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1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청금안(靑衿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751.4723-20110630.Y11104014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46-1
작성시기 1751
형태사항 크기: 2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2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지당길 5(교촌동)

안내정보

1751년 영천향교 청금안
이 청금안은 1751년에 작성된 동재유생들의 명단이다. 이 청금안에는 조덕신을 포함한 114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을 성씨별로 보면 정씨 29명, 이씨 25명, 김씨 10명, 조(曺)씨 9명, 손․서씨 각 6명, 권․성씨 각 5명, 류씨 4명, 조(趙)․최씨 각 3명, 윤․전씨 각 2명, 신(申)․박․장․곽․안씨 각 1명씩 이다. 이외에 도유사 정제, 장의 서붕만, 정상룡 등이 나온다. 그러나 19세기 말에 작성된 읍지에서 장씨와 전씨가 나오지 않는 것은 해당 성씨들이 타 지역으로 이주하였거나, 가격이 쇠잔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자료는 영천향교에 전해지는 유일한 청금록으로서 17세기 초반까지 작성된 儒案과 명칭을 달리하고 있다. 이는 17세기 중반이후 평민과 서얼층이 성장하면서 삼안이라 불리는 양반들의 명부인 향안, 교안, 원안에의 입록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그들의 요구는 결국 관철되어서 18세기 중반이후 향안과 교안에 입록하게 되었으며, 기존 양반사족들은 그들과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청금록을 작성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 이 청금안이라 할 수 있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이병훈

