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정유(丁酉) 11월 영천향교(永川鄕校) 중기(重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0000.4723-20110630.Y11104091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장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중기
작성주체 정진규,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46-1
형태사항 크기: 26 X 28
판본: 필사본
수량: 33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지당길 5(교촌동)

안내정보

정유년에 작성된 중기(重記)로서 영천향교의 건축, 기물, 전답 현황을 기록한 장부
이 향교중기는 정유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소장 도서 등의 간행연대와 도유사 정진규의 족보를 살펴보면 1897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중기는 주로 사무를 인계할 때 전하는 문서 혹은 전곡을 출납하던 장부로 설명될 수 있다. 회계문서로서 중기를 본다면 인수인계의 성격을 가지면서 일정한 기간마다 점검하여 물품의 수량과 변동 상황을 기록하고 필요시에는 보고하거나 대조를 위해 사용하는 회계문서로 의미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영천향교 중기에는 향교내의 부속 건물 현황, 제향시 사용되는 기물, 제복과 향교 소장 전적의 종류와 수량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이어서 영천일대의 향교 소유 토지의 규모와 이를 소작하는 소작인의 명단을 세주로 적고 있다. 이를 통해 향교 소유 재산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밭 237두락과 논 20두락이 보인다. 이 전답안에는 작 모, 하전 세, 재직 세, 장무하전 세, 마부 세, 식모 세, 채모 세, 고자 세, 전직 세, 장무전 세 등이 일일이 표시되어 있다. 소작의 경우 향교의 노비가 역의 댓가로 일부를 경작하고 나머지는 일반인, 교촌민, 향교소속의 외거노비, 향교의 재임 등의 다양한 계층이 소작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향교의 건물로는 대성전, 동·서무, 장물고, 신문, 전사청, 명륜당, 동·서재, 문루, 양사재, 포주, 고청, 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영천향교에서 장물고는 없지만, 당시에는 제향시에 사용하는 제기 등을 보관하는 창고로 짐작된다. 제기는 모두 석전례에 사용하던 것들로 공자를 중심으로 사성, 십철, 송조육현, 동방십팔현을 모시는 중설위 향교로서 그 규모에 맡게 많은 수가 보관되어 있다. 서책은 교육용 교재로 보이는 각종 경전 및 중국 역사서가 있으며, 제의와 관련된 것과 향교 운영과 관련한 향안, 고왕록, 집사록 등이 있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6
이병훈

상세정보

丁酉년에 작성된 永川鄕校 중기로서 향교의 건물, 제기, 제복, 서책, 전답 등에 관한 내용이 있다.
내용 및 특징
