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유(通諭)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C.1842.4782-20110630.Y11106041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작성시기 1842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유(通諭)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중수(重修)를 위해 유림의 공론을 모으려고 작성한 통유(通諭)이다. 본 통유의 내용에 의하면, 청도향교의 중수(重修)에 대한 논의는 이 해 봄부터 시작되었으나 관청에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계속 공론을 모으라는 제음(題音)을 내리기만 해서 9月이 될 때까지 향교중수에 대한 최종적 결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대해 통유에서는 심지어 성주(星州)고을의 선비들이 3차례나 과거를 치를 수 없었던 사정과 이와는 반대로 밀양(密陽)의 경우, 과거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비들이 많이 나타났었다는 사례를 例로 들면서 이는 모두 향교건물터의 운세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청도군 온 고을의 선비들과 문중이 모두 동참하여 유회(儒會)를 열고, 반드시 향교중수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공론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통유를 통해서 우리는 1842청도향교중건의 추진과정과 연관된 여러 가지 사정을 짐작할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重修를 위해 鄕論을 모으려고 작성한 通諭
내용 및 특징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重修를 위해 鄕論을 모으려고 작성한 通諭이다. 1842년 2월부터 시작된 청도향교유생들의 향교重修를 위한 노력은 줄곧 그 결실을 볼 수 없었는데, 이는 청도군수를 비롯하여 경상도관찰사등이 향교重建의 논의를 받아들이되 신중히 하겠다는 자세를 견지하다보니 빨리 重修가 결정되지 않고 계속 논의 단계에 머무르게 되었던 것이다. 본 通諭는 이처럼 향교重修의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鄕中의 公論을 모으기 위해 작성된 通文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문건의 내용에 의하면, 청도향교의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 대들보와 서까래 등이 퇴락하고 붕괴할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그 重修가 시급하여 봄에 鄕論을 모았으나 결정을 보지 못했다고 하였다. 濯纓先生이 일찍이 學記에 기록하기를, 애초 청도향교의 건물터를 잡을 때 5번이나 터를 고쳐 잡아야 했으나 끝내 올바른 건물터를 정하지 못했다고 한 사실을 인용하면서, 향교의 건물터에 대해 移建을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피력하였다. 심지어 星州의 선비들이 조정으로부터 세 차례나 과거를 치를 수 없다는 결정을 당하게 된 것은 聖廟를 제대로 수호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 하였으며, 반대로 密陽의 선비들이 과거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낸 것은 밀양향교의 건물터를 잘 잡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감안할 때 향교의 重建은 고을의 成敗를 좌우하는 중대한 일 이므로 淸道의 儒林과 각 門中이 儒會를 열어서 반드시 향교重建의 목표를 이루도록 하자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通文을 향교와 鄕廳및 각 門中에 널리 전파한다고 하였으며, 金再坤金再昇이 서명하였다.
자료적가치
1842년 2월에 시작된 淸道鄕校의 重修논의는 그 해 9월에 이르기까지 郡과 慶尙監營의 최종적 허가를 얻지 못했으므로 청도향교의 유생들은 계속해서 上書를 올리면서, 한편으로 一鄕의 公論을 결집시키기 위해 通文을 돌려서 儒林과 各 門中의 支持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 문건 역시 淸道鄕校重建謄錄이라는 제목으로 合綴하여 보관되어 있는 고문서 중의 하나이다. 1842淸道鄕校重建과 연관된 사정들을 잘 파악할 수 있는 史料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유(通諭)
右文爲通諭事夫校士之本源也不淸其源何達其流乎何者
本郡校宮龜纘歲久蠹敗日滋聖廟倫堂之棟樑榱桶傍
風而上兩頹窓敗壁星漏而露濕於戱吾鄕士林之心孰無復
新之誠而久爲一鄕之嗟惜者或因官家之不許或以鄕論之
携貳緣於歲事之不豊累擧而未售其誠意矣迄至今日校
宮凡樣漸可欹側圯礎壓樑之患迫在朝暮我明府莅官之
日聯禀建事重修移建之論倂發於去春夏之間姑未定論惜
乎是士林之無良才也鄕內各門豈無慨歎者哉以基址言之
濯纓先生學記曰五遷不得其正先賢之論若是鄭重而
基之未正亦後學所敢推知則旣毁其宮旣用其材營始重修
莫如擇地移建令當重修興移建一事在所不己孰能不從孰
敢不唯仄聞星州士子之三式停擧聖廟不謹修護之科也
密陽後學之新榜多魁聖廟擇吉移建之誠則兩邑之事誠
虔已著以吾鄕之校比料於星密今雖在他異日則我矣何不
竭其誠而盡其道乎玆陳微忱敢告通諭惟願本鄕各門僉
君子合謀示+詹議大設儒會校宮移建之意禀官敦事之地幸
甚右敬通于鄕校鄕廳鄕內各門壬寅九月初十日紫溪發文
金再坤金再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