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8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교각항유좌도록책(鄕校各項留坐都錄冊)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818.4711-20110630.Y11103031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경제- 회계/금융 - 치부책
작성주체 장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작성시기 1818
형태사항 크기: 31 X 54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안내정보

1818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교각항유좌도록책(鄕校各項留坐都錄冊)
본 치부책은 1818년 이래, 여러 차례 작성된 장기향교의 각종 재산 목록을 기록하고 잇는 치부책이다. 본 문건은 모두 10개의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내용은 대체로 세 가지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향교에서 소유하고 있는 제사와 연관된 각종 기물, 향교소유의 각종 서적목록, 향교소속의 노비명단 등이 그것이다. 서적목록의 경우, 해당서적의 명칭과 권수, 파손된 권책 등이 기록되어 있고, 향교소유의 전답은 지번 및 자호, 생산면적과 생산량 및 매매유무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 또 노비명단의 경우, 노비의 성명과 연령이 차례대로 기록되어 있었다. 물론 장기향교에서 소유했던 치부기록책의 전체가 남아 있을 경우, 본 치부책의 가치가 더욱 컸겠지만, 비록 전체의 내용은 아니더라도 장기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치부책은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18년 이래, 장기향교에서 여러 차례 작성한 서책목록 및 전답상황등을 기록한 치부책이다.
嘉慶二十三年 十二月 日 鄕校各項留坐都錄冊
내용 및 특징
본 치부책은 1818장기향교에서 처음 작성된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만들어진 서적목록과 전답상황등이 기록된 장부들을 모아놓은 치부책이다. 본 치부책의 내용은 모두 10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부분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祭服秩, 書冊秩, 新備秩, 書冊餘帙記, 學位秩, 校屯秩, 養士齋畓秩, 校奴秩, 還退畓都錄, 丙午新備秩 등이다. 제복질의 항목은 주로 향교에 남아 있는 祭器와 器物에 대해 기록하였으며, 파손되었다든가 보존상태에 대해서도 기입하고 있다. 예를 들면, 燭臺의 항목에서 수량아래에다가 ‘貳拾伍坐內壹坐破’라고 기입하고 있는 식이다. 서책질에서도 마찬가지로 서책의 서명을 나열하고 그 권수나 보존상태까지 기입하고 있다. 예를 들면, 『통감』의 항목에서 수량아래에 ‘貳拾捌卷內伍卷破’라고 기입하고 있는 식이다. 신비질은 주로 새로 구입한 서적의 서명과 권수를 나열하고 있다. 昭和 15년(1940년)의 書冊餘帙記에서는 과거의 향교서책에서 그대로 물려 받게 된 서책들을 기록하고 있다. 학위질에서는 어떤 측면에서 보면 향교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전답관계의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즉, 향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학위전의 地番과 字號, 地名 및 田番, 結負의 숫자나 斗落의 숫자 등을 차례로 기입하였다. 또 어떤 특정한 사유가 있어 전답이 생긴 경우에는 그런 내용을 작은 글씨로 기입하기도 하였다. 이밖에도 교둔전과 양사재답질, 환퇴답도록, 병오신비질 등의 경우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소유 토지를 차례로 기록하였다. 또 교노질에서는 향교 보유의 노비들을 기록하였는데, 모두 24명의 노비 성명과 연령이 차례대로 기록되어 있다.