이 향교중기는 丁酉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향교 소장 서적의 간행연도와 都有司 鄭鎭逵의 족보를 통해 보면 丁酉년은 1897년으로 추측된다. 重記는 重紀라도 표기하는데, 주로 사무를 인계할 때 전하는 문서 혹은 錢穀을 출납하던 장부로 설명될 수 있다. 회계문서로서 중기를 본다면 인수인계의 성격을 가지면서 일정한 기간마다 점검하여 물품의 수량과 변동 상황을 기록하고 필요시에는 보고하거나 대조를 위해 사용하는 회계문서로 의미를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영천향교 重記에는 향교내의 부속 건물 현황, 제향시 사용되는 器物, 祭服과 향교 소장 典籍의 종류와 수량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이어서 영천일대의 향교 소유 토지의 규모와 이를 소작하는 소작인의 명단을 세주로 적고 있다. 이를 통해 향교 소유 재산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향교재정의 원칙적인 기반이 되었던 鄕校田은 나라에서 군현등급에 따라 분급한 수조권을 가진 學田 이외에 수령이 획급, 儒錢이나 운영상의 여유자금으로 매입, 철훼된 書院田의 移屬, 願納 등으로 마련된 사유지로서의 校田이 있었다. 학전의 경우 군현향교의 경우 5결이 지급되었지만 영천향교의 경우 이에 대한 직접적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영천향교 중기를 보면, 畓 237두락과 田 20두락이 보인다. 이 전답안에는 作 謀, 下典 貰, 齋直 貰, 掌務下典 貰, 馬夫 貰, 食母 貰, 菜母 貰, 庫子 貰, 殿直 貰, 掌務典 貰 등이 일일이 표시되어 있다. 소작의 경우 향교의 校奴가 역의 댓가로 일부를 경작하고 나머지는 일반인, 교촌민, 향교소속의 외거노비, 향교의 재임 등의 다양한 계층이 소작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천향교의 재정을 확인할 수 있는 연대미상의 ‘鄕校田畓案’ 1책이 전하는데 결락이 심하여 정확한 토지면적을 산출해 낼 수 없다. 그런데 그 속에는 ‘庚戌3월 原谷坪 校位田 尺量記’가 실려 있다. 거기에는 79負6束內 17負 5束이 浦落하여 62負 1束이 校位로 時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의 摘奸色吏는 李宜根이었다. 이로 보아 당시 향교가 소유한 토지 중에서 상당수가 浦落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시 중기에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 향교의 건물로는 大成殿, 東·西廡, 藏物庫, 神門, 奠司廳, 明倫堂, 東·西齋, 門樓, 養士齋, 庖廚, 庫廳, 大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영천향교에는 藏物庫는 없지만, 당시에는 제향시에 사용하는 祭器 등을 보관하는 창고로 짐작된다. 奠司廳은 大禮시에 음식 등을 장만하던 곳이며, 牖來樓라는 문루와 향교 진입로 우측에 오늘날 三一齋라는 양사재가 있었다. 이 양사재는 20세기 초에는 司馬所로 불렸다. 이외에 교생들의 음식을 만들던 庖廚와 각종 물품을 저장하던 庫廳이 있었다. 禮器는 모두 석전례에 사용하던 것들로 공자를 중심으로 四聖, 十哲, 宋朝六賢, 東方十八賢을 모시는 中說位 향교로서 그 규모에 맡게 많은 수가 보관되어 있다. 祭服은 金冠朝服, 齋服, 角帶, 木鞋 등이 각 7건으로 제관은 모두 7명이었음 알 수 있다. 서책으로는 『詩傳』, 『易經散秩』, 『論語』, 『孟子大全』, 『五禮儀』, 『彙語』, 『通鑑』, 『宋鑑』, 『闕里誌』, 『兩賢傳心錄』, 『晦齋文集』(李彦迪), 『精忠錄』, 『列聖御製』, 『史畧』, 『丹巖集』(閔鎭遠), 『克難齋集』(權濟敬), 『大田寓慕案』, 『良翁寓慕案』, 鄕案, 攷徃錄, 執事錄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극난재 김제경의 문집을 통해 이 重記가 19세기에 작성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교육용 교재로 보이는 각종 經典 및 史書 가 있으며, 제의와 관련된 책과 향교 운영과 관련한 향안, 고왕록, 집사록 등이 있다. 특이한 것은 영남 南人으로 불리듯이 대대로 남인의 텃밭이었던 지역에서 老論의 영수였던 송시열민진원 등의 글이 향교에 있다는 것이다. 이는 노론서향의 지방관의 부임과 이들의 지원 하에 영천향교에 진입한 新鄕들이 그만큼 향교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자료적 가치
