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XB.1842.4782-20110630.Y11106041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청도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작성시기 1842
형태사항 크기: 25 X 3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문중소개
현소장처: 청도 청도향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교촌동 청도향교

안내정보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서(上書)
1842년 10월, 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중수(重修)를 촉구하기 위하여 경상감영에 올린 상서(上書)이다. 본 상서의 내용에 의하면, 청도향교의 유생들이 1842년 2월 19일과 2월 20일의 두 차례에 걸쳐 청도군수에게 품목(稟目)을 올려 향교의 중수를 요청하였다. 당시 청도군수는 이 사안에 대해 이건(移建) 문제는 추후에 논의하자는 것, 유림 전체의 공론을 모아줄 것 등의 내용이 담긴 제음(題音)을 내려 보냈다. 이에 청도향교의 유생들은 향교중수를 청원하는 내용의 상서(上書)를 작성하여 다시 경상감영에 올렸다. 당시 경상도관찰사였던 홍재철은 2월 15일자로 이조참판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향교중수라는 큰일을 처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으므로, 향교손상의 사정을 보고해서 올리라는 결정문만을 보냈다. 이리하여 청도향교의 중수문제는 몇 달 동안 진전 없이 논의만 무성하였다. 중수문제가 계속 지연되자, 초조해진 유림들은 9월초부터 다시 향교중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계속 올려 보낸다. 마침내 10월 7일 상서를 본 경상도관찰사이경재(李景在)는 향교중수에 드는 재원과 그 조달방법을 조사해서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이 문서는 청도향교의 중수과정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사료에 해당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42청도향교에서 향교건물의 重修를 청원하기 위해 慶尙監營에 올린 上書
내용 및 특징
1842淸道鄕校에서 향교건물의 重修를 청원하기 위하여 慶尙監營에 올린 上書이다. 본 상서의 내용에 의하면, 淸道鄕校의 유생인 李圭執朴光浩金再坤 등이 발의하여 淸道鄕校의 건물들이 낡고 퇴락하여 붕괴의 염려가 있으므로 慶尙道觀察使에게 鄕校重修의 사안을 직접 호소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이전에 향교건물의 重修를 慶尙監營에 청원했을 때, 향교건물의 손상정도를 상세히 조사해서 보고하라는 題音이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慶尙道觀察使의 교체가 있었고 신임 慶尙道觀察使가 처리해야할 農政문제가 산적해 있었으므로 계속된 上申에도 불구하고 향교중수의 사안이 결론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에 다시 鄕中의 公論을 모아서 정식으로 慶尙道觀察使에게 上書를 올린다고 하였다.
자료적가치
淸道鄕校重建謄錄이라는 제목으로 合綴되어 있는 고문서 중의 하나이다. 淸道鄕校의 重修문제는 淸道郡의 유림들이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上申해왔던 문제였다. 이 문제는 2월 19일부터 사안이 제기되었으나 공교롭게도 慶尙道觀察使의 교체가 2월에 결정되었고 신임 慶尙道觀察使는 산적해 있는 農政문제의 처리에 골몰하여 향교중수라는 큰 문제를 제대로 검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 때문에 이 문제는 한 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있었다. 그러나 여름이 지나가고 9월이 되어 향교건물의 퇴락이 눈에 띄게 진행됨에 따라 淸道鄕校의 유림들은 9월초부터 몇 차례에 걸쳐 이 문제로 계속 의견을 상신하였다. 마침내 본 상서에 대한 제음에서 慶尙道觀察使는 향교중수에 필요한 재원의 조달 문제 등 구체적 중수준비에 대한 상황을 조사해서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처럼 본 문건은 1842淸道鄕校의 重修過程을 잘 살펴볼 수 있는 史料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2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상서(上書)
淸道幼學李圭執朴光浩金再坤等謹齋沐再拜上書于
巡相國閤下㐲以郡邑之有敎乃儒化之所尙而聖敎之遵
奉也迺者本郡校宇經歲己久頹圯之患日甚一日故重建
之議齊發於前春呈禀本官後因呈營門而題曰第爲查
實論報向事行下則重建一款營邑己爲許施而適値
交逓之時且當農務未遑大役故小俟秋成後設役㐲計矣
今又鄕論峻發以設役之意自鄕稟目則題內徃呈營門
待處分向事云云故仰籲於按察之下㐲願上念聖廟之
頹圯下副多士之腆誠以竣大事之地謹冒昧以陳壬寅十月
初七日題托以修改收歛錢兩憑公營私之計則不可見欺
役處緩急財力有無查報向事本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