자료적가치
일반적으로 향교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기반으로는 학위전과 교둔전을 비롯한 각종의 전답과 향교에 소속된 노비들이라 하겠다. 물론 조선시대 후기로 접어들면서 노비들에게 갖가지 신상변동이 생기거나 탈주등으로 인해서 인원수가 줄어들면서 재산적 가치는 점차 줄어들게 되지만 초기의 향교에는 재정적 기반으로 상당히 중요했다. 또 전답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조선시대 후기로 갈수록 전답의 관리가 어려워지고 전답을 통해 향교에서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지 못하게 되면서 향교전의 중요도도 떨어지게 되지만 이 역시 조선시대 초기의 향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재정적 기반이었다. 이처럼 본 문건은 문건을 통하여 장기향교의 재정적 상황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8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교각항유좌도록책(鄕校各項留坐都錄冊)
嘉慶二十三年十二月日 鄕校各項留坐都錄冊
祭服秩
祭服伍件 權等內時校生梁相說姜德彛新備
祭器秩
畵方器具盖子拾立
畵圓器具盖子拾立
純方器具盖子▣▣
純圓器具盖子▣▣
爵參拾伍立內▣▣▣故
燭臺貳拾伍坐內壹坐破
犧樽貳坐
象樽肆坐
山罍貳坐
香爐伍坐
香盒伍坐
鍮甑壹坐破
鍮飯掌壹坐破
牲鼎貳坐內壹坐義州金等內時校生成道元備納 壹坐廣州李等內時校生孫達文備納
食器壹立破
匙壹丹破
書冊秩廟備
論語拾卷破
論語正文壹卷
孟子具諺觧拾肆卷破
中庸壹件
大學壹件破
庸學正文壹卷半燒
詩傳參卷
詩正文貳卷
書傳具諺觧拾貳卷內伍卷破
書正文貳卷
周易具諺觧拾柒卷
周易正文壹卷
通鑑貳拾捌卷內伍卷破
李白詩捌卷
孝經大義壹卷
心經貳卷內壹卷破
正俗壹件匣破
五倫行實肆卷貳件
三綱行實貳卷內壹卷破
二倫行實壹卷
鄕約飮禮貳卷
雅頌貳卷
朱書貳卷
文選貳卷破
簡齋集伍卷
文忠公奏議錄肆卷內壹卷破
綸音貳卷
痘科彙編貳卷
已上壹百參拾伍卷內
肆拾參卷破
新備秩
論語具諺觧拾壹卷
孟子具諺觧拾肆卷
中庸具諺觧貳卷
大學具諺觧貳卷
詩傳具諺觧拾柒卷
書傳具諺觧拾伍卷
小學具諺觧拾貳卷
史漢一統拾陸卷
冊櫃具鎖金壹坐
抱川李等內時校生金珠海珠浩兄弟等備納
已上捌拾玖卷
昭和十五年九月日
書冊餘帙記
詩傳一冊破
書傳五冊只一破
論語七冊破
孟子六冊破
小學一冊破
通鑑二冊破
刷馬節目一冊
軍布節目一冊
醫生進獻一冊
冊紙節目一冊
補公錢立本節目一冊
補公錢矯捄節目一冊
竹木尋院錄一冊
續修三綱錄一冊
東京通誌七冊
樹隱實記一冊
迎日邑記三冊
西岳誌三冊
訥庵集二冊
巖齋唱酬錄一冊
日月時報一冊
聖堂復興一冊
訓令編纂一冊
各種書類四束
鄕案四冊
儒案一冊
老▣堂集一冊內二冊末詳
恥窩集三冊
私謚明(銘)鑑一冊
太極敎宗一冊
儒道十二冊
人道二冊
經學院搡誌二冊
朝鮮名臣錄二冊
學位秩
