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상권(上卷)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WZ.1617.4725-20110630.Y1141309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작성시기 1617
형태사항 크기: 76.5 X 47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260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203-1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203-1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상권(上卷)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은 조선시대 경상도(慶尙道)상주목(尙州牧)의 향안(鄕案)이다. 향안은 조선시대 지방자치기구인 유향소(留鄕所)의 구성원 명부로 향안에 이름이 기재되었다는 것은 해당 고을의 지역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양반 가문임을 보장 받는 것이었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배타적인 향안 작성을 통하여 지역 내 양반 중심의 신분질서를 확고히 하려 했다. 본 향안은 상산향언록의 상권으로 16세기 중반 이전부터 1727년까지 향안에 입록된 1,972명의 성명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향안의 입록 추이는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자료의 분석을 통해 16세기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상주 지역 여론을 주도했던 양반들의 면면을 살펴 볼 수가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조선시대 慶尙道尙州牧의 鄕案 上卷으로, 16세기부터 1727년까지 총 1,972명의 입록자 명단을 수록
商山鄕彦錄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지방 통치는 國王에서 監司, 守令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관치행정 계통과 京在所에서 留鄕所 또는 鄕廳, 面里任으로 이어지는 자치행정계통으로 살펴 볼 수 있다. 이 중 一鄕의 지방자치기구인 유향소 또는 향청의 구성원을 鄕員이라 하며 그 명단을 鄕案이라 했는데, 사족들은 향안에 입록됨으로써 향권 운영에 참여할 수 있었다. 향안의 본격적인 작성은 16세기 중엽 이후로, 사림세력은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가 서서히 확립되자, 유향소 운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함으로써 향권을 주도해 나갔고 신흥 세력의 참여를 배제한 배타적 향안 작성을 통해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 이러한 향안의 작성 추이는 지역적, 시기적 차이는 있는데 입록자들의 성격 분석을 통해 해당 고을의 향권 주도세력을 파악 할 수 있다.
慶尙道尙州牧에서의 향안 작성은 16세기 중엽 이전부터 실시되었으며,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다. 그런데 향안 작성은 사회,정치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지명 지역의 경우 17세기 중엽 이후 사족의 鄕任 기피현상에 따른 향안의 권위 약화, 중앙 정권의 閥閱화에 따른 재지사족의 중앙 진출 기회의 축소로 향안 입록자와 입록 양상의 성격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8세기에 접어들면서는 黨色에 따른 사족 간 분열 양상이 뚜렷해지면서 복수의 향안이 작성되기도 하였다. 현재 지명 지역에는 尙州鄕校興巖書院 등지에 성격을 달리하는 여러 향안이 전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본 향안은 ‘商山鄕彦錄’이란 제목으로 엮여져 上,下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주 상주향교에서 보관하고 있던 것이다.
여기서 살펴 볼 상산향언록 상권은 상주목 출신 인사들의 序文 등과 16세기부터 1727년까지 입록자 명단을 수록한 것이다. 座目 앞에는 차례로 周世鵬(1495~1554), 李埈(1560~1635), 鄭經世(1563~1633)의 序文과 跋文이 수록되어 있는데, 1617년 향안을 새롭게 중수하면서 함께 엮여진 것이다.
먼저 주세붕의 서문은 「尙州鄕射堂題名序」란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이 글은 주세붕1551년에 작성한 것으로, 그의 유고인 『武陵雜稿』에도 수록된 것이다. 이 서문에는 1551년 경재소와 유향소의 좌목이 작성되는 과정이 나타나, 당시 경재소와 상주목 유향소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다. 서문에서는 먼저 新羅昔于老沙伐國을 복속시킨 이래 지금까지 많은 民物이 생산되었음을 자부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고을의 규모에 비해 배출된 인재는 적어 고려왕조 때는 11인 정도만 드러났으며, 本朝에는 오직 婦女 崔氏만을 들을 수 있다고 한탄하였는데, 이는 당대 업적을 기록하는 인사들의 誣함이라 하였다. 이에 辛亥年(1551) 주세붕, 金貴榮(1520~1593), 丁應斗(1508~1572), 鄭惟吉(1511~1588)을 비롯하여 禹鏛(1507~1560), 金泓, 黃怡, 姜士安, 朴裕慶 등이 昭格署洞에 모여 鄕會를 열었는데, 鄭士龍(1491~1570)은 공무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때의 모임은 경재소 향회로 이중 주세붕김귀영상주가 본관지였다. 상주의 土姓으로는 周氏와 金氏 이외에도 朴氏와 黃氏가 전해지고 있다. 당시 경재소 향회에서는 상주목의 座目, 즉 향안 작성이 논의되었다. 그리고 며칠 후 김귀영이 주세붕에게 좌목의 서문을 부탁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氏族과 士大夫를 중히 여겨 在京者는 경재소, 在鄕者는 유향소라 하였으니, 이것이 鄕黨에 좌목을 설치한 까닭이라고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경재소와 유향소에 모두 좌목이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유향소 좌목 즉, 향안의 경우 늦어도 1551년 이전에 마련되어 있었음이 나타난다. 『商山誌』에 따르면 金眉壽가 향안을 작성했다는 기록이 확인되는데, 김미수의 생몰연대는 알 수 없으나, 그가 1483년에 生員試에 합격했음을 감안할 때 최초 향안 작성시기가 16세기 중반 이전이었음을 추측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문 말미에서는 鄕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後生들에게 효제공경의 권면을 당부하였다.
주세붕의 서문 바로 다음에는 이준의 발문이 부기되어 있다. 이 글은 1617이준정경세와 더불어 향안을 새롭게 중수하면서 만들어졌다. 내용은 주세붕의 서문에 대한 일종의 반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서 주세붕상주가 고을 규모에 비해 드러난 인재가 적다고 하였다. 秉筆者의 誣로 인해 본조에서는 오로지 부녀 최씨만이 드러나고 있음을 한탄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이준주세붕이 언급한 내용이 어디에서 근거한 것이며, 부녀 최씨 또한 어느 문적에서 드러난 인물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상주 출신의 인물이 적다는 주세붕의 언급이 확실한 근거가 없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정경세의 서문도 이준의 발문과 같은 해인 1617년 향안이 새롭게 작성될 때 만들어졌다. 정경세상주 출신의 문신으로, 서문 작성 당시 江陵大都護府使를 역임하고 있었다. 한편, 이 서문은 그의 문집인 『愚伏先生文集』에 「尙州鄕案錄序」라는 제목으로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서문에서는 1617년 상주향안이 중수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이전 상주향안이 작성되던 추이를 간략하게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서문에서는 고을마다 향안을 작성하는 이유가 世族의 구별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세족을 구별함으로써 고을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 풍속을 바로잡을 수 있으니, 吏民의 통제는 바로 巨室이 아니면 불가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주안동과 더불어 영남의 여러 고을 중 가장 성대하여, 향안에 입록 할 인사를 고르기가 힘들다고 하였다. 정경세도 어릴 적 鄕堂에 父兄을 따라갔다가 壁函에 있던 향안을 열람하였는데, 국초 이래 名公과 巨卿의 이름이 錯落되어 있던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상주에서의 향안 작성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舊來의 향안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1595년 고을의 父老 金鍊, 金體信, 康益敬, 朴汝珩 등의 여러 인사가 기억을 쫒아 이를 기록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향안이 『尙州鄕案舊籍』이다. 그러나 『상주향안구적』은 徵驗의 어려움으로 누락된 인사가 많아 열에 둘 셋만 기록할 수 있었고, 연도와 월의 선후가 명확하지 않았다고 했다. 더구나 전란 중에 작성된 것이어서 종이가 얇아 쉽게 파손되고, 글자는 가늘게 쓰여 쉽게 흐트러지니 오래 전할 수 없음에, 鄕席의 우두머리인 李㙉의 주도로 두꺼운 종이로 바꾸고 비단으로 단장하였다고 한다. 이어 이전의 요청으로 정경세가 이름을 베껴 썼는데 팔 힘이 부쳐 康應哲, 丁彦璜, 李大圭가 계속하였으며, 1595년 이후부터는 연도와 월을 상세히 살피고 序次를 신중히 해서 규례에 의거해 기록하였다고 했다. 아울러 주세붕의 서문을 이준에게 부탁해 크게 써 앞에 수록했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1617년 향안 중수의 과정을 밝히고 말미에는 향안에 입록된 인사들 모두, 몸과 마음을 닦아 가정과 나라의 기둥이 되기를 바라며 서문을 마치고 있다.
