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일사실기(日査實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874.4776-20110630.Y11113099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치부책
작성주체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작성시기 1874
형태사항 크기: 51 X 17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영양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영양향교

안내정보

187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일사실기(日査實記)
1874영양 영양향교에서 그 전해에 사용한 회계의 내역을 조사한 일사실기(日査實記)이다. 본 문건의 기록에 의하면, 영양 영양향교의 작년 회계수입은 춘향전(春享錢)‧전수전(傳受錢)‧교생전(校生錢)‧추수전(秋收錢)‧하수세(夏收貰)등을 비롯한 총 수입이 248냥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춘향(春享)‧춘세(春稅)‧백일장(白日場)‧추향(秋享)등 향교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총수입 248냥에서 제외해야 하므로, 이를 제외하고 나면 돈 108냥과 조(租) 12석(石) 정도가 남는다. 그러나 실제로 이 계산을 장부와 맞추어 보면 현금계산에서 10냥 정도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원인 때문인지 관청의 수결(手決)앞에는 1월13일까지 기한을 정하고 기일 내에 장부의 숫자를 맞추도록 하였다. 또 기일을 엄수하지 못하면 감영(監營)의 처벌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 문건은 향교의 재정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판단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74영양 영양향교에서 작년에 쓴 회계내역을 조사한 日査實記
내용 및 특징
1874영양 영양향교에서 그 전해에 사용한 향교재정의 회계내역을 조사한 日査實記이다. 본 문건에 의하면, 작년 봄 趙秉衡이 租 千石과 春享錢 25냥을 전해 받았다는 기록 및 趙秉儒이 향교에서 1년 동안 쓸 비용을 기록하고 있다. 1년 소요되는 비용은 傳受錢‧校生錢‧秋收錢‧夏收貰등의 총계가 248냥이라고 기록하였다. 그런데 향교에서 소요되는 비용으로 春享 35냥과 春稅 50냥 기타 白日場비용 10냥‧ 秋享 40냥‧ 1년 쓸 기타 예산 40냥 등을 제외하고 나면, 돈 108냥과 租 12石이 남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실제로 계산을 해보면 10냥 정도의 돈이 계산에 맞지 않는다. 이 때문인지 마지막 官廳의 手決 앞에 1月13日까지 숫자를 잘 맞추어 장부에 기록하여 내도록 하고 기일을 엄수하지 않으면 巡營에서 처벌할 것 이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日査實記는 요즈음으로 치면, 어떤 모임이 매년 1년간의 수지결산을 하는 장부를 만드는 것처럼 향교에서 1년간 소요된 예산과 벌어들인 예산의 수지를 맞추어 보는 회계장부라 할 수 있다. 이 자료 역시 향교재정의 측면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유용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4년 영양향교(英陽鄕校) 일사실기(日査實記)
甲戌正月 日査實記
作春趙秉衡傳授租四石春享錢二十五兩
趙秉儒一年所用債
傳受錢二十五兩
校生錢一百十五兩
秋收正二十七夕內 一石下人處下在二石 四石秋享下
在二十石內 十石作五十兩 十石本色
夏收貰五十八兩
已上錢貳百肆拾捌兩內
春享時傳受錢二十五兩不足錢十兩
合三十五兩除
春稅五十兩除
十兩白日場不足条除
秋享時 正四石除
錢四十兩除
一年流用錢四十兩除
實在錢一百八兩
正租十二石
刻日督捧必於今十三日準數
來納是矣若過限日論報
巡營嚴勘惕念擧行次
右下 徐大慶
張甲云
官〔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