상세정보

1751년에 작성된 永川鄕校 東齋儒生들의 명부인 靑衿案
내용 및 특징
이 청금안은 1751년에 작성된 동재유생들의 명단이다. 이 청금안에는 曺德臣을 포함한 114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을 성씨별로 보면, 鄭氏 29명, 李氏 25명, 金氏 10명, 曺氏 9명, 孫․徐氏 각 6명, 權․成氏 각 5명, 柳氏 4명, 趙․崔氏 각 3명, 尹․全氏 각 2명, 申․朴․張․郭․安氏 각 1명이다. 이외에 都有司 鄭梯, 掌議 徐鵬萬, 鄭相龍 등이 있다.
15세기 중엽의 『世宗實錄地理志』에 나오는 영천군의 土姓으로는 皇甫·申·李·尹氏가, 來姓은 宋·金·兪·崔·沈氏 등 총 9개의 성씨가 있었다. 그러나 16세기 초에 작성된 『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克氏와 1497신령현이 廢縣되어 영천군에 귀속되면서 신령의 토성이었던 李․朴․丁․史氏가 영천의 來姓으로 등장하여 총 14개의 성씨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19세기 말의 『嶺南邑誌』에서는 기존의 皇甫氏, 李氏, 尹氏, 申氏 宋氏, 金氏, 克氏, 兪氏, 崔氏, 沈氏 등의 10개 성씨와 신령에서 來幷한 李․朴․丁․史氏의 4개 성씨,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지만 과거에 增補된 曺氏, 鄭氏, 徐氏, 權氏, 安氏, 成氏, 朴氏, 孫氏, 辛氏, 郭氏, 柳氏, 金氏, 盧氏, 田氏, 趙氏 등의 15개 來姓이 나타난다. 대개 邑誌에 등장하는 성씨들이 당시 校院을 출입하던 성씨였음을 감안한다면 이들은 모두 士族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청금안의 성씨 중 張氏, 全氏는 19세기 읍지에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두 성씨는 영천향교의 儒案에 등재된 성씨들로 일찍이 영천에 세거해온 집안이었다. 仁同人 張壽洪의 경우 청금안에서 移居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타 지역으로 옮겨갔으며, 全宇楨, 全熙範 등은 龍宮全氏로서 全永昌을 입향조로 두고 있었다. 그는 15세기 중반 世祖의 왕위 찬탈 때 관직을 버리고 永川林泉里에 隱居하였다고 한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昌寧曺氏, 安東權氏, 星山李氏, 咸陽朴氏, 延日鄭氏, 慶州金氏, 慶州孫氏, 永陽崔氏, 永川李氏, 慶州鄭氏 등과 혼인을 맺으면서 점차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용궁전씨들이 영천내에서 가세를 확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인근 사족들과의 혼인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지만, 임란 당시 全三益의 軍功과 그의 아들인 全知性의 入格 등도 작용하였다.
향교의 교임은 대체로 동재의 청금유생들 가운데서 수임인 都有司(校長, 齋長, 齋首), 차임인 掌議(校貳), 말임인色掌(有司, 齋有司, 齋任)이 선출되었다. 이 청금안에서는 都有司와 掌議만이 나오고 있다. 이는 18세기 들어 향교의 유사들은 서재교생들이 담당하였으며, 동재유생들 중 장의와 도유사를 선발하여 서재 유사들을 관리․감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유사라는 명칭이 처음부터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영천향교에서 도유사라는 직임이 나타난 것은 1629년의 儒案부터이다. 1619년에 작성된 ‘鄕約案’에서는 ‘鄕校卽上有司主之’라 한 것으로 보아 향교를 대표하는 수임인 都有司를 上有司라고도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상유사를 비롯한 교임은 대개 향교에 적을 둔 유생 가운데 文行이나 德行을 갖추고 고을의 명망을 받아 사장이 될 만한 인물이 선출되었기 때문에 흔히 사류의 영수로 일컬어졌다. 따라서 유안에 등재된 인물들 중에서 교임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1618년과 1622년의 儒案에서는 堂長이라는 명칭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동재유생과 서재교생이 나눠지던 17세기 중반 이전에 儒案이 작성되면서 당시 영천향교의 액내유생 즉 양반유생의 대표를 堂長이라 불렀으며, 17세기 중반이후 액내유생이 양반사족이 아닌 평민, 서얼들의 서재교생을 칭하게 되자 堂長이라는 말은 서재교생의 대표를 칭하는 것으로 성격이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즉 1618년의 유안이 작성될 당시의 堂長은 양반유생이었던 것이다. 