상권의 좌목은 모두 16회에 걸쳐 작성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서문에서 밝혔듯이 1595년에 새롭게 작성한 ‘상주향안구록’이다. 이때부터 추록되어 1727년까지 모두 16회에 걸쳐 입록된 향원들을 수록하고 있는 것이다. 좌목에는 입록자의 성명이 직역 및 관직과 함께 기재하고 있다. 소수이지만 削籍 된 인물도 확인되며, 세주로 삭적 사유를 부기해 놓았다.
‘상주향안구록’은 정경세가 밝혔듯이 김련 등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향안을 기억을 더듬어 처음 제작한 것으로, 정경세 등이 다시 베껴 쓴 것이다. ‘상주향안구록’에는 모두 308명이 입록되어 있다. 이때 기록은 기억을 더듬어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전체 입록자 중 일부만 기재되었으며, 입록 순서도 명확하지 않아 기재 순서조차 일정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입록자의 직역 및 관직은 해당 인물 입록 당시의 것이 아니라, 1595년 새롭게 작성할 때 해당 인물의 최종 관직과 직역명을 기재한 것이어서, 이 자료를 통해 17세기 이전 향안 입록의 추이를 명확하게 살펴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1483년에 생원시에 합격한 김미수가 가장 앞에 기재되어 있으며, 1551년 향안 작성 때 참여했던 주세붕, 정응두 등이 앞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6세기 중반 이전에 상주에서 향안이 작성되었음을 추정 할 수 있다. 이시기 향안 입록자는 상주 출신뿐만 아니라, 상주가 본관지이거나 지방관 부임 및 혼인 등으로 상주와 인연을 맺은 인물도 포함되어 있음이 나타난다. 이는 유향소가 조선전기 경재소의 영향을 받는 지방자치행정기구라는 특징을 여실히 드러내는 점이다. 또한 이시기 입록자의 직역 및 관직을 살펴보았을 때, 후기 그 어느 때보다 고위 관직 역임자가 많이 나타난다. 308명 중 幼學은 113명으로 불과 38% 밖에 되지 않는다. 유학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17세기 이후와는 인적 구성상 상당한 차이가 있다. 領議政을 역임했던 盧守愼을 비롯해 左議政, 右議政, 左贊成, 右贊成, 判書, 判尹 등의 고위 관직, 각종 문무관직, 西班 遞兒職, 文散階, 生進, 忠順衛와 忠義衛 등의 병종이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방 사림의 중앙 진출이 활발했던 16세기 사회적 성격이 확인된다. 한편, 입록자의 성씨는 모두 39종이다. 『尙山誌』에서는 상주를 대표하는 성씨로 29종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향안에 상주목사를 비롯해 상주 비거주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후대의 향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향안 입록 비율이 높은 성씨로는 金씨 75명, 黃씨 23명, 鄭씨 22명, 李씨 21명 순이며, 朴,申,趙,洪씨 등도 두 자리 이상의 입록자를 두고 있다. 이러한 추이는 전반적으로 후기까지 지속된다.
두 번째 좌목은 ‘萬曆二十三年乙未冬錄’으로 1595년 겨울의 입록자 8명을 기재한 것이다. 1595년 소실된 향안이 새롭게 만들어졌으며, 그해 겨울 만들어진 좌목으로 향안 복구 후 첫 번째 입록이다. 세 번째 좌목은 ‘萬曆二十四年丙申春錄’으로 1596년 봄의 입록자 54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弘文館 校理였던 정경세도 이때 입록되었다. 네 번째 좌목은 ‘萬曆二十七年己亥冬錄’으로 1599년 봄의 입록자 23명을 수록하였다. 1595년 향안 복구 이후 세 차례에 걸친 16세기 후반의 추록에서는 모두 85명이 입록되었는데, 입록 시기와 규모는 일률적이지 않았다. 85명의 입록자 중 유학은 59명으로 약 6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상주향안구록’에 비해 유학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음이 나타난다. 관직 역임자도 縣監直長, 參奉 역임자 각 2명, 判書, 參判, 同知, 應敎, 僉正, 郡守, 獻納, 校理, 都事, 著作, 奉事 각 1명씩 나타난다. 생원과 진사도 1명씩만 확인되며 병종 기입자는 단 2명에 불과하다. 성씨별로는 金씨 20명, 李씨 9명, 趙씨 6명, 姜,盧,申,洪,黃씨 각 4명, 康,宋,全,鄭,河씨 각 3명, 成,尹,蔡씨 각 2명, 高,柳,閔,朴,卞,徐,辛,王,韓씨 각 1명으로 나타난다. ‘상주향안구록’과 마찬가지로 김씨의 비중이 가장 높은데 반해, 상대적으로 황씨의 입록 비율은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다섯 번째 좌목은 ‘萬曆三十三年乙巳秋錄’으로 1605년 가을의 입록자 37명을 기재하였다. 37명 입록자 이외에 弘文校理 역임자로 削籍된 1명이 나타난다. 세주로 사유가 부기되어 있지 않지만, 종이로 덧붙여 가려진 이름이 비추어져 姜弘立(1560~1627)으로 확인된다. 강홍립요동 정벌 때 참전하여, 後金에 투항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이유로 후대에 삭적된 듯하다. 여섯 번째 좌목은 ‘萬曆四十五年丁巳春錄’으로 1617년 봄의 입록자 60명을 기재하였다. 일곱 번째 좌목은 ‘萬曆四十五年丁巳冬錄’으로 1617년 겨울의 입록자 10명을 기재하고 있다. 1617년의 좌목은 정경세이준의 주도로 1595년 복구된 향안을 새롭게 베껴 쓰고 단장하던 그 해에 만들어진 것이다. 여덟 번째 좌목은 ‘崇禎三年庚午春錄’이며 1630년 봄에 56명을 입록한 것이다. 아홉 번째 좌목은 ‘崇禎八年乙亥仲冬錄’으로 1635년 11월의 입록자 67명을 기재하였다. 열 번째 좌목은 ‘丁亥仲秋錄’으로 1647년 8월의 것이며 87명을 기재하였다. 17세기 전반기 총 6회에 걸쳐 추록이 이루어지는 동안 모두 317명이 향안에 입록된 것으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비해 입록 시기의 간격이 넓으며, 입록 규모도 점차 확대되는 경향이다. 입록자 직역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유학은 244명으로 전체 77%를 차지한다. 고위 관직을 역임한 인물이 대폭 줄어들며, 그나마 관직을 역임한 인물도 상주목사 역임자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 중에는 兵使鄭起龍처럼 일전에 상주목사를 역임했던 인물이 입록되기도 하였다. 관직 역임자의 감소는 인조반정 이후 심화된 중앙 정권의 閥閱化로, 지방 재지사족의 관로가 차단된 까닭이다. 더구나 이시기 상주 지역 재지사족의 상당수가 정치적으로 소수였던 南人의 당색을 띄고 있었기 때문에 관직 역임자의 향안 입록이 드물 수밖에 없었다. 성씨별로는 金씨 73명, 李씨 36명, 趙,黃씨 각 28명, 盧,成,鄭씨 각 11명, 姜,洪씨 10명, 宋,全씨 각 9명, 康씨 8명, 申,崔씨 7명, 高,徐,蔡,韓씨 각 6명, 柳씨 5명, 朴,丁,河씨 4명, 卞,尹,曺씨 각 3명, 丘,辛씨 각 2명, 文,孫,沈,王,禹씨 1명 순이다. 16세기 후반과 마찬가지로 金,李,黃,曺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17세기 후반의 첫 번째 좌목은 열한 번째 ‘辛卯仲夏錄’은 1651년 여름의 것으로 22명이 입록되어 있다. 열두 번째 ‘戊戌孟春錄’은 1658년 봄의 좌목으로 5명이 입록되었다. 이 시기 입록자 5명 중 睦行善金宗一상주목사를 역임한 경력으로 입록된 인물로, 1658년의 좌목은 상주의 재지사족을 대상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열세 번째 좌목은 ‘丁未閏四月日錄’으로 1667년 모두 207명을 입록한 것이다. 좌목의 가장 앞에는 都事李象鼎尙州牧使를 역임한 李松齡이 입록되어 있다. 1667년의 좌목 이후로는 상주와 연고가 있는 중앙관료, 특히 상주목사를 가장 앞부분에 부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열네 번째는 ‘壬申八月日錄’ 좌목으로 365명이나 입록되어 있다. 후기로 갈수록 전후 입록 기간의 격차가 넓어지며, 입록 규모가 확대됨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17세기 중반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난 향안 권위의 약화와 무관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17세기의 향안 입록에서는 三鄕이라하여 부계, 모계, 처계에 신분적 하자가 없어야 되는 엄격한 기본 입록 규정이 준수되고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전반 이후 사회적 변동에 따른 재지사족 중심의 신분질서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三鄕의 규정이 완화되어 갔다. 특히 1654년에는 營將事目이 실시됨으로써 재지사족들이 鄕任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아울러 향안의 권위도 약화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으로 말미암아 17세기 중반 이후 대규모의 향안 입록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17세기 후반 향안 입록자는 599명으로, 이 중 유학은 536명으로 전체 입록자의 89%를 차지한다. 생원과 진사, 충의위의 병종을 가진 인물을 제외하고는 관직 역임자 중 상주 출신 재지사족의 비중은 더욱 줄어든다. 성씨별로는 金씨 143명, 李씨 68명, 趙씨 56명, 黃씨 41명, 成씨 30명, 高씨 23명, 宋씨 22명, 洪씨 21명, 鄭씨 20명, 康,柳씨 각 18명, 姜씨 15명, 盧,申,蔡씨 13명, 曺씨 11명, 全,崔씨 10명, 王씨 9명, 權씨 5명, 徐,孫,韓씨 각 4명, 郭씨 3명, 睦,卞,尹,丁씨 각 2명, 南,閔,朴,呂,兪,河씨 각 1명 순이다.
