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WZ.1890.4884-20110630.Y11428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하종기, 강희주, 면학계
작성지역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작성시기 1890
형태사항 크기: 31.7 X 26.2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21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남해 율곡사 /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 1473-1
현소장처: 남해군청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망운로9번길 12

안내정보

189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1890년 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결성된 학계(學契)이다. 학계는 지역, 문중, 동문 등이 중심이 되어, 후학을 가르치고 양성하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결성한 계 조직이다. 따라서 면학계(面學契)는 남해군남면의 젊은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한 기금 조성 목적으로 결성된 것이다. 본 자료에는 면학계의 기본 운영 방침과 규정을 수록한 완문(完文)과 기금 조성에 참여한 계원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1890년 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후학 양성을 목적으로, 수령의 협조 아래에 결성된 面學契 完文과 契員 명단
面學契完文面學稧名案
完文/座目
[내용 및 특징]
조선후기 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시행된 面學契의 完文으로 계원의 명부인 「面學契名案」이 함께 수록되어 있는 자료이다. 남면에는 1784년부터 일종의 面約인 南面鄕約契가 실시되었으며, 지금까지 그 전통을 이어 오고 있다. 1890년의 면학계는 같은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던 남면향약계 조직에 의해 결성된 것이다. 또한 본 자료는 남면향약계와 관련된 「面鄕約契先生案」第壹冊, 「面鄕約契先生案」第貳冊, 「契規」 등의 자료와 함께, 남면향약계에서 계회를 개최하고 있는 栗谷祠에 보관되어 있다.
완문은 남면에서 학계가 결성되는 동기와 과정, 학계 운영의 기본 방침이 언급되어 있는 절목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완문에 나타난 학계 결성의 과정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옛적에는 마을마다 鄕塾과 黨庠이 있어 인재를 양성했는데, 남해현에서도 선현의 뜻을 이어 받아 興學의 목소리가 양양하였다. 이에 장학의 방도로 먼저 재물을 늘리기 위해, 경인년(1890) 10월에 一面의 동지 70여원이 각기 1냥을 씩을 내어 계를 만들었다.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縣令南宮杓가 興學田 21냥을 면학계에 지급해 주었다. 이에 매년 3월과 9월 20일에 열리는 契會 때 돈을 거두고, 有司를 정하여 분급해서, 후학을 양성하는 터전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완문 마지막에는 면학계 운영과 관련된 절목 6조가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1. 매 계원마다 1냥씩을 거두어서 取息한다. 1. 聚會하는 날은 3월과 9월 20일로 정한다. 1. 취회 때 保錢은 7푼씩 거둔다. 1. 계원 중에 만약 언행이 불순하고 계의 규약을 따르지 않는 자는 본전을 주지 않고 퇴출시킨다. 1. 미진한 조목은 추후에 마련한다. 이상의 완문은 1890년 10월에 제정하였으며, 당시 契首였던 河鍾璂와 유사 姜喜周 작성하였다.
완문 내용 중, 면학계의 결성에 해당 지방의 수령이 흥학전을 지급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經國大典』에는 ‘守令七事’라 하여, 수령 考課에 학문의 흥성이라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내에서 학계가 결성되는데, 수령이 위와 같이 협조를 했던 것이다. 또한 본 면학계가 기존에 시행되고 있던 남면향약계의 조직적 기반위에 결성되었다는 점도 수령이 관여하는 까닭이 된다. 남면향약계는 원활한 지방통치 차원에서 지방관의 주도 하에 결성된 면약이기 때문에, 수령의 지원이 쉽게 이루어졌던 것이다.
완문 다음에는 당시 계원의 명단인 좌목이 기재되어 있다. 좌목에는 모두 120명의 면학계 계원이 기재되어 있다. 면학계 결성 당시의 계원은 모두 80명으로 나머지 40명은 1890년 이후, 追入된 자들이다. 추입은 1891년 5명, 1896년에 2명, 1897년 6명, 1898년에 6명, 1899년에 6명, 1900년에 3명, 1901년 2명, 1902년 9명, 1903년에 1명이 이루어졌다. 명단의 기재는 1890년 결성 당시의 계원 성명이 기재되어 있고, 사망하거나 본인이 원해서 계원에서 탈퇴한 경우가 생기면, 세주로 해당 연도의 간지와 월을 추후 기입하였다.
성씨별로는 金氏가 29명, 朴氏 25명, 河氏 15명 순으로, 남해군남면에서 많은 인원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성씨의 비중이 높다. 한편, 1784년에서 1950년까지의 남면향약계 임원 명단을 기재한 「面鄕約契先生案」제1책을 살펴보면, 1890년 전후로 향약계 임원으로 재임했던 자들 대부분이 면학계 좌목에 기재되어 있어, 향약계의 조직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명단의 마지막에는 당시 임원을 기재해 놓았는데, 稧首 河鍾璂, 公員 朴淳鎭, 유사 姜喜周, 金基璜이다. 면학계의 임원은 남면향약계 임원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면향약계선생안」제1책에 나타난 契任은 班首 1명, 공원 2명, 유사 2명, 都掌務 1명으로 면학계의 그것과 차이가 난다. 또 본 명단이 작성된 1890년 10월 직전인 9월의 선생안 기록은 없지만, 전후한 1890년 3월과 1891년 3월의 선생안에는 면학계 임원과 전혀 다른 인물이 기재되어 있어, 향약계 내에서 별도의 임원을 선출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學契의 운영양상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조선후기에는 一鄕, 一族, 또는 同門들이 중심이 되어, 결속력 강화와 후학 양성을 목적으로 한 학계가 전국적으로 결성되었었다. 1890남해현남면에서 시행된 면학계는 일향의 사족들의 주도로 결성된 학계이다. 그런데 본 학계는 일종의 면약인 남면향약계 조직이 주도하여 이루어졌다. 그런데 면약의 경우 원활한 지방통치를 위해 관의 영향력 아래에서 운영되었었다. 따라서 면학계 역시, 남면의 후학양성과 수령 고과라는 상호 이해관계가 맞물려서 운영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관의 지원을 받을 수가 있었던 것이다.
『經國大典』,
『朝鮮の姓名氏族に關する硏究調査 』, 朝鮮總督府中樞院 編, 朝鮮總督府中樞院, 193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鄕約의 大綱』, 南海文化院, 南海文化院, 2001
『지방사와 지방문화』10권 2호, 김희태, 역사문화학회, 2007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面鄕契完文
庚寅十月日
面學禊名案
完文
夫鄕塾黨庠古聖之垂典而
培養人才也夏絃秋誦先王之
遺風而敎導人才也盖人才者
國家之器用風化之奉源也吾
鄕處處興學歌誦之聲洋洋乎
四境唯我南向北學云遠宜
先奬學也然而奬學之方先
審貨殖故庚寅陽月一面中
同志人七十餘員各以一兩錢
修契則纔過一月我侯南宮
以興學錢二十一兩分給面
學契此豈非百年不杇之跡乎
每年三九月二十日契會錢捧
擇定有司分給則庶可爲日後
興學之資耳旣當而敎正謂此
矣然凡事圖始非難愼終爲難
契財永殖之方完議立規于
左惟願後之君子永久遵行
毋替契規幸甚
一每員名錢壹兩式收合取殖事
一聚會日字三九月二十日爲定事
一聚會時保錢七分式收合事
一契員中若有言行不順不遵契規
者無本錢拔去是齊
一無故錢不納人不參則別般論罰事
一未盡條件推後磨鍊是齊
庚寅十月日河鍾璂
姜喜周
座目
河鍾璂甲午九月日卒