西初賴二田 捌負玖束
三田 拾負肆束
又田 壹負玖束
六田 拾捌負柒束
拾壹斗落
駒百田 肆負
百八田 伍負壹束
柒田垈
北二甚七十田 壹負八束
七十八田 柒束
八十一田 拾參負參束
八十二田 伍負伍束
八十三田 肆負
牟浦垈▣
內初宇三十二畓 拾壹負柒束 參斗落
洪百畓 柒負貳束 貳斗落
玉三十一畓 捌負六束 貳斗落
內賣▣
內二闕二十六畓 貳拾貳負陸束
二十七畓 參拾肆負陸束 貳拾斗落
二十九畓 參負玖束
三十畓 拾負柒束
西初垂六十二畓 伍負貳束 貳斗落 永賣
傷十八畓 拾伍負柒束 參斗落 內賣還
已上田柒拾肆負參束 拾壹斗落時耕
畓壹結貳拾負貳束 貳石貳斗落
校屯秩
內初玄四十六田 柒負六束
四十七田 玖束
四十六田 參負
四十九田 參負柒束
校基
四十五田 壹負伍束 參斗落
二十四田 參負
四十五田 貳負
柒斗落
五十一田 伍負 肆斗落
四十八田 肆負肆束 參斗落
四十三田 參負參束
四十四田 壹負
四十五田 壹負
陸斗落
抱川李等內時買得
五十二田 參負
又田 貳負
捌斗落竹田
抱川李等內時安益世有功納
內二海 田 柒負玖束 小▣▣垈
內初洪百七畓 拾負柒束 肆斗落 永賣
往四十七畓 參負
寒六畓 壹負伍束
又畓 壹負伍束
暑三十八畓 陸負捌束
參斗落 永賣
秋八畓 陸負捌束
二十一畓 參負參束
參斗落
露五十二畓 肆負捌束 參斗落 永賣
宿四十二畓 拾壹負參束參斗落 義州金等內時校生金長壽
月九畓 伍負陸束 參斗落 永賣
生十二畓 玖負貳束
十三畓 柒負三束
伍斗落 高靈朴等內時許邁有功納 永賣
出七畓 肆負參束 壹斗 伍刀落 永賣
內二巨三十五畓 貳拾負柒束 伍斗落 永賣
西初盖 一畓 拾負捌束 參斗落
賓 八十一畓 拾肆負八束
八畓 拾貳負玖束
玖斗落 永賣
草 二十一畓 陸負壹束
三十三畓 陸負參束
三十四畓 柒負陸束
二十七畓 玖束
二十五畓 拾肆負參束
拾壹斗落 永賣
拱 三十六畓 拾捌負壹束
三十七畓 柒負柒束
三十八畓 壹負伍束
三十九畓 伍負捌束
柒斗落 內買▣
敢 五十畓 肆負捌束
六畓 肆負貳束
陸斗落 永賣
十五畓 拾陸負陸束
西二良 四十八畓 玖負陸束 貳斗落 內買▣
覆 七十七畓 拾壹負陸束
七十八畓 肆負肆束
八十畓 參負參束
伍斗落 永賣
詩 三十六畓 拾陸負貳束 陸斗落
北初惡 五十四畓 柒負壹束 參斗落
聽 三十七畓 拾負參束
三十八畓 壹負壹束
肆斗落 內買▣
二十三畓 拾負肆束 參斗落
善 四十畓 拾參負參束 參斗落 內買▣
北二凊 八畓 拾貳負貳束 肆斗落 富寧張等內時安▣納百切納內買▣立賣
已上田肆拾玖負參束 貳石壹斗落
畓參結參拾肆負捌束 陸石拾斗伍刀落
癸未四月 日
西初惟 二十八畓 柒負參束
二十七畓 柒負陸束
伍斗落 華城李等內時鄭樹東有切納▣
內初崑 七十五畓 陸負伍束 參斗落 華城李等內時買得
官 〔手決〕
甲申十二月 日
內初玄 四十三田 陸負柒束
四十五田 陸負
拾貳斗落 華城李等內時買得
官 〔手決〕
己丑二月 日
內初洪亦三洞員 八十畓 伍束
八十一畓 伍負伍束
八十二畓 壹負壹束
八十三畓 壹負肆束
一百一畓 參束
捌庚味 伍斗落 內還退 京城崔等內時買得
西初豈旀勿員 五十四畓 拾負四束 壹庚味 肆斗落 永賣
官 〔手決〕
丙申六月 日
西二敢六坪員 二畓 玖負玖束 壹庚味 肆斗落
內初洪凡勿員 七十二 拾捌負玖束
七十三 伍負柒束