열다섯 번째 좌목은 ‘癸卯十二月日錄’이며, 열여섯 번째 좌목은 ‘丁未十二月日錄’으로 각각 1723년과 1727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1723년의 좌목에서는 342명, 1727년의 좌목에서는 322명이 입록되었다. 18세기 전반부터는 입록의 대규모화가 확연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입록자 중 주목할 인물은 1723년 좌목에서 削籍된 曺景洙曺景泗, 1727년 좌목에서 削籍된 趙榮祿이다. 이상 3명의 이름은 삭적되어 있지만 하단부에 본명과 삭적 사유를 기입해 놓았다. 삭적 사유는 1728년 戊申亂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杖斃되었으며, 입록 기록은 후대에 의해 삭적된 것이다. 상산향언록 상권은 1727년 좌목을 마지막으로 끝이 나는데, 이후의 좌목인 하권(1749~20세기 초)과 비교해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은 입록자의 당색이다. 18세기 이후 중앙 정권을 장악한 노론 벌열정권에 의한 영남지역 남인의 분열 정책, 戊申亂 이후 남인의 정치,사회적 활동의 위축이 맞물리게 되면서 상주 지역 재지사족들 간에도 당색에 따른 분열이 촉진되었다. 당색 간의 갈등은 향안 작성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1727년 좌목 이후부터는 그러한 현상이 더욱 확연하게 나타난다. 상권의 18세기 전반기 좌목의 입록자는 총 664명으로, 이 중 유학은 607명이다. 유학의 비중이 91%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기 시작했으며, 지방관을 제외한 관직 역임자는 매우 드문 것이 특징이다. 성씨별로는 金씨 124명, 李씨 84명, 趙씨 72명, 黃씨 44명, 洪씨 41명, 申씨 38명, 高씨 32명, 姜씨 27명, 康씨 21명, 鄭,蔡씨 각 19명, 盧씨 18명, 河씨 16명, 宋씨 14명, 成씨 13명, 權,曺씨 각 11명, 全씨 10명, 孫씨 9명, 郭씨 7명, 柳,兪씨 각 5명, 呂,王,韓씨 각 4명, 南,卞씨 각 3명, 琴,吳씨 각 2명, 徐,丁씨 각 1명 순이다.
이상 상권에 입록된 1,972명의 성씨를 살펴보면 金씨 435명, 李씨 218명, 趙씨 177명, 黃씨 140명, 洪씨 91명, 姜씨 75명, 鄭씨 75명, 申씨 73명, 高씨 62명, 康씨 56명, 成씨 57명, 盧씨 54명, 宋씨 52명, 蔡씨 41명, 柳씨 35명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좌목에는 본관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입록자의 성관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지만 주요 인물과 『尙山誌』 등 상주 지역 지리지 자료를 살펴보았을 때 金씨는 尙州,安東,光州,順天,淸道, 李씨는 延安,全州,碧珍,全義,鐵城,羽溪,眞城,新平, 趙씨는 豐壤,白川,漢陽, 黃씨는 長水, 洪씨는 缶溪,南陽, 姜씨는 晉州, 鄭씨는 東萊,延日,奉化, 申씨는 平山,寧海, 高씨는 開城, 康씨는 信川, 成씨는 昌寧, 盧씨는 光州, 宋씨는 礪山, 蔡씨는 仁川, 柳씨는 豊山으로 나타나, 16세기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상주 지역 향안 작성을 주도했던 가문을 추측 할 수가 있다.
[자료적 가치]
상주 지역 향안 작성의 추이와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향안은 유향소 참여 사족들의 좌목으로 해당 시기 상주 지역을 대표하던 인사들로 구성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향안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지방관을 입록시키기도 하였으며, 17세기 이전에는 상주 지역에 연고를 가지고 경재소에 참여했던 중앙관료도 확인된다. 특히 17세기 이전 상주향안에는 상주 출신의 중앙 관료를 대거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16세기 지역 사림세력의 활발한 중앙 진출과 맥을 같이한다. 신분질서의 변동에 따른 향안의 권위 약화, 집권층의 벌열화에 따른 중앙 관로 진출의 어려움 등으로 향압 입록자 대부분의 직역이 幼學인 17세기 이후의 향안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武陵雜稿』, 周世鵬,
『愚伏先生文集』, 鄭經世,
『商山誌』,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大邱史學』26, 申正熙, 大邱史學會, 198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民族文化論叢』8, 鄭震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7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林雲燮,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상권(上卷)
商山鄕彦錄
尙州鄕射堂題名序
吾州也肇國自沙伐在新羅昔于老
所滅其國變爲䧱州州名凡八變而後今
名浸恭檢襟東洛屬之以五縣幅員之廣
民物之夥甲於一國而甞恠其以人物著
稱者在高麗十一人在
本朝唯婦女崔氏一人之外無聞焉
豈以吾州之大而其忠賢孝烈止於此
而已耶不然其當時執筆者之誣歟辛亥
秋大設鄕會于昭格署洞贊成事上
洛君金相公錦原君丁公應斗左承
旨鄭公惟吉皆來會世鵬亦與焉其次
禹舍人鏛金司藝泓黃庶尹怡姜員
外士安朴員外裕慶以下若于人觴酌
竟日極歡而罷是日也禮曹判書湖陰
鄭公獨以公務不與後數日上洛公以吾鄕
座目屬世鵬爲序世鵬不敢辭而爲之說
曰惟我
國重氏族士大夫其在京者謂之京在所
其在鄕者謂之留鄕所此鄕座目之所以設
也人禀五行之秀氣莫不有四端幼而耻
爲互鄕童長而耻爲鄕原賊見桑梓則
敬過故鄕則下車同是心也故君子必以
孝弟爲本由一鄕而準四海由四海而準
古今皆自鄕黨推也禮曰老老以其近於父也
敬長以其近於兄也其於近者猶然尙何父兄
之可勝耶苟能推吾之所固有者各念其
所生而先修其身則其有忝氏族者乎方
今吾州之登于
朝者若上洛公湖陰之勲德文章錦原內翰
之事業雅望皆可以炳燿古今採史筆
者將大書特節雖欲誣之不可得也禹舍
人以下諸君又皆一代之英而其在野經學茂
德之士蔚然輩出則亦豈可誣而無傅歟敬
序之以賀吾鄕人物之盛而一爲前修解焉
一爲後生勉焉
嘉靖辛亥秋日嘉善大夫吏曹參判周世鵬
按此序文慨鄕風之不競轉薄爲厚之意愊塞
于中志可敬而仰也然恨夫其言曰以人物著稱在
本朝唯婦女崔氏一人云而歸咎於秉筆者之誣竊謂東方文獻
無復紀善惡垂勸戒除石室秘藏國史外無他傳記可考而唯
輿地勝覽所載僅什一於千百而已然即此而觀文章
節行表著於其中者亦班班可見而所謂崔氏則本不載焉
未知公何所據而乃云耶以一時之謬見而歸一邑於無人即所
未喩且吾於是而又有所嘆惜焉者甞聞公少以經術自
許晩因交游不謹名節無終後生宜識初未詳其所謂今就此序
文而夷考之亦足以槩於其迹矣以此見人之立言未易而史人無議於制
行爲尤難誠不可不信也鄕人前弘文館校理李埈
鄕有案何辨世族也辨之何用將使之綱紀一
鄕而正民俗也然則取其賢足矣必求之世族
何爲鄕人所尊畏能彈壓吏民非巨室則不可
也嶺之南爲邑六十餘比比有案獨福州
最盛而與其選最難曷爲盛且難世
族多故也余少從父兄後得到鄕堂出辟凾
所藏所謂鄕案者而敬閱之則有如入海觀
龍不勝其富而
國初以來名公鉅卿姓名錯落相望於其中
夫其仕于朝者旣能以左右
聖明爲政於內外不仕而淪跡於鄕閭者亦足以綱
紀于一鄕而正其俗國欲無治得乎此嶺南所
以爲國家根本而國家之取材恒於此也
吁其盛哉壬辰之亂案爲兵所燹歲乙未
鄕父老金公鍊金公體信金公覺康公益
朴公汝珩諸人相與慨然追記而錄之十存二三而
所傅聞之世尤多闕焉且其歲月先後無
得而徵逐一袠挨寫而題之曰尙州鄕案舊
籍後生晩出觀於是而亦可以見吾之多
賢也獨其喪亂之餘事生出草紙薄而
易破字細而易漫將無以遠其傅今年夏
友人李君㙉以首席見而歎之即謀諸同事易
以厚紙粧以文段要余以淨寫余爲先代姓名
載焉不敢辭以拙腕弱不能卒業則以康上舍
應哲丁上舍彥璜李秀才大圭繼之自
以後則又詳其歲月謹其次序一依平
時規例又得周愼齋序文於其集中屬
其弟侍讀君埈大書而弁其首其用意亦
勤矣是籍之傳自今伊始將與
國家億萬年無疆之業同其悠久顧不
韙歟抑其德修於身而達于家邦爲楨
于國有滎于父母之鄕不但爲一鄕之善士而
止此又書于籍者之所共勉也
萬曆四十五年丁巳日南至鄕人嘉
善大夫前行江陵大都護府使
鄭經世謹序
尙州鄕案舊錄
生員金眉壽
幼學趙恂
幼學趙恢
進士朴彥誠
典籍金顒
忠順衛趙協
幼學趙愉
僉知黃瑾
牧使金貞榦
判尹黃孟獻
參判周世鵬
參軍黃允獻
府使黃世獻
郡守黃汝獻
忠順衛黃仁獻
府使趙允寧
參判黃孝獻
舍人姜溫
虞候鄭忠俊
虞候黃信獻
生員鄭忠楫
忠順衛金光佐
左賛成金光準
判官李兆年
參奉郭崇元
參奉鄭璘
參奉趙恞
知事金舜臯
領議政盧鴻
僉知盧公佐
左賛成丁應斗
幼學趙承瑚
忠順衛辛貴貞
忠義衛金舜凱
別坐朴龜瑞
內禁衛申公獻
別坐李秀苓
生員郭崇智
左承旨鄭銀鈞
參奉廉正達
通政朴彥臣
參奉申公權
幼學朴榮
直長朴孟卿
幼學郭張
幼學康休
通政宋璫
通政辛弼貞
幼學卞淸源
訓導卞粹源
右議政姜士尙
忠順衛朴忠寬
進士卞百源
幼學卞潤源
通政黃士雄
生員金宗輔
忠順衛金憲祖
忠順衛金揚祖
忠順衛金昌祖
忠順衛金亨祖
幼學金重弘
別坐金崇祖
忠順衛李崇福
幼學金希祖
參奉金大鵬
幼學金洽
察訪洪胤崔
部將韓衡
生員河麟瑞
忠順衛鄭忠男
領議政盧守愼
判書鄭士龍
司藝金泓
佐郞朴裕慶
忠順衛許寧
幼學金允儉
忠賛衛全允範
忠順衛文彥粹
忠順衛文彥純
幼學洪義範
通政洪寬海
幼學洪大海
忠順衛李膺禧
忠順衛李膺祉
幼學金克諧
幼學李慶祐
幼學李慶祺
部將尹世精
通政黃世範
通政陸士權
部將申俶
左議政金貴榮
右議政鄭惟吉
參議洪春卿
直長趙禧
進士許弘慶
忠順衛丘允成
忠順衛金允淑
幼學康諝
司成金冲
部將李琛
進士金彥健
盧麒
監司禹鏛
縣監金範
部將郭明
內禁衛郭昕
主簿盧龜
生員盧黿
幼學金壽壬
忠順衛宋玲
幼學金允浩
幼學金錫精
幼學金錫裕
參奉金錫福
進士南鞠臣
習讀朴忠昌
生員鄭大成
生員郭昭
進士柳震
佐郞趙允成
幼學郭暾
生員金兼
生員南瀛
幼學金汴
幼學金元凱
習讀呉允昌
別座金士文
忠順衛金士傑
參奉韓潤卿
忠順衛王順武
參奉金涵
參奉金游
部將李秬
僉正金瑾
參判申雲
習讀申霖
生員洪浩
幼學李宲
幼學金珩
忠義衛尹珪
忠順衛柳邦輔
忠順衛金活
忠順衛許宇
忠順衛鄭守綸
幼學趙允澄
生員金應泗
忠順衛洪希福
幼學廉琨
幼學尹翰
忠順衛洪琬
生員文益明
察訪金彪
忠順衛李千齡
忠義衛朴理
忠順衛趙祺
習讀鄭麟祥
幼學河萬壑
幼學南洲
幼學金錞
司果呂大臨
幼學朴宗華
幼學鄭宗英
幼學鄭宗韶
幼學鄭宗雅
判書朴永俊
幼學黃愉
縣監黃憓
判官黃憕
幼學黃恂
牧使黃怡
幼學黃恪
進士韓世瑊
判決事康仁壽
忠順衛朴忠輔
進士柳霽
習讀表汝淳
幼學丘孝成
幼學金世琪
忠義衛金邦佑
忠賛衛金偉
縣監洪涉
通政徐訢
習讀金健
察訪韓琛
幼學金俔
參奉金沆
幼學尹喜
幼學辛鍊
縣監李垓
監司金宇宏
幼學丘士元
幼學丘士亨
幼學姜士翼
正郞姜士安
監司姜士弼
萬戶金琛
參奉河萬溪
習讀朴孝昌
幼學卞濂
監察金大鍾
幼學卞規
忠義衛金大鏞
幼學金輗
幼學郭英
幼學梁洞
生員柳秀
參奉黃伯倫
縣監成允諧
幼學金浣
幼學鄭守經
直長洪琛
幼學朴餘慶
幼學陳復禮
幼學李仲昌
幼學卞洪
幼學許潤
幼學黃斗
幼學金時
幼學金允富
幼學洪胤祚
幼學鄭元沉
幼學趙壽福
師傅河洛
幼學柳霮
幼學申僖
部將鄭興善
別坐金琮
忠順衛盧守仁
幼學金鵬齡
幼學金公錫
僉正盧克愼
幼學申浩
幼學申泳
幼學申混
參奉鄭國成
幼學金紳
進士姜霔
幼學李潔
幼學河萬潮
幼學河萬澤
幼學李成仁
幼學金晟
右議政鄭芝衍
參判黃贇
忠義衛李存中
幼學金諿
幼學黃贄
幼學崔縝
典籤丁胤祚
監司丁胤禧
監司丁允祐
參判丁胤福
幼學李居恕
左賛成鄭汝寬
幼學陸祥
幼學康景禧
忠順衛黃磧
幼學全常
幼學金鍊
承旨權文海
主簿宋亮
縣監金覺
察訪鄭而弘
郡守徐誼
忠順衛王鉉
幼學洪應龍
幼學韓有榮
幼學趙光憲
縣監姜䨞
幼學金體信
幼學鄭而慶
幼學許應甲
幼學黃夢龍
幼學金邦善
幼學金景舜
進士洪約昌
幼學李元白
幼學金訥
幼學辛景福
幼學金雲
幼學柳霔
幼學鄭世鳴
幼學卞瀾
幼學卞潾
進士洪秀民
幼學洪約澄
部將黃確
幼學李仲興
知事李民聖
參奉金景信
參奉李孝騫
典翰金弘敏
幼學金宗善
忠義衛朴汝珩
佐郞趙徽
生員廉敏中
承旨姜緖
右參賛姜紳
忠順衛李趌
幼學朴祚
幼學宋豪
幼學康益敬
幼學康應賢
幼學申景房
忠順衛朴致和
縣監金得可
學諭趙翊
萬曆二十三年乙未冬錄
幼學申景智
幼學申景翼
幼學趙靖
幼學河渡
幼學成浹【改灠