이들이 자체의 문서 등에서 堂長이라 사용한 것은 이 유안들이 작성되던 시기에 영천향교에는 壬辰倭亂으로 인해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고 東齋와 西齋만이 중수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619년에 명륜당이 중수되면서 향교의 대략적인 모습은 갖춰졌지만, 불탔던 대성전1622년 9월에 가서야 완전히 중수될 수 있었다. 그래서 1622년 3월에 작성된 유안에서는 首任으로 堂長이 나오며, 1629년 유안에서는 都有司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자료적 가치
이 자료는 영천향교에 남아있는 유일한 靑衿錄이다. 향교의 인적구성을 알려주는 자료로는 시기별로 儒案과 儒生案, 校生案으로 불려온 것 외에도 鄕案이 있어서 참고할 만하다. 또한 18세기 영천향교 내부에서의 인적변화를 증명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는 이 청금록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영천향교 뿐만 아니라 영천 지역내 전체 사족들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 자료 외에도 서원의 원생안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永川邑誌(嶺南邑誌),
永川全誌, 尹聖永 編, 일광인쇄소(대구), 1939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1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청금안(靑衿案)
辛未二月 日
靑衿案
曹德臣 直夫 壬寅
鄭一珩 楚寶 壬寅
權正曄 大輝 壬寅
金萬英 士桑 壬寅
孫麟杰 休應 壬寅
鄭一鈜 器甫 壬寅
鄭一興 宗彦 壬寅
柳瑞霖 汝澤 壬寅
李致祥 仲至 壬寅
全宇楨 君幹 壬寅
李景稷 文若 壬寅
鄭思舜 禹卿 壬寅
徐必準 乃平 壬寅
金道萬 世敬 壬寅
尹訓 戒彦 壬寅
鄭夏建 紀元 癸卯
曹應運 汝會 癸卯
孫弘俊 甫英 癸卯
鄭一錘 聖中 癸卯
曹碩臣 寬夫 癸卯
孫弘運 子亨 癸卯
李祥羽 舜瑞 癸卯
崔碩鴻 汝遠 癸卯
申彦標 汝範 癸卯
崔碩運 達之 癸卯
孫弘緖 乃述 癸卯
崔成憲 乃則 癸卯
李國相 汝寬 癸卯
曹敬臣 整叔 癸卯
全熙範 尋叔 癸卯
鄭一濂 明叔 癸卯
李景彬 乃郁 甲辰
金鎰 子衡 甲辰
李慶興 興彦 甲辰
鄭一鑽 學如 甲辰
李紀龍 羲攵 甲辰
鄭一珏 皆玉 甲辰
李文龍 輝伯 甲辰
鄭㰒 文仲 甲辰
李震馨 熙徵 甲辰
曹惟聖 士彦 甲辰
金光智 煥汝 甲辰
李斗祥 君七 甲辰
柳商霖 季澤 甲辰
朴守恪 飮卿 甲辰
權彦範 羙仲 甲辰
鄭光宅 履安 甲辰
趙如憲 德章 甲辰
權鳳曄 章五 甲辰
金宗九 聖仲 乙巳
李祥文 熙瑞 乙巳
金宗五 乃兼 乙巳
李景卨 敬若 乙巳
鄭夏範 洛瑞 乙巳
鄭思禹 思飮 乙巳
張壽洪 移居
成景龍 雲瑞 乙巳
李洛徵 龜伯 乙巳
鄭夏龍 振卿 乙巳
徐必恒 改名婁 久之 乙巳
鄭夏箕 孝述 乙巳
孫弘權 聖用 乙巳
鄭周鳳 鳴叔 乙巳
鄭一鋏 長如 乙巳
郭守義 聖若 乙巳
李囿春 致和 乙巳
曹世龜 季見 丙午
柳龍枝 雲玉 丙午
金萬稷 長文 己酉
曹達濂 源仲 丙午
徐聖勛 伯飮 丙午
曹達漢 章仲 丙午
鄭夏胃 景溫 丙午
趙廷鳳 文徵 丙午
李喬臣 世卿 丁未
鄭思勳 敬飮 丁未
孫英九 晟如 丁未
鄭周範 國弼 丁未
鄭一璜 周卿 丁未
權是銓 宜卿 丁未
鄭一鏆 道若 丁未
安鼎受 子實 丁未
鄭周虎 季文 丁未
徐聖集 子成 丁未
鄭一鉍 持彦 丁未
李昌臣 國卿 丁未
成昌憲 子範 丁未
鄭一椅 長彦 戊申
李尙文 羲輔 戊申
鄭夏龜 君錫 壬子
徐聖哲 仲恊 戊申
李羲龍 時應 戊申
李景蔓 聖延 戊申
鄭彬 集中 戊申
鄭一鉉 玄仲 戊申
權星曄 景初 戊申
徐必升 進芳 戊申
金成玉 君玉 戊申
李時龍 羲瑞 己酉
成集大 子成 己酉
成昌德 子順 庚戌
李殷春 致仁 庚戌
趙廷虎 龜徵 庚戌
金師喆 子若 庚戌
金宗(?) 徵彦 庚戌
李星景 國瑞 庚戌
李九龍 雲用 辛亥
李國臣 義伯 辛亥
李景濂 熙伯 辛亥
柳濱 子淸 辛亥
曹濟臣 聖楫 辛亥
尹諻 正彦 辛亥
成震龍 九瑞 辛亥
鄭㯙 通伯 壬子

辛未二月初九日都有司 鄭梯
掌議 徐鵬萬
鄭相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