河禹根【自退辛卯九月日

朴文範
崔哲嶋
高天明
金浩範
河文九癸巳九月日故

河晳琰
李仁達
河鎭日癸巳九月日故

河守源戊戌九月日故

河文順
朴致範
朴成琯
河明珏
金智敦
金哲岳
崔日旻壬寅六月日故

李完植
高敏斗丁酉三月日故

河明燦
金祥五
崔弼旻
崔永俊
崔鳳根
姜喜周
任桂玉
朴致江
朴致武
韓昌箕己亥七月日故

朴基旭
韓永周
韓昌祚
韓大誼
尹文碩
尹昌雲
金桂弘
朴基贇丙午十二月日故

朴在鎭辛卯十月日故

朴淳鎭
朴彩鎭
河成源
姜奎漢
朴弼鎭
朴基琮
金武玉戊戌十月日故

朴基玉
朴翼鎭
金永道
禹吉祿壬寅十月日故

禹麗洪
金瑞公壬寅十二月日故

朴成祿
朴采寬乙亥三月日故

韓大春丁酉十一月日故

金弼羽
金弼河庚子九月日故

金仁善【改名仁謙

金永浩
金致彦【自退

曺羲烈
柳泰炫
柳成蘭
金敬雲
金基璜
金元實
趙學曾
金敬祚
孔致殷
孔基洙【改名致洙

河應祿
任永憲
任啓憲己亥九月日身死

河在鯉
尹尙五
柳致敏
金孝權【自退

金敬柱
鄭在珣
宋桂道
金允實辛卯九月日追入

朴尙模
朴光祚甲子九月故
辛卯九月日追入

金啓淵
河得琰【自退

朴玟坤庚辰九月日追入

鄭興善丙申九月日追入

金昌信
柳在炫丁酉三月日追入

金元祚
李成玉
柳明壽
姜在敏
柳學植
河甲祚戊戌三月日追入

卓敬龍
河相潤戊卯九月日追入

金基福
鄭世旭
金富鳳
李悛碩己亥三月日追入

金恩彦
柳根七
曺斗祚
朴致道
金英萬己亥九月日追入

朴致貫庚子三月日追入

尹基賢庚子九月日追入

姜基元
朴喜容辛卯九月日追入

朴錦浩
朴燦弼
白駿基壬寅三月日追入

朴玟洙
尹昌祚
白釘基
金南仲
李相律
金祥玉
宋仁洙癸卯三月日追入


稧首河鍾璂
公員朴淳鎭
有司姜喜周
金基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