幼學黃廷榦
幼學趙光綬
生員鄭而龍
萬曆二十四年丙申春錄
判書李德馨
同知李薲
參判成泳
幼學金大海
幼學辛得福
縣監尹稹
幼學金綏吉
郡守盧大河
幼學閔鵬瑞
幼學朴祉
獻納姜綎
幼學黃俊元
幼學卞懷珍
幼學申景斗
幼學尹鳳壽
幼學申景信
幼學康應善
忠義衛李希聖
縣監盧大海
應教金弘微
直長李趯
幼學洪鸞壽
幼學洪鵬壽
幼學柳還春
幼學李基禎
僉正金知節
幼學南振輝
幼學金遠振
參奉宋光國
都事李埈
弘文著作金光燁
幼學姜績
進士康應哲
幼學金光斗
弘文校理鄭經世
幼學金喜得
幼學高仁繼
幼學金安節
幼學趙竤
奉事金憲
幼學趙光璧
參奉金達可
幼學宋以脩
幼學姜汝舵
幼學河澂
幼學金知復
幼學王遵道
幼學河沃
幼學盧道亨
幼學康伏龍
幼學洪友顏
直長宋以琦
幼學蔡允吉
幼學金繼美
萬曆二十七年己亥冬錄
幼學黃夢昌
幼學全汝霖
判官金光輻
幼學姜汝舫
幼學韓璞
司僕盧廷善
幼學李崇善
幼學金之衍
幼學洪天壽
幼學黃顯元
訓正李希春
幼學金有聞
幼學李㙉
幼學金永吉
察訪全湜
幼學徐希福
幼學金知德
幼學全復禮
幼學鄭鳴世
幼學趙竣
副率金瓛
幼學趙基遠
忠義察得江
萬曆三十三年乙巳秋錄
晋昌君姜絪
幼學崔斯立
察訪金麟善
幼學禹夢龍
幼學金鶠齡
幼學辛應鳳
幼學金諝
郡守姜紞
幼學金天民
進士韓璡
幼學崔夢吉
縣監金廷龍
幼學韓瑺
主簿姜絙
弘文校理■■■(姜弘立)
幼學卞絢
幼學朴而淳
幼學金光潤
幼學全浹【改浤

