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도유사품목(都有司禀目)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C.1843.4782-20110630.Y11106041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품목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작성시기 1843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도유사품목(都有司禀目)
1843년 2월, 청도향교의 도유사 김재곤이 중수공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일꾼들의 노임을 인상해야한다는 내용의 건의가 담겨 있는 도유사품목(都有司禀目)이다. 김재곤청도향교의 현황을 조사해보고 여러 가지 처리해야 할 일은 산적해 있는데, 일꾼들의 노임이 너무 낮아서 반발을 부를 수 있다고 보고 노임의 인상을 내용으로 담은 도유사품목을 2월 11일에 경상도관찰사에게 올렸다. 도유사품목에는 또 임금의 인상과 더불어 이를 관청의 인장으로 찍어서 공식문서화하고, 향교에서 매일 지급하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이 도유사품목에 대해 경상도관찰사는 2월 29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제음(題音)을 내렸다. 도편수(都片手)의 임금은 매일 3냥씩으로 하고, 도편수 이하의 일꾼은 매일 2냥 5푼씩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한다. 또 대성전의 위패를 옮길 때는 반드시 제사를 지내고 나서 옮기도록 하며, 비안(比安)의 유생 안백영(安百英)에게 임시로 위패를 돌보도록 했다가 중수공사가 끝나는 대로 바로 환안(還安)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하였다. 이처럼 본 문건은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3년 2월, 淸道鄕校의 현황조사를 한 都有司가 工役價의 인상을 건의하고 있는 都有司禀目
내용 및 특징
1843淸道鄕校의 현황조사를 한 都有司가 工役價의 인상에 대해 慶尙道觀察使에게 건의한 내용을 담고 있는 都有司禀目이다. 淸道鄕校의 都有司 金再坤은 향교건물의 현황을 살피고 나서 工役을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은 산적해 있는데, 木手를 비롯 일꾼들의 工役價가 너무 낮게 책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으므로, 工役價를 현실물가에 맞추어 인상을 해야 일이 쉽게 처리될 것이라고 慶尙道觀察使에게 건의하였다. 그 구체적 실천방안으로는 凡例條件 등의 문서형태로 만들어 官印을 찍고 향교에서 정식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2월 21일에 이러한 禀目을 접수한 慶尙道觀察使는 2월 29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題音을 내렸다. 우선 都片手는 매일 3錢의 노임을 주도록 하고, 都片手 이하의 일꾼들에게는 매일 2錢 5分씩 지급하도록 하였다. 또 향교의 보수공사가 시작되면 우선 聖賢들에게 위패를 옮긴다는 제사를 올리고 나서, 比安에 있는 유생 安百英이 위패를 받들고 보관하도록 하며, 공사가 끝나 위패를 봉안할 날이 되면 곧바로 회보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하였다.
자료적가치
1843년 2월 21일에 慶尙道觀察使에게 올린 都有司禀目인데, 주로 工役價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朝鮮後期에는 朝鮮前期와 달리 대규모의 건축에 동원된 工人들을 강제적으로 工役에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 얼마간의 노임을 지급하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이익을 제시해주고 工役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都有司 金再坤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工役價를 보다 현실적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慶尙道觀察使는 그의 이러한 주장을 수긍하고 받아들였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도유사품목(都有司禀目)
都有司稟目
㐲以留家數日不忘校役之戰兢昨日入校則事多爲擾不可
煩盡禀達而木手等山役功價貳戔式一例行之補活新反私用
不足云云是遣自渠中生頉皆有反心是去乙爲先校中數其
罪責其過是乎乃至於功價段不可無官處分定式故玆敢以
禀每日幾許式凡例條件自官踏印定式下校中受令隨行
事緣由仰禀癸卯二月十一日都有司金題都片手每日參戔
爲定其次貳戔伍分式定給事觀察使巡察使爲相考事卽
禮曺關內乙用良本郡鄕校修改移還安祭香祝比安
安百英處賫擎以送爲去乎祇受日時回便報來以爲憑處
之地向事合行云云癸卯二月二十九日在比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