七十四 肆負肆束
七十五 壹負貳束
七十六 陸束
拾壹庚味 拾貳斗落
永賣
京城金等內時買得
北初端烽燧員 伍斗落 內買還
內二劒陽旨員 七十二 捌負參斗落 永買
西初池谷員 體 七十三 陸負貳束
七十六 拾負壹束
七十七 肆束
七十九 壹負貳束
拾庚味 伍斗落
內初宿柳林員 參庚味 參斗落
京城金等內時買得
枚 十一 陸負壹束
十 陸負
參斗落
北初慶中陽員 參斗落
內二道八魚員 三十四 肆負貳束 內貳負陳
三十一 貳負柒束 白▣
十一 捌負伍束 參斗落 陸斗落 內賣還
養士齋畓秩
西初鞠 四十一畓 拾貳負 肆斗落 永賣
西二傷 三十三畓 陸負伍束
三十四畓 捌負壹束
參斗落
羊 六十六畓 玖負捌束
六十九畓 壹負貳束
三十七畓 玖束
參斗落 永賣 還退▣
景 十六畓 玖負柒束 參斗落
敢 三十六畓 拾壹負伍束
三十七畓 陸負 肆斗落
北初聽 六十畓 拾肆負柒束
六十五畓 伍負壹束
伍斗落
西二傷 參斗落 而賣還
已上畓玖拾陸負伍束 壹石拾斗落
內初玄下馬員 參庚 貳斗落 永賣
大陽員 參庚 壹斗參刀落
京城金等內時買得
大陽員 一畓 柒負伍束 伍斗落
今谷員 十一畓 肆負參束 貳斗落
大坪員 十畓 拾參負貳束 肆斗落
調同員 二十五畓 陸負玖束 參斗落
西二毁冷川員 十六畓 拾負參束 參斗落
西初大鳥三員 二十二畓 拾貳負玖束 肆斗落
凡吾員 十三畓 拾參負 參斗落
二十八畓 玖負陸束 參斗落
校奴秩
泰伯年八十
順每年七十五
戒淑年六十五
泰益年六十五
泰仁年五十七
泰山年四十八
泰元年四十五
命孫年五十一
不年四十二
聖元年三十一
希春年四十三
尙大年三十四
伯春年四十三盲人
尙得年二十五
泰恂年二十三
順森年三十九
聖玉年二十六
板老未年十九
泰森年十五
大先年十三
興哲年十二
得孫年二十一
甲孫年十四
豊連年十三
已上奴貳拾肆名內 壹名盲人
官〔手決〕
道光二十一年辛丑四月 日還退畓都錄
西初拱黑池員 三十六畓 拾柒負壹束
三十七畓 柒負柒束
三十八畓 壹負伍束
三十九畓 伍負捌束
柒斗落
西二良辰弓員 四十八畓 玖負陸束 貳斗落
北初聽孔堂員 三十七畓 拾負參束
三十八畓 壹負壹束 肆斗落
同員 四十畓 拾參負參束 參斗落
北二靑許谷員 八畓 拾貳負貳束 肆斗落
內初洪驛三員 八十畓 伍束
八十一畓 伍負伍束
八十二畓 壹負壹束
八十三畓 壹負肆束
百一畓 參束
伍斗落
北初端烽燧員
同員
伍斗落
中陽員 參斗落
內二道八魚員 三十四畓 肆負貳束 內貳負陳
三十一畓 貳負柒束
十一畓 捌負伍束
陸斗落
西初大鶴三員 畓 玖負玖束 參斗落
西二傷黑石員 畓 拾伍負柒束
伍斗落 金量斛
同員 畓 參斗落
學位秩
內初宇松峴員 三十二畓 拾壹負柒束 參斗落
凡吾員 百畓 柒負貳束 貳斗落
琴谷員 三十一畓 捌負陸束 貳斗落
西初傷黑石員 十捌畓 拾伍負柒束 參斗落
已上合畓 陸拾伍斗落 高陽成等內時還退
官〔手決〕
丙午 二月 日 新畓秩
西初常字鶴三員 三十畓 拾玖負伍束 伍斗落
內初收字大坪員 四十一畓 拾伍負陸束
伍斗落
癸丑 三月 日
內初辰字柳等員 五 拾壹負肆束 ▣買得
六一 拾伍負捌束
合十五斗落只
宇字竹田員 六十九 玖負參束
荒字竹田員 九十六 拾▣負▣束
晋州韓等來時鄭國濟有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