幼學黃倫
幼學金繼
幼學黃偉
幼學全濬【改泳

幼學黃脩
幼學金寗
幼學趙光岳
忠義李暻
幼學李晥
忠義李昞
幼學洪友閔
幼學金克誼
幼學洪復見
幼學趙榮遠
幼學宋以時
幼學金縝
忠義蔡得湖
幼學成汝松
幼學金基
萬曆四十五年丁巳春錄
兵使鄭起龍
幼學金應德
進士金珽
幼學卞紀
幼學丘山立
幼學韓㻑
幼學黃玄慶
幼學宋應周
幼學金瑮
幼學金遠聲
幼學金廷獻
幼學金侃
幼學徐尙德
幼學尹應淓
幼學趙光瑩
生員金廷堅
注書黃紐
幼學趙裕遠
幼學朴永鎭
生員曹希仁
幼學鄭光世
幼學金濤
幼學金百鎰
幼學趙光瑬
幼學柳潪
生員金克諴
幼學申沆
幼學成汝栢
幼學李大圭
幼學李用吉
幼學金遵
幼學黃紳
幼學成汝櫄
幼學辛洛
幼學尹應淐
幼學盧道立
幼學蔡得濂
宣傳官趙亨遠
幼學金迪
幼學金絳
幼學康應協
幼學韓克中
幼學趙光壹
幼學高用楫
幼學金墍
幼學趙承遠
幼學黃德厚
幼學康澤龍
幼學金銑
進士康用侯
幼學黃煃
進士全克恒
進士徐希祚
幼學金遼
幼學李一圭
幼學金珌
幼學黃煋
幼學盧學詩
幼學洪尙質
幼學申碩茂
萬曆四十五年丁巳冬錄
郡守丁好寬
牧使丁好善
判官丁好恕
進士丁好悌
弼善姜弘重
縣令姜弘績
郡守李如圭
監察姜弘定
縣監李如璧
都事李如璜
崇禎三年庚午春錄
直長黃道元
幼學李瑞生
幼學姜茂先
郡守柳袗
判官申尙哲
通政金俅
生員金秋任
幼學盧道一
幼學金好哲
幼學黃級
幼學金珩
幼學金昌後
幼學全克恬
幼學趙興遠
別提盧峻命
進士李元圭
參奉鄭憲世
幼學徐景穉
幼學河晋榘
幼學黃德柔
參奉李德圭
幼學曹挺融
幼學金遘
幼學金邦柱
別提黃德中
生員鄭榮世
幼學金堡
幼學河晋瀛
幼學李文圭
幼學李身圭
幼學金裕後
幼學洪尙寯
幼學金國柱
幼學宋德榮
學諭李樟
幼學姜弘棣
幼學黃德弘
幼學全匡弼
幼學洪尙文
幼學宋德溥
幼學宋德隆
幼學宋德潤
幼學申嵩耉
參奉曹挺⊙
幼學金好益
幼學李允發
幼學洪九江
幼學成震長
幼學王珞
幼學盧翼命
幼學成震興
幼學趙{立+義}
幼學趙{立+章}
忠義衛蔡克稽
幼學高用雨
幼學趙竬
崇禎八年乙亥仲冬錄
同知黃緝
副正朴文誠
進士趙又新
幼學崔任
幼學金俊吉
幼學韓克培
司果鄭纘祖
進士金以元
參奉鄭煟
幼學徐荿
生員丘敏學
幼學朴{忄+閑}
幼學金迥
正字韓克述
幼學崔忠望
幼學高爾行
幼學李尙馦
生員黃緬
幼學金天柱
幼學金仁後
幼學成震恒
幼學金胤後
幼學徐景積
幼學金以利
幼學全匡翼
正字康喬年
幼學孫愼儀
幼學姜弘胤
幼學趙{立+勺}
幼學金振後
幼學鄭榥
幼學宋德輿
幼學柳再新
幼學李光圭
幼學趙秋
幼學金成耉
正字李陽復
幼學尹侾招
忠義衛蔡克明
幼學康用良
幼學盧景命
幼學趙明遠
幼學宋德立
幼學趙竨
忠義衛李允馨
幼學金繼哲
幼學金尙鉉
進士成震丙
幼學金礇
幼學成震井
幼學金以貞
幼學康用正
幼學金以健
進士金三樂
幼學黃德耉
幼學李允培
幼學金克後
幼學黃德固
幼學康大年
直長趙稛
幼學申復榮
幼學黃德方
幼學黃德承
幼學金塍
幼學邊有亮
幼學黃德章
幼學黃德載
丁亥仲秋錄
應教沈大孚
師傅李襑
校理李袗
正言李{衤+完}
府使李襘
幼學李裺
正郞李光洽
幼學文郁
幼學李惇善
幼學趙光啓
幼學趙稜
幼學申衡耉
幼學崔忠亮
幼學成震光
幼學趙竴
幼學金安後
幼學宋德成
幼學盧顯命
幼學盧思永
幼學康用直
幼學金汝翼
幼學金三益
幼學高晋厚
幼學成震良
幼學趙{立+圭}
進士金以載
幼學金興後
幼學李在愽
幼學盧淑命
忠義衛蔡克長
幼學金聲直
幼學全匡輔
生員黃䨵
忠義衛趙偀
忠義衛柳千之
幼學鄭椯
幼學李在約
幼學金尙銓
幼學黃霖
幼學金聲廓
幼學柳再起
忠義衛趙佾
幼學高晋允
幼學全嶨
幼學金演【改㵑