이 자료는 19세기에 작성된 것을 추정되는 重記이다. 중기는 주로 사무를 인계할 때 전하는 문서 혹은 錢穀을 출납하던 장부로 설명될 수 있는데, 영천향교의 중기 역시 그러한 목적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이 중기를 통해 영천향교의 건물구성 및 제향의 규모, 교육의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세기의 영천향교 재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영남대출판부, 1979
慶北鄕校誌, 慶尙北道·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Ⅰ,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영남대 출판부, 1992.
永川邑誌(嶺南邑誌),
永川全誌, 尹聖永 編, 일광인쇄소(대구), 1939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정유(丁酉) 11월 영천향교(永川鄕校) 중기(重記)
丁酉十一月 日
鄕校重記
丁酉十一月 日
鄕校重記
大成殿 五間
東廡 三間
西廡 三間
箴物庫 五間
神門 三間
奠司廳 六間
明倫堂 五間
東齋 四間
西齋 四間
門樓 三間
養士齋 四間
庖廚 四間
庫廳 四間
大門 三間
禮哭
簠【九座加】玖拾參座
簠【七座加】玖拾壹座
犧尊 參座
象尊【二座加】 拾座
大尊 貳座
壺尊 貳座
山尊 貳座
著尊 貳座
洗罍
爵 伍拾壹介
坫 拾伍介
本坫 玖介
龍勺 拾柒介
籩 壹百{木+別}介
豆 壹百{木+別}介
登 拾介

籩巾
尊{宀/幕}
雲雷罇
鉶 具盖拾介
榼 壹介
祝板 壹介
祝硯 壹介
祭服
金冠朝服 柒件
齋服 柒件
角帶 柒件
木鞋 柒部
書冊
詩傳 陸卷
易經散秩 拾{木+別}卷
論語散秩 拾參卷
孟子大全 參卷
五禮儀 {木+別}卷
彙語 拾卷
通鑑 貳卷
宋鑑 貳卷
闕里誌 伍卷
兩賢傳心錄 參卷
晦齋文集 貳卷
精忠錄 貳卷
列聖御製 單卷
史畧 壹卷
丹巖集 壹卷
克難齋集 單卷
大田寓慕案 壹卷
良翁寓慕案 壹卷
鄕案 拾貳卷
攷徃錄 壹卷
執事錄 貳卷
孝川坪
知卅三 卜八負五束 四庚三斗落 作興春
四十四 卜七負八束 二庚二斗落 德兆 卜沙云
新源坪
率四十六 卜十四負九束 卄二庚八斗落 時丹
四十七 卜八負六束 五庚四斗落 尙乭
賓四十二 卜十六負八束 卅三庚三斗落 貴分
歸九 卜二負二束 八庚一斗五刀落 {人/丙}
歸十二 卜七負二束 十四庚四斗落 作小貴分
十四 卜十二負五束 八庚三斗落 貴岩
十五 卜卄二負一束 八庚四斗落 金扶乭
十四 卜十二負一束 八庚四斗落 春丹
十五 卜十七負八束 十九庚三斗落 今乭
十六 卜卄二負一束 八庚四斗落 洪三
十八 卜五負五束 十二庚三斗落 千三
十九 卜卄二負三束 四庚四斗落 春每
鳴百八 卜五負 卅五庚三斗落 命元
【此間寺基十二斗落浦 在田甲午簿中】
鳳四十五 卜八負八束 七庚三斗落 今切
百二 卜卄二負八束 六庚五斗落 小三 千三 今礼
八十五 卜十九負 三斗落內一斗五刀川 石千
在卄九 卜十九負八束 十八庚七斗落 石龍 哲伊
卅九 卜九負三束 八庚三斗落 春每
五十 卜九負三束 三斗五刀落八庚 {人/丙}乭
十二 卜十二負三束 八庚三斗落 順卜
在五十一 卜九負三束 六庚七斗落 作 連玉 時丹
樹四十三 卜十四負二束 十二庚三斗五刀落 先得
十四 卜八負二束 四庚三斗落 自今
五十一 卜十二負三束 五庚三斗落 菊孫
五十二 卜十一負六束 七庚七斗落 時丹 仲萬
五十七 卜九負四束 六庚四斗落 貴岩
五十九 卜九負九束 五庚三斗落 時月
五十一 卜九負三束 五庚三斗落 順卜
冠坊坪
裳六十四 卜四負二束 二庚三斗落 作韓奴
方十五 卜十一負四束 一庚三斗落 川
吾道坪
島十九 卜七負五束 二庚二斗落 分心
九井坪
闕三 卜十負 三庚三斗落 有丹
三日坪
爲卅一 卜 七負三束 六負三束 六庚二斗落 作壬戌
生卄四 卜八負八束 六庚三斗落 守卜
寒卄 卜十一負五束 四庚四斗落 貴孫
黃四十五 卜七負六束 二庚二斗落 千丹
