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정사년 영천향교(永川鄕校) 향청유사안(鄕廳有司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G.0000.4723-20110630.Y1110407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형태사항 크기: 24 X 3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안내정보

정사년 영천향교(永川鄕校) 향청유사안(鄕廳有司案)
조선시대 후기의 어느 정사년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향청유사안이다. 일반적으로 향청유사안은 향교의 교임안과는 성격이 달라 별도로 작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유사안에는 전곡유사 등 향교의 교임명단이 함께 기입되어 있음이 특이하다. 이외에도 본 유사안은 가향소(徦鄕所)‧업무유사경상납영거감관(業武有司京上納領去監官)‧유신역영거보인명단(有身役領去保人) 등의 명단을 포함하는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정사년에 영천향교에서 작성한 향청유사안이다.
鄕廳有司案
내용 및 특징
본 향청유사안은 연도미상이며 조선후기의 정사년 1월, 영천향교에서 작성한 향청유사안이다. 영천의 향교와 유림들은 一鄕을 장악할만한 힘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영천에서는 여전히 鄕廳의 영향력이 막강하였다. 이 때문에 영천향교를 비롯한 영천의 유림들은 鄕廳과 더불어 일종의 공동합의체라고 할 수 있는 鄕會를 발족시켜서 一鄕의 공론을 수렴해나갔다. 이러한 사정으로 말미암아 영천향교에는 鄕廳과 향약 등의 문건이 많이 보존되어 있다. 본 문건은 鄕廳의 유사안인데 鄕所의 임원 명단과 京上納領去監官의 명단, 典穀有司의 명단, 身役領去保人의 명단 등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 방식에 있어서는 먼저 각 인의 명단을 기록하고 어떠한 사유가 있어서 임직을 할 수 없는 경우, 그 이름의 아래에 작은 글씨로 사유를 적어 놓았다. 예를들면 鄕所의 임원 명단에서 朴尙伯의 명단 아래에 ‘陸軍充定頉下’라고 기입하여 그가 군인이 되었으므로 임직할 수 없게 되었다고 표시하였다. 또 成萬得의 명단 아래에도 ‘軍官頉下’라고 기입하여 그가 임직을 할 수 없게 된 사정을 기록하였다.
자료적가치
보통 鄕廳의 유사안과 향교의 교임안은 서로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작성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영천鄕廳의 유사안에는 향교의 재정을 관장하는 典穀有司의 명단이 함께 기입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鄕廳과 향교의 상관관계가 매우 밀접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身役領去保人의 명단이 함께 기입되어 있는데 이는 保人과 연관되는 업무를 鄕廳이 관장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정사년 영천향교(永川鄕校) 향청유사안(鄕廳有司案)
鄕廳有司案
丁巳正月 鄕廳有司案
一假鄕所
鄭碩胤
李萬興
李庭才
朴尙伯陸軍充定頉下
成萬得軍官頉下
尹命天校生頉下
玄永賓老除頉下
一業武有司京上納領去監官
朴世柱
朴莫善
李億萬己卯正月▣▣
金重甲
康道三
康萬三
李必善
崔太奉爲僧頉下
金碩文
金聖佑
典穀有司
魏德㱓
崔德添
朴成良
一有身役領去保人
內東李聖發庚申物故頉下
馬厚種戊午物故頉下
古村崔自▣己卯▣如▣▣頉
李自▣
玄泰碩
金成道
朴世汗
李周寬
裵日元
崔正寬
追谷李▣里
金戒元
李賓哲
▣▣金伊金
黃八立
黃▣▣▣
退歸 崔德柱
李時一
趙春伯
安夢賓
崔汗杰
朴尙杰
阿川李世奉
李采澤
官[手決]
別監[手決]
座首[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