幼學金震鑰
幼學黃霦
幼學盧順命
幼學姜昕
幼學李在容
幼學金尙鐸
幼學徐守謙
幼學黃德亨
幼學鄭堯封
幼學鄭道應
幼學洪汝河
幼學洪以涵
幼學崔基重
幼學金好默
幼學李在寬
幼學金震鐩
幼學成震昌
幼學趙{立+宣}
幼學河孝一
幼學金瀗
幼學金十朋
幼學李在寧【改定

幼學李在淸
幼學金尙鍵
幼學黃霶
幼學鄭堯佐
判官全命龍
幼學申恒耉
幼學洪以潑
幼學洪以河
忠義衛蔡文禎
幼學李望允
幼學趙䅘
幼學黃{雨/兼}
幼學李在中
幼學金震鏞
幼學河孝源
幼學趙東翰【翰改斌

幼學趙東說
幼學盧允命
幼學金三達
幼學高世標
辛卯仲夏錄
縣監金榮後
幼學南瀷
幼學黃德一
幼學趙東望
幼學金以命
幼學金震鏡
幼學李在完
幼學柳再元
幼學盧思訓【訓改兼

幼學全{(學-子)/丘}【{后/山}

幼學黃德養【改載厚

幼學王廷益
幼學金濎
幼學成虎祥
幼學李在公【改崇

幼學金世維
幼學金世胄
幼學姜晬
幼學姜{路/玉}
幼學申厚錫
幼學趙東奎【改卨

幼學康瀛
戊戌孟春錄
判官丁時傑
牧使睦行善
都事丁昌燾
幼學睦昌期
牧使金宗一
丁未閏四月日錄
都事李象鼎
牧使李松齡
進士韓克正
幼學朴汝楨
幼學曹時望
幼學柳再華
生員權坵
幼學鄭烠
幼學全翊耉
忠義衛李震明
忠義衛李命圭
幼學金相元
幼學黃格
幼學全裕耉
忠義衛金斗章
忠義衛蔡翊夏
幼學金鏽
幼學宋顗
幼學李在發
幼學趙䇕
幼學金渻
幼學金亨後
幼學姜旼
幼學李柟
忠義衛柳百之
幼學金聲弼
幼學金百朋
參奉金鍵
幼學金鼎重
幼學黃載胤
幼學宋碩
幼學高晋學
幼學金淰
幼學洪以源
生員宋熲
生員李在憲
幼學黃儒
幼學金挺後
幼學黃霆
生員李允諧
忠義衛蔡徵夏
幼學金好諒
幼學金震鉞【鉞改鈺

幼學洪陽震
幼學王廷尹
幼學王廷卨
幼學李在雅
幼學尹暒
進士成虎在
幼學金之望
幼學成虎變
幼學趙啓胤
幼學鄭孝延
幼學權以偁
幼學高世憲
幼學趙元胤
幼學趙東益
幼學金世俊
幼學金震釴
幼學金震鏵
幼學金涖
幼學曹時大
進士盧思敏
幼學盧思齊
幼學成虎英
幼學康瀜
幼學康濟
幼學成虎文
幼學金洵
幼學金湸
幼學金允望
幼學康淳
幼學鄭道純
幼學趙振胤
幼學趙章胤
幼學宋頊
幼學宋顒
幼學趙聲漢
幼學申命鶴
幼學李在隆
幼學李在雄
幼學金汝鐄
幼學李恒至
幼學趙大胤
持平申厚載
正字申厚命
幼學崔基博
幼學崔德基
幼學崔基直
幼學金世振
幼學金世徽
幼學金震銓
幼學金好彥
幼學金㶅
幼學高晋德
幼學河濂
幼學高世廉
幼學黃載大
幼學姜珞
幼學洪陽雨
幼學成虎日
幼學成虎風
幼學曹時虎
幼學曹時翰
幼學趙東夔
武科趙東英
幼學金震鏛
幼學宋領
幼學王廷望
幼學姜璸
幼學孫萬英
幼學趙東郊
幼學成虎彩
生員成虎拜
幼學金{氵+(艹/束)}
幼學金堪
幼學金溟
幼學金汝鏡
幼學金梓
幼學金漢相
幼學柳健
幼學趙東尹
幼學呂元徵
幼學柳僖
幼學金漢楨
幼學趙泰胤
幼學盧思顏
幼學金以望
幼學黃{雨/彦}【改{雨/沃}

生員鄭之鍵
幼學徐命徽
幼學洪后震【晋

幼學盧思騫
幼學鄭堯叟
幼學金碩徵
幼學鄭堯命
幼學李遠至
幼學金萬輝
幼學孫萬雄
幼學姜珪
幼學成虎亨
幼學成虎哲
幼學康潓
幼學金漢楹
幼學趙元漢
幼學趙雲漢
幼學金富淵【改世泰