仰 竹卅四 卜十二負六束 二庚三斗落 石乭
鳳西牛伐坪
也四十七 卜八負六束 一庚三斗落 自先
宇五 卜十負九束 二庚三斗落 竹洞
洪四 卜十七負九束 四庚五斗落 貴孫
六 卜十二負二束 一庚四斗落 小乭禮
八 卜九負三束 一庚四斗落 五同
巨余坪
盈四十二 卜十一負五束 三庚五斗落 漢乭
嗣字 卜十八負六束 三庚五斗落 宗卽
皆十三 卜十三負卄一負川 二庚三斗落 成奴
並卅二 卜六負 一庚四斗落 李奴
山底新堤坪
乃七十五 卜十七負五束 七庚四十斗落 姜哥
槐堤坪
裳卅二 卜四負五束 一庚二斗落 白萬
四十 卜二負二束 二負九束
四十九 二庚二斗落 先宗
眼 六十五 六十六 六十七 六十八 合卜七負一束 八庚五斗落 銀孫
鳴山坪
投 六十七 六十九 合卜十二負 五斗落 鄭奴
早栗坪
殊十九 卜十九負二束 二庚六斗落 作 文大 貴禮
卄一 卜四負二束 二庚四斗落 卜太 聖月
詠卅七 卜十九負八束 二庚六斗落 壬㘦 文月
三歸坪
通六十一 卜七負九束 二庚二斗落 得每
壹卅六 卜十三負三束 三庚三斗落 鄭奴
五味坪
鳴七十 卜八負三束 四庚四斗落 掌務典 貰
鳳 四十七 四十九 合卜卄二負四束 十三庚五斗落 下典 貰
八十一 卜五負三束 一庚二斗落 馬夫 貰
樹卅二 卜五負三束 三庚二斗落 齋直 貰
賓 五十五 五十六 卜四負七束 二庚二斗落 下典 貰
三歸坪
玉字 卜六負九束 五庚二斗落 下典 貰
金老坪
水字 卜七負 一庚三斗落 馬夫 貰
生卄四 卜十負五束 三庚三斗落 掌務典 貰
麗五十二 卜四負一束 一庚三斗落 食母 貰
水五十七 卜十一負五束 一庚二斗落 菜母 貰
朱南新湺坪 鳴山
所卅三 卜五負九束 三庚三斗落 下典 貰
五十童坪 朱南
地五十八 卜十八負五束 庚六斗落 馬夫 貰
律卄六 卜十九負九束 二庚七斗落 作 石東
五十七 卜十負四束 二庚三斗落 殿直 貰
歲卅一 卜十九負二束 三庚五斗落 庫子 貰
江三坪
海一 卜十六負七束 三庚六斗落 殿直 貰
巨卅四 卜十二負八束 一庚六斗落 掌務下典 貰
龍江坪
麗卄一 卜十負五束 一庚三斗落 庫子 貰
易只坪
崗卅三 卜六負九束 一庚三斗落 齋直 貰
地五十八 卜十負五束 一庚四斗落 殿直 貰
七百坪
絃八十四 卜八負二束 一庚四斗落 作 牙月
乂谷丁毛坪
時十一 卜八負二束 四庚二斗落 川
十二 卜一負二束 一庚一斗落 君功
磻四十四 卜十五負 五庚五斗落 時甲
㘦十四 卜七負六束 三庚三斗落 得和
賓四十四 卜六負 一庚二斗落 君㘦
阿川坪
望卄五 卜七負二束 一庚二斗落 東悅
障川坪
磨六十四 卜二負八束 三庚三斗落 甘悅
淡十一 卜九負 一庚三斗落 鄭奴
良十九 卜十五負 三庚六斗落 都奇
元堂松溪坪
凉卅三 卜十七負二束 五庚五斗落 蔡哥
玉浦坪
戶八十七 九十 合卜九負 二斗落 【賣用大享朱生儀時入路鉄】【賣戊申二月曺國煥鄭鉅火索】
八十二 卜九負
八十三 二負三束
八十四 四負三束
年田二十斗落 放賭
慈仁九芝坪
魚五十一 卜六負七束 七庚三斗落 川
五十二 卜五負六束 四斗落 巳月
鴟巖坪
京 九十四 九十六 九十八 合卜十六負八束 四庚四斗落 守卜
古村大邱坪
終字 卜十二負 四庚五斗落 權哥
卜七負 一庚三斗落 權哥
孝川坪
合畓 十斗落
新源坪
合畓壹百捌斗落
冠坊坪
合畓三斗落
吾道坪
合畓貳斗落
九井坪
合畓三斗落
三日坪
合畓拾肆斗落
鳳西牛伐坪
合畓拾玖斗落
巨余坪
合畓拾柒斗落
山底新堤坪
合畓肆斗落
槐堤坪
合畓玖斗落
鳴山竹川坪
合畓伍斗落
早栗坪
合畓拾陸斗落
三歸坪
合畓柒斗落
五味坪
合畓拾伍斗落
金老坪
合畓拾壹斗落
朱南坪
合畓肆拾陸斗落
阿川坪
合畓貳斗落
障川坪
合畓拾貳斗落
乂谷丁毛坪
合畓拾參斗落 ?? 川
元堂松溪坪
合畓伍斗落
玉浦坪
畓 貳斗落 【戊申年 入鉄路 賣用於春享費糸】
田 貳拾斗落
慈仁九芝坪
合畓 肆斗落
鴟岩坪
合畓 肆斗落
古村大邱坪
合畓 捌斗落
乙丑川三斗落浦편】 新源坪
川壹斗五刀落
冠坊坪
川參斗落
丙午熢遂三斗落 川屯?協不入】乂谷
川貳斗落
九芝坪
川參斗落
川合玖斗五刀落
合傷 實在畓▣百參拾柒斗落
年田貳拾斗落
丁酉十一月十三日
都有司 鄭鎭逵
齋 任 成碩鎭
曺秉洙
官 (手決)
甲午執軓禾記旧簿
新院寺基漏 鳴字 百九 四卜八束 四斗落
百八 八卜九束 六斗落 寺基
俠字 二斗落
牛川
河陽 毛里坪
右字 十一卜
三庚七斗落 賭十冊庚子 代?十斗 在上旧簿中(?)未知其移買而放賣
朱南三歸坪玉(?)子 六卜九束
五庚二斗落 路下典賣今無
阿川坪
新院畓川
歸字三斗落 乙丑
字未詳一斗五刀落(丙辰川) 四斗五刀落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