳承華 己未 大川
吳承文 甲子
權達昌 乙卯
權永凞 乙丑 唐坪
琴翼鴻 壬戌 剡?
趙秉吉 辛丑 唐坪
趙秉喜 壬子
趙晦容 甲子 沙皐 ???
權龍正 乙丑 幾浦
趙彦華 癸亥 釜谷
趙秉純 乙巳
趙南容 壬戌 道溪
趙秉彛 甲寅
琴進淵 壬戌
趙彦極 乙巳 道溪
趙秉琳 癸亥
吳世孝 壬戌
吳世雲 丙寅
吳錫洪 壬戌 大川
吳錫祚 丙寅
尹相彦 丙午
▣▣▣ 庚申 靑杞
趙冲基 己未
趙雒錫 乙丑 沂里
吳錫顯 壬戌 改 錫燾
吳錫昌 己未 靑杞
趙正容 沙皐
尹行悳 剡溪
金尙秉 庚申 靑杞
趙秉黙 庚戌
趙時容 沙坪
南基錫 己未 剡溪
南基? 庚午
南基衡 壬申
權永裕 丙寅
趙端容 己未 沙皐
琴翼絃 丁子 唐下
吳世喬 壬戌
吳世憙 丙辰 靑杞
吳世龜 丙寅
鄭祚永 己丑 ?里峴
鄭淵黙 甲寅
鄭日永 乙丑 ?谷
權思永 戊辰 幾浦
吳錫永 癸亥
吳錫玄 丙寅 ??
吳錫海丙寅 ??
趙㝎容 乙丑 沙坪
李鉉慶 乙丑 道谷
權衡達 戊辰
權元達 丙寅 新村
權周達 辛未
吳錫斗 乙丑 靑杞
趙裕容 丁巳 元唐
趙厚基 壬申 改 弼基 沂里
李元鉉 甲子
李三鉉 癸丑 沂里
李晩旭 甲子 孟?
權相學 庚午 幾浦
趙秉日 甲子 注谷
趙秉容 戊辰 元唐
趙能容 癸丑
趙瀅基 丙寅
趙鏞基 己巳 芝坪
趙萬基 己巳
吳世斗 己巳 靑杞
趙郁容 辛未
趙秉俊 癸酉 道溪
趙極容 己巳
趙秉儀 乙丑
趙秉昌 乙丑 道溪
趙秀容
趙秉炤 己巳 梨?
趙皥容 乙亥
權河永 丙子 幾浦
吳承萬 己未
吳錫紀 己巳 大川
吳錫胃 甲戌 改 錫烈
吳錫璣 甲戌 改 錫璋
朴齊珏 丙辰 唐洞
韓矩東 尾邱
朱承烈 己未 唐洞
具然鑄 乙丑釜谷
趙學容 乙亥 元塘 改 贇容
趙麟錫 癸酉 沂里
南孝百 庚申
南朝曦 甲子 新村
南基德 丙子 剡村
李實永 辛未 沂里
尹 愿 辛未 剡溪
趙敦容 庚午 沙邱
趙琪容 甲戌
趙寬容 甲戌 沙邱
吳錫祐 戊寅 道谷
權壽達 乙亥
權丙達 丙子 新村 改 錫達
吳柄七 庚午 大川 改 羲元
權世達 甲戌 新村
趙晩容 庚午 ??
鄭德永 丁卯 釜谷
權斗相 辛酉 沙洞
權道貞 庚申 幾浦
趙三容 乙亥 剡村
鄭達永 甲子 釜谷
具然浩 己巳 釜谷
吳羲元 庚午
吳錫倫 甲戌 大川
吳世珌 己巳 道谷
吳在明 辛未 大川
吳錫瀚 甲戌
趙玹容 癸酉 唐坪
趙鐸容 甲戌
趙正容 乙亥 道溪
趙憲基 乙亥
趙秉稷 丁卯 沙皐
朴勝萬 庚午 首比
趙秉佑 戊寅 釜谷 改 秉鄰 梨承
趙述容 己卯 道溪
金中秉 己巳 靑杞
權相穆 癸酉 幾浦
趙德容 甲戌
趙翼容 丙子 沙皐
趙 基 庚辰
趙重基 壬申 注谷
趙弘基 庚辰 道溪
趙成基 乙亥 注谷
裴淵明
權箕相 戊午 ?洞
金遇洛 庚午 ?中
趙瓛容 戊寅 沙皐 改 赫容
趙馨基 戊寅釜谷
吳世箕 辛未
吳錫奎 戊寅
吳世玟 丙子 靑杞
吳錫駿 己卯
金濬洛 癸亥
金寅述 丙子 靑杞
金度衡 己卯
趙南基 癸酉
趙?基 己卯 注谷
趙禹錫 己卯
吳世華 甲戌
吳錫璨 庚辰 大川
權斗相 辛酉
權奎相 辛未 ?洞
金伊洛 辛巳 唐中
權軫相 甲戌 縣洞
吳錫極 壬午 大川
趙秉隣 戊寅
趙述容 己卯 唐中
趙秉逸 己巳 改名 趙秉炤
趙秉亮 戊寅
趙邦基 庚辰 剡村
趙尙基 辛巳 ?村
趙慤容 甲戌
趙愽容 辛巳 沙坪
趙鳳基 辛巳
權永湖 己巳 塘坪
權達榮 癸未
權達春 甲申
吳世恒 庚午 靑杞
趙重容 戊寅釜谷
趙學容 辛巳
吳鍵承 乙亥
吳錫璿 丙子 靑杞
吳濟承 丁丑
吳錫震 辛巳
吳震元 丁丑
吳鳳元 己卯 大川
權燦祖 壬午 縣洞
趙秉潤 甲戌 梨?
趙學容 辛巳
黃炳七 庚辰
趙秉彙 戊寅 ?洞
趙秉奭 癸未 ??
趙秉榮 癸未
南基璉 戊寅
南基宇 己巳
南基夏 戊寅 剡村
南容錫 壬午
吳弼承 己丑 靑杞
權正達 己卯
權達鎔 己卯
權泰欽 辛巳
權燦鏞 己酉 新村
權燦寅 壬午
權必達 甲申
趙秉洙 乙亥 道溪
趙純容 癸未 沙邱
琴翼卨 丁卯 曲江
朴海錫 辛巳 愚川
趙義泳 癸未 注谷
李鉉慶 丙寅
李鉉基 戊辰 道谷
吳錫甲 丁卯 大川
吳錫範 庚辰
吳錫凞 辛巳
吳錫疇 戊寅
吳錫俊 庚辰 大川
吳四元 壬午
趙惠容 丁亥
趙晃基 庚辰 沙邱
趙玹容 己卯
趙世基 戊子
趙秉圭 辛巳生 ??
趙秉淇 己卯生 下釜谷
趙堉容 癸卯生 ??
李禧永 壬午沂里
李祐永 己酉
李祺永 丙戌
吳承台 辛巳
吳承斗 戊子道谷
吳承塤 庚寅
尹相暎
尹相霖
朱錫烈 壬申 水谷
趙赫容 沙皐
李中遠 壬申 唐洞
權章煥 己亥 幾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