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9년 경산향교(慶山鄕校) 정신문중수기사(正神門重修記事)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869.4729-20110630.Y11107401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주체 경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 760번지 경산향교
작성시기 1869
형태사항 크기: 23 X 3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산 경산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 760번지 경산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산 경산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 760번지 경산향교

안내정보

1869년 경산향교(慶山鄕校) 정신문중수기사(正神門重修記事)
1869년에 경산향교에서 대성전(大成殿)으로 들어가는 입구인 정신문(正神門)을 중수하면서 작성한 정신문중수기사(正神門重修記事)이다. 경산향교조선시대 후기에 여러 차례에 걸쳐 대성전명륜당을 중수한 바 있는데, 본 중수기에 의하면, 1869년에 퇴락한 정신문의 기와와 기둥들을 바꾸고 교체했다고 한다. 본 중수공사시에 책임을 맡았던 사람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역(監役)으로는 정극순장진극이문룡한호갑서정기등이, 도유사로는 한문학이, 재임으로는 서병술한상준의 이름이 보이고 있다. 경산향교에 소장된 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들 자료들은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69경산향교에서 正神門을 중수하면서 작성한 正神門重修記事
正神門重修記事
내용 및 특징
1869경산향교에서 正神門을 중수하면서 작성한 正神門重修記事이다. 경산향교는 기록상으로 보면, 1702년‧ 1715년‧1721년‧17251744년에도 대성전을 보수하였다고 하며, 1758년‧1803년‧1837년‧1850년에도 大成殿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다. 목조와 기와가 많은 향교건물의 특성상, 향교는 부득이 자주 수리를 해야 했다. 또 향교는 제사공간으로 선현들을 제사지냈기 때문에 지방관들이 향교의 손상을 두려워하여 자주자주 수리하게 하였다. 이처럼 경산향교의 重修工事 횟수를 보면 향교의 중수가 꽤 많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중수기를 살펴보면, 중수공사의 책임을 맡고 있는 인물들의 명단에서 경산향교에 영향을 미쳤던 성씨들의 변동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수공사의 監役으로는 鄭克淳蔣鎭極李文龍韓浩甲徐鼎基등의 이름이 보이고 있으며, 都有司로는 韓文鶴이, 齋任으로는徐炳述韓常俊등의 이름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명을 살펴보면, 達城 徐氏의 약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大邱府에서 가장 큰 門中을 이루고 있는 達城 徐氏가 경산향교에도 영향력을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료적가치
경산향교에 남아 있는 고문서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경산향교의 연혁을 詳考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다행스럽게 두 편의 正神門重修記가 남아 있어서 경산향교의 연혁을 살펴보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9년 경산향교(慶山鄕校) 정신문중수기사(正神門重修記事)
正神門重修記事
門之移建己述於舊蹟而歲久朽敗逮同冶八年翻其
瓦易其椽門雖舊改觀焉斯於改榱之日光謄鄕
耆舊蹟以記今人實事連楮奉置庶爲後世之
觀感耳上樑同治己巳三月二十五日巳時也
監役幼學鄭克淳
蔣鎭極
李文龍
韓浩甲
徐鼎基
時都有司幼學韓文鶴
齋任徐炳述
韓常俊
都木手朴淸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