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97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안(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1697.4711-20110630.Y11103022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장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작성시기 1697
형태사항 크기: 29 X 4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안내정보

1697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안(鄕案)
1697장기향교에서 작성된 사림양반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는 향안(鄕案)이다. 1627년에 작성되어 계속 추록되어 오던 향안이 낡았으므로 새로 만들었는데, 명단이 작성된 1697년의 기록내역을 보면 황보약 등 황보씨 4명, 이창진등 이씨 6명, 오도창등 오씨 6명, 서씨 1명, 정씨 1명 등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향안의 내역을 토대로 볼 때, 이씨․오씨․황보씨 등이 사림 양반으로 장기현에서 행세했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697년에 장기향교에서 작성된 鄕案
鄕案
내용 및 특징
본 문서는 1697년에 장기향교에서 작성한 鄕案이다. 주지하다시피 鄕案이란 사림양반들이 임란이후 중인과 양민 등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향교의 교생이 되는 현상이 나타나자, 향교의 교생이 되는 것을 기피하면서 향교교생의 명단인 교생안과 다른, 사림양반만의 명단을 기재한 문서를 따로 작성한 명부이다. 이 향안은 원래 1627년(天啓7년, 인조5)에 처음으로 작성되었고, 그 후에 1656(丙申年, 효종7)․1658(戊戌年, 효종9)․1669(己酉年, 현종10)년에 계속해서 추가로 명단이 보충 수록되었으나 1697년(丁丑年,숙종23)에 원래의 명부가 헤어져서 파손되었기에 새로 향안을 작성하여 명단을 추가하였다. 그 후, 1698(戊寅年, 숙종24)․1704(甲申年, 숙종30)․1708(戊子年, 숙종34)․1709(己丑年, 숙종35)․1710(庚寅年, 숙종36)․1718(戊戌年, 숙종44)․1733(癸丑年, 영조9)․1901년(光武5年, 고종38)에 계속 추가적으로 명단이 보완되었다. 새로 향안이 만들어진 1697년의 명부를 보면, 李氏姓 6명, 吳氏姓 6명, 皇甫氏姓 4명, 徐氏姓 1명, 鄭氏姓 1명 등으로 儒案에는 그 성씨가 그렇게 많이 기록되지 않고 있는 吳氏가 6명이나 기록되어 李氏와 그 숫자가 비슷한 것이 눈에 띈다.
자료적가치
장기향교의 향안이 1627년에 처음으로 작성되었다고 하는 것은 후금 오랑캐가 침입했던 정묘호란의 영향도 있는 듯하다. 임진왜란․정묘호란 등의 전쟁은 사림양반층으로 하여금 봉건계급질서붕괴에 대한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으며, 몇 차례의 전란 이후에 사족들은 사림양반만의 특권을 유지하려는 향안을 작성하게 되었다. 향안의 작성은 향촌지배질서 붕괴에 대한 사림양반층의 위기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추록의 횟수로 판단해보면, 숙종때 가장 활발하여 1697169817041708170917101718년 등 숙종 재위시절에 무려 7차례의 추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숙종시기에 향안의 작성이 활발했던 것은 숙종의 재위기간이 긴 탓도 있겠지만 장기현의 사림 양반층이 이 시기에 재편성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97년 장기향교(長鬐鄕校) 향안(鄕案)

鄕案
康熙三十六年十一月日 鄕案
昔我先輩在天啓七年六月日
成案而歲久年深粧衣磨破且
欠紙乏追錄無望今玆改案以
示悠久不泯云
天啓七年六月日
李訥
徐克仁
安順天
李大任
徐大榮
吳僩
李尙馪
皇甫浻
吳俔
皇甫淳
李景瑜
李景球
徐處精
徐處謙
安應天
鄭仁鸞
丙申九月日
皇甫逸
金俊民
安得潔
戊戌四月日
李景玘
吳廷亮
皇甫纘
吳廷稷
李景珩
吳廷益
吳廷說
吳廷信
李國柱
徐惟遠
徐益遠
己酉二月日
鄭興業
李曄
吳廷卨
李晤
李宗眞
吳廷奭
皇甫紀
李三眞
丁丑十一月日
鄭愼道
皇甫約
皇甫誾
吳道昌
皇甫紘
李昌眞
吳道原
李弘眞
徐就逺
吳道貫
吳道眞
李敏秀
李碩培
吳道正
李光眞
李碩垓
吳道一
皇甫憲
戊寅三月日
李以馪
皇甫樟
皇甫梓
甲申正月日
吳道亨
李東亮
李滈
吳道全
李東振
金慶禮
李東哲
安浩然
吳時仲
皇甫樞
李致亨
安處直
安淑
安湛

戊子三月日
安渾然
李敏華
徐碩涇
吳道仁
安澂

己丑十二月日
金兌精
李漸
皇甫明
權得平

庚寅正月日
鄭益周

戊戌正月日
金禧慶
吳時佐
李欽明
皇甫暉
李德潤
皇甫旻
安琮

癸丑十二月日
鄭錫重

光武五年月日
成智訓

行郡守〔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