幼學柳命河
幼學鄭道求
幼學鄭道由
幼學李在夏
幼學金厚淵【改宇泰

幼學高漢宇>【字改羽

幼學金垸
幼學黃后瓊
幼學黃后翰
幼學高漢翼【翼改翊

幼學高雲翮
忠義衛李碩達
幼學趙德胤
幼學金震鋏
幼學權以任
幼學金兌輝
幼學李萬至
幼學徐命徵
幼學全世長
幼學盧思冉
幼學金有淵【改時泰

幼學崔瑄
幼學金宗洙【宗改是

幼學鄭錫僑
幼學鄭錫玄
幼學洪相文
生員成虎錫
幼學成虎肅
幼學李昌至
幼學李長至
幼學李裕改【大成

幼學申啓寅【改弼成

幼學盧思聖
幼學盧思賢
幼學金枓
幼學黃袤
幼學黃霂
幼學宋蘋【改灦

幼學黃裒
幼學黃褎
幼學宋頫【改殷徵

幼學宋須【改禮徵

幼學宋頖【改熲

幼學金碩望
幼學黃{雨/溥}
幼學黃載萬
幼學金震鑊
幼學李慶至
幼學黃后奭
幼學金震鑑
幼學成世璜
幼學成世璋
幼學李泰至
幼學蔡聖龜【星

幼學金汝精【改錫兌

幼學黃鐘亮
幼學黃鐘遠
幼學金碩休
幼學柳佺
壬申八月日錄
行判中樞李觀徵
判官李文徵
留守李鳳徵
判決事李周徵
監司李獜徵
參判李沃
大司諫李湜
察訪李浡
別坐李淑
進士李浹
進士李泌
生員李萬秀
幼學李萬敷
監司閔昌道
牧使金龜萬
別坐姜璘
牧使姜琛
進士姜琂
進士姜碩厚
幼學姜碩俊
幼學姜碩蕃
幼學姜碩泰
進士姜碩齊
幼學姜碩勛
幼學姜碩行
縣監李允恊
幼學李允濟
監司李允脩
進士李復仁
幼學高漢䎘
幼學李宅仁
幼學康必楷
幼學康守楷
幼學康碩楷
幼學康汝楷
幼學康胤楷
幼學康泰楷
幼學趙世安
幼學金壽一
幼學金壽萬
幼學金壽億
幼學金垍
幼學金塤
幼學金是海
幼學金是溟
幼學金塡
幼學趙世郁
幼學宋之馪
幼學宋之馝
幼學鄭錫晋
幼學李善至
幼學李碩至
幼學李亨至
幼學李榮至
幼學全五益
幼學李增輝
幼學鄭錫命
幼學李時至
幼學宋之益
幼學趙東旭
幼學姜碩晋
幼學柳經河
幼學柳緯河
幼學柳章河
幼學柳錫河
幼學柳昌河
幼學柳應河
幼學金胄一
幼學金胄世
幼學金胄三
幼學趙淵
幼學趙泳
判官金載輝
幼學成遠徵
幼學成休徵
幼學金晢
幼學趙世規
幼學趙世矩
幼學趙世培
幼學盧夏胄
幼學金相后
幼學金應輝
幼學洪后泰
幼學趙世均
幼學洪后益
幼學高漢瞻
出身高漢柱
幼學洪壽元
幼學高漢衡
幼學洪后天
幼學蔡先甲
幼學蔡後甲
幼學權深
幼學蔡一甲
出身蔡斗龜
幼學高漢䎙
幼學高漢翮
幼學高漢翧
幼學全始夏
幼學黃鎭巚
幼學黃鍾恊
幼學黃鍾粹
幼學趙世亨
幼學黃鎭岳
幼學黃鍾羽
幼學高漢翔
幼學成益徵
幼學黃鍾振
幼學黃鍾應
幼學黃鍾一
幼學黃鍾始
幼學黃鍾復
幼學金汝鎬
幼學金汝錡
幼學金啓輝
幼學金景澤
幼學曹夏範
出身趙胤漢
幼學趙{欽/心}
幼學趙應胤
幼學鄭之鐸
幼學金元輝
幼學金達輝
幼學金胤輝
幼學趙命胤
幼學金碩夏
幼學趙彥琦
幼學趙彥軾
幼學金碩眀
幼學黃后賢
幼學黃允河
幼學柳偁
幼學金瓚
幼學金瓘
幼學金瑜
幼學金必千
幼學金必大
幼學盧思義
幼學盧思誨
幼學盧瑞徵
幼學盧瑞羽
幼學金是鉉
幼學金命鉉
幼學金震鉉
幼學徐羲錫
幼學成虎彬
幼學金璟
幼學金珙
幼學金㯳
幼學金是河
幼學王三錫
幼學王三命
幼學王三晋晋改老
幼學王三省
幼學金世綸
幼學康世楷
幼學康有楷
進士孫景郁
幼學金夏爕
幼學趙重胤
幼學全守長
幼學全宇長
幼學成虎兌
幼學成喜微
幼學成起徵
幼學洪處溟
幼學姜漢柱
幼學李允成
幼學李震成
幼學李日成
幼學高雲翼
幼學高雲驥
幼學高漢望
幼學李再潤
幼學金是瀛
幼學趙彥光
幼學趙彥綱
幼學趙瀣
幼學高雲甲
生員金楷
幼學康啓
幼學康晋
幼學康習
幼學申弼亨
參奉申弼貞
幼學申弼卿
幼學申弼英
幼學申弼文
幼學姜玽
幼學姜{王+集}
幼學姜碩慶
幼學高師錫
幼學高師聖
幼學權游
幼學蔡三甲
幼學宋先徵
幼學宋治文
幼學金是滋
幼學蔡禎夏
幼學金是泗
幼學金是汶
幼學金是沂
幼學柳儀
幼學柳侃
幼學柳伉
幼學柳佖
幼學柳時彬
幼學黃后幹
幼學黃后堅
幼學李寅秀
幼學李寅賓
幼學崔夏鐘
幼學崔夏鎭
幼學高漢說
幼學崔崙
幼學崔嵩
幼學李天成
幼學蔡允中
幼學成舜徵
幼學康震楷
幼學韓{忄+欽}
幼學成文徵
幼學宋之馥
幼學宋聖甲
幼學宋孝甲
幼學李增郁
幼學李增馝
幼學李鼎至
幼學李增馨
幼學黃靈
幼學金是洛
幼學金是浻
幼學孫景錫
幼學金是濟
幼學金玉輝
幼學金南輝
幼學金永輝
幼學金禹鼎【改以謙

幼學金是沃
幼學成瑞徵
幼學黃鎭宇
幼學黃鎭華
幼學黃鎭中
幼學金漢栻
幼學金必求
幼學趙來漢
幼學金必鳴
幼學宋之秀
幼學宋之淵
幼學趙世瑗
幼學洪處河
幼學洪處漢
幼學李櫅
幼學成久徵
幼學成慶徵
幼學成萬徵
幼學成大徵
幼學成泰徵
幼學李性至
幼學金元兌
幼學金標
幼學金栢
幼學金杰
幼學金相
幼學金有鉉
幼學金善最
幼學李世彥
幼學康普
幼學李橚
幼學黃鍾度
幼學鄭錫夏
幼學黃沇
幼學金亨兌
幼學趙世恒
幼學趙世基
幼學趙世休
幼學姜碩亮
幼學姜碩宗
幼學尹暻
幼學金聖采
幼學金命采
幼學金是漢
幼學金是源
幼學鄭之鋼
幼學趙懃
幼學黃后徵
幼學宋之奎【改光星

幼學曹夏徵
幼學曹夏叙
幼學曹夏承
幼學曹夏維
幼學金是濬
幼學鄭羲瑞
幼學鄭文瑞
幼學趙楨漢
幼學趙懿
幼學趙應
幼學趙世籍
幼學曹夏圭
幼學韓樂三
幼學趙彥衡
幼學趙彥鎭
幼學趙彥范
幼學金台輝
幼學金是㴻
幼學宋之升
幼學宋之鼎
幼學王三達
幼學申億㱓
幼學申百㱓
幼學金胄玄
幼學鄭之僑
幼學李聖俞
幼學金澤
幼學邊格
幼學趙涵
幼學韓惺
幼學崔澂
幼學趙世容
都事趙東陽
幼學金萬善
幼學趙東呂
幼學高雲馹
幼學趙自敬
幼學全運
幼學全近
幼學蔡九甲
幼學徐胤錫
出身金億齡
幼學金炡
進士李葆英
幼學金相基
幼學金處基
幼學曹夏英
幼學鄭之釴
幼學李昌門
幼學李胄興
出身李東白
幼學洪賀
幼學洪贄
幼學洪道大
進士洪道達
幼學洪道寬
幼學洪道九
幼學郭萬翼
幼學郭萬里
幼學郭萬膺
幼學金弼鉉
幼學金永紀
幼學邊檝
幼學洪壽亨
幼學蔡徽甲
幼學洪后升
幼學黃鎭南
幼學金堬
幼學李增彬
幼學鄭道休
幼學趙懲
幼學金時輝
幼學金碩基
幼學金埛
幼學蔡允箕
幼學康大楷
幼學申必允
幼學姜碩師
癸卯十二月日錄
牧使宋寅明
判決事李衡祥
校理洪重鉉
翊衛洪相民
佐郞李增祿
掌令黃翼再
承文院正字黃浚
縣監成起寅
佐郞權相一
幼學趙自愼
幼學趙自修
進士金在鎰
幼學全濈
幼學金在範
幼學高師述
幼學金應麟
幼學姜稅
進士姜梲
幼學康敏楷
幼學康宇楷
幼學康萬勲
幼學康萬煦
幼學康萬烈
幼學康萬元
幼學康萬禎
幼學康萬達
幼學康萬迪
幼學康萬遂
幼學康萬運
幼學康萬遇
幼學康萬照
幼學姜碩範
幼學姜碩遇
幼學姜碩弼
幼學姜碩興
幼學姜碩厦
幼學成爾浩
幼學成爾溟
幼學成爾湜
進士成德徵
幼學成允徵
進士成淑
幼學成爾混
幼學成信徵
幼學成厦柱
幼學洪道泳
幼學金景淵
幼學金景洵
幼學金景濬
幼學金國采
幼學金世采
幼學金邦采
幼學金昌洙
幼學柳後謙
幼學柳後寅
幼學柳後玭
幼學趙世舟
幼學鄭泰基
幼學王夢弼
幼學王夢良
幼學申啓宗【啓改繼

