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C.1842.4782-20110630.Y11106041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작성시기 1842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문(通文)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의 중건(重建)을 위해 청도의 각 서원과 문중에 보낸 통문이다. 본 통문의 내용에 의하면, 1842년 2월 선배 유림들이 발의하여 향교의 이건(移建)이나 중수(重修)를 요청하는 품목(稟目)을 상신하였으나, 청도군수경상도관찰사가 허가를 유보하였다. 이에 9월이 될 때까지 향교 중수의 논의가 중지되어 아무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군내(郡內)의 뜻있는 향로(鄕老)와 선배들이 이러한 상황에 대해 개탄을 금치 못하였다. 드디어 향교 중수의 뜻을 관철하기 위하여 각 문중과 서원 등에 통문을 보내면서, 향중의 공론을 모아 반드시 향교 중수의 뜻을 이루도록 하자고 하였다. 이처럼 향교의 중수는 유림과 지방관에게 깊은 관심사항이었지만, 그 사안이 중대한 만큼 중수를 시작하라는 결정을 내리는 일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重修를 요청하기 위해 書院과 門中에 보낸 通文.
鄕中稟目
내용 및 특징
淸道鄕校에서 향교의 重建을 위해 淸道의 각 書院과 門中에 보낸 通文이다. 본 通文의 내용에 의하면 淸道鄕校의 건물이 낡고 퇴락하여 금방이라도 기울어질 것 같았으므로 本鄕의 선배 유림들이 移建의 논의를 발의한지가 오래되었다고 하였다. 1842년 2월에도 향교의 선배 유림들이 발의하여 移建을 결의 하였으나 監營에서 허락할 수 없다는 재가가 나서 移建의 실행은 물론, 그 논의 자체가 잠시 중지되었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아무런 成果도 내지 못하고 몇 개월이 흘러 다시 9월이 되었으니 뜻있는 鄕老와 선배들이 이러한 상황에 대해 개탄을 금치 못하였으므로 드디어 다시금 鄕校移建의 논의를 발의하면서 郡內 書院과 各 門中의 협력을 얻기 위하여 通文을 작성해서 널리 公知한다고 하였다.
자료적가치
淸道鄕校重建謄錄이라는 제목으로 合綴되어 있는 古文書묶음 중의 한 부분이다. 이 合綴의 문건을 보면, 1842년 2월19일과 2월20일에 淸道鄕校에서 淸道郡에 2차례의 鄕中稟目을 올렸고, 다시 2월20일에 慶尙監營에 上書를 올렸으나 여전히 허락이 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일향의 공론을 모으기 위하여 동 20일에 다시 각 문중에 통문을 발송한 것이다. 청도향교의 중건과정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통문(通文)
通文 牟山琴村
右文爲奉告事伏惟校宮乃儒林莫尊之地邑運關係之所
數百年奉安之地竊非後學之所敢妄議然第念移建一議
已自鄕先輩曾所熟講而尙比遷稽者抑末知重所經始有待
時日而然歟▣今聖廟之滲漏倫堂之頹圯匪今斯今愈久
而愈憂則冠儒服儒出入玆所者烏得免士林之責乎仄聞前
春此議敦出禀官呈營不無許施之題而猝難創始以至此日
則其在吾鄕孰不無慨歎之心哉且念鄕議累發終始未就則
文宣王萬世如在之靈豈曰道州有人乎此不可忨愒時日故
鄙等敢冒庸愚玆以文告竊望僉君子齊發竣議以爲敦事
之地千萬章甚右文通交院各門中壬寅九月初二日鄕末朴浩
李敏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