幼學趙彥轍
幼學趙彥肅
幼學趙彥愽
幼學趙彥脩
幼學趙耘經
幼學趙畬經
幼學趙文經
幼學趙守經
幼學趙尙經
幼學趙叙經
幼學趙時經
幼學趙欽經
幼學趙游經
幼學趙志經
幼學金弘鼎
幼學金弘器
幼學金弘國
幼學李宏至
生員李麟至
幼學李鳳至
幼學李龜至
進士李增曄
幼學李增春
幼學李增沃
幼學李增運
幼學李增垓
幼學李增馣
幼學李增馥
幼學李增潤
幼學李增休
幼學李禎遠
幼學宋光馥
幼學宋邦俊
幼學宋邦泰
幼學金琛
幼學金珽
幼學金瑾
進士申濬
幼學金相萬
幼學金格
進士黃澫
幼學金南紀
幼學金重紀
幼學金泰紀
幼學金寅紀
幼學金鳳紀
幼學金雲紀
幼學郭師憲
幼學郭師賢
幼學郭師宗
幼學郭師儀
幼學孫雲燁
幼學孫景祚
幼學孫雲傑
幼學孫雲爀
幼學孫雲億
幼學趙允紀
幼學成夢寅
幼學黃鐘瑞
幼學黃瀗
幼學黃灝
幼學黃漪
幼學黃沆
幼學黃泌
幼學黃鐘準
幼學金道標
幼學金德標
幼學黃{氵+奭}
正字黃沉
幼學黃混
幼學黃濂
幼學黃沁
幼學金受采
幼學趙命耉
幼學趙命老
幼學盧夏經
幼學盧夏絃
幼學盧夏紀
幼學盧夏鎭
幼學盧夏祚
幼學盧夏錫
幼學盧夏行
幼學盧聖龜
幼學盧錫龜
幼學盧必壽
幼學盧相龜
幼學盧得壽
幼學金處琮
幼學呂載賓
幼學呂用賓
幼學洪道準
幼學洪聖緖
幼學洪聖衍
幼學洪聖績
幼學趙瑾
幼學金象千
幼學趙偲
幼學曹景汶
幼學曹景㵓
幼學曹景晦
進士申弼仁
幼學申思近
幼學申思運
生員申思默
幼學申思肅
幼學申思愽
幼學申思學
幼學申思允
進士申思問
幼學申思訓
幼學申思敬
幼學申思教
幼學申思迪
幼學申思述
幼學申彥休
幼學高命傅
幼學高雲驌
幼學高雲五
幼學高雲瑞
幼學高雲九
幼學高師健
幼學高師說
幼學高師訓
幼學高師文
幼學高師昌
幼學高師舜
幼學高師賢
幼學李寅恊
幼學李寅垕
幼學李寅夏
幼學姜文佐
幼學洪相勛
幼學洪大龜
幼學洪命龜
幼學洪守龜
幼學金萬祉
進士李師蕃
幼學權澣
幼學蔡允亨
幼學蔡允恊
幼學蔡允欽
幼學蔡允諶
幼學蔡允範
幼學蔡允或
幼學洪壽海
幼學成爾鴻
幼學鄭胄源
幼學鄭達源
幼學呉濟運
進士丁道大
幼學趙璍
幼學金在三
幼學趙寅經
幼學金在重
幼學韓翼舜
幼學高師近
幼學趙允光
幼學金弘胄
幼學李時郁
生員李時雨
幼學洪后復
幼學金世標
幼學金昌欽
幼學金之鎰
幼學洪道成
幼學趙世仁
幼學金萬甲
幼學金始達
幼學金始成
幼學趙世璉
幼學申啓文
幼學金聖興
幼學全五謙
幼學全近聖
幼學李增穆
進士李增幹
幼學李行遠
幼學李墩
幼學李堢
幼學李坦
幼學李繼遠
幼學宋邦翰
幼學鄭錫祚
幼學金相玉
幼學柳時楨
幼學黃一河
幼學黃龍河
幼學黃澯
幼學黃斗玄
幼學金相華
幼學金相麟
幼學金道一
幼學黃洅
幼學康命初
幼學金彬
幼學金春紀
幼學金東紀
幼學金弘紀
幼學金相白
幼學金獜紀
幼學金是浹
幼學金相昊
幼學李應東
幼學金守義
幼學金守範
幼學康胤初
幼學趙允泰
幼學趙允秀
幼學宋治彬
幼學宋治熈
幼學宋治皥
幼學黃鐘建
幼學黃浹
幼學黃道重
幼學呂興周
幼學呂光周
幼學成燦寅
幼學趙允明
幼學金應文
幼學盧夏謙
幼學盧台龜
幼學金處琦
幼學趙命箕
幼學趙命星
幼學趙命漢
幼學河大升
幼學河大一
幼學金必鋧
幼學河應聖
幼學河應圖
幼學金極標
幼學金汝興
幼學金晩興
幼學洪聖潤
幼學洪聖澤
縣監柳祥翼
幼學姜文遇
幼學金象秋
幼學金夏標
幼學蔡夢徵
幼學金南標
幼學河應龍
幼學李廷沃
幼學曹夏琮
■■■【曹景洙戊申杖斃

■■■【曹景泗戊申杖斃

幼學韓德淵
幼學鄭泰興
幼學曹景海
幼學曹景沆
幼學李寅建
幼學李齊顏
幼學高命承
幼學高師德
幼學高師哲
幼學高師弼
幼學洪範龜
幼學洪胄寬
府使申弼賢
幼學申弼諧
佐郞申弼誨
幼學申思信
幼學申彥脩
幼學洪聖叙
幼學洪聖遇
幼學蔡允恭
幼學鄭之鍾
幼學金道錫
幼學金瑞錫
幼學金是濂
幼學金相勛
幼學金相秋
幼學李萬泰
幼學李萬復
幼學邊大遂
幼學邊自原
幼學趙思經
幼學金元國
幼學金弘振
幼學金弘濟
幼學金弘義
丁未十二月日錄
牧使趙榮祿
通德郞姜{木+厚}
參奉姜楷
縣監姜必愼
校理姜必慶
縣監姜檏
進士姜栒
進士姜碩年
通德郞姜㰒
通德郞姜榟
郡守趙世垕
幼學洪璄
幼學呉尙遠
生員李如沆
■■■【金弘壽戊申杖斃

幼學黃溆
幼學金瑞烱
幼學金瑞燝
幼學金昌鈗
幼學全始孝
幼學金世鍵
幼學金世鐄
進士趙天經
幼學趙元經
幼學趙復經
幼學洪世錫
幼學趙允重
幼學李元著
幼學金夢興
幼學趙允復
幼學姜槿
幼學李和聖
佐郞李知聖
幼學李齊聖
幼學李希聖
幼學康萬杰
幼學康萬宗
幼學康萬恊
幼學金之鉀
幼學洪道煥
幼學趙允祉
幼學趙允祚
幼學趙允禔
幼學洪道運
幼學洪聖疇
幼學洪聖彥
幼學洪聖憲
幼學金時采
幼學金益采
幼學金斗采
幼學金克采
幼學金元采
幼學柳浚惔
幼學柳浚纘
幼學金昌泗
幼學金昌淵
幼學金昌漸
幼學金昌濂
幼學金道鳳
幼學姜必孝
幼學姜必悌
幼學李仁培
幼學河大進
幼學河大經
縣監河大淵
幼學申繼先
幼學申師曾
幼學柳浚夔
幼學柳浚演
幼學趙世珉
幼學河自山
幼學河大潑
生員河瑞龍
幼學趙彥載
幼學趙彥浩
幼學趙彥奎
幼學金亨國
幼學金利國
幼學金貞國
幼學趙賛經
幼學趙麟經
幼學李天禎
幼學王夢說
幼學趙大經
幼學趙致經
幼學趙勗經
幼學趙觀經
幼學趙{糹+雋}
幼學趙縡
幼學王夢賚
幼學趙國經
幼學趙學經
幼學趙述經
幼學鄭泰昌
幼學金應斗
幼學金應墷
幼學李弘仁
幼學李天柱
幼學李天相
幼學鄭百源
幼學宋邦衡
幼學宋瑋
幼學宋{王+寔}
正字金㙫
幼學金益欽
幼學全任濟
幼學李增茂
幼學李增芳
幼學李增暐
幼學李增雨
幼學李增質
幼學李增華
幼學李胄遠
幼學李徽遠
幼學李紀遠
幼學李必遠
幼學李嗣遠
幼學李尙遠
幼學李梴
幼學李增述
幼學李溟
幼學姜㭠
幼學金學曾
幼學金學閔
幼學金學顏
幼學金學達
幼學金學聖
幼學黃㶅
幼學黃命河
幼學黃斗春
幼學孫雲發
幼學孫雲述
幼學孫雲采
幼學全近學
縣監全近思
幼學韓大壽
幼學郭師尙
幼學徐緯漢
幼學金相采
幼學金相老
幼學金兌曄
幼學金世曄
幼學金守鼎
幼學金有鍵
幼學鄭重鼎
幼學宋道章
幼學趙允禎
幼學趙命遠
幼學黃湛
幼學黃澈
幼學黃處重
幼學黃世重
幼學黃涑
幼學黃渻
幼學黃守重
幼學黃垕重
幼學琴命來
幼學趙命建
幼學黃翼達
幼學黃翼述
幼學黃{氵+(竹/束)}
幼學黃湙
幼學黃洌
幼學黃范
幼學黃灠
幼學洪聖緯
幼學洪聖紀
幼學鄭棟龍
幼學洪聖運
幼學姜鎭泰
幼學南鼎重
幼學金象德
幼學金璘
幼學河大浩
幼學鄭之璨
幼學鄭泰吉
幼學曹景沉
幼學曹景明
幼學金瑎
幼學韓德隣
幼學鄭緯相
幼學趙如瓚
幼學李廷臣
幼學趙允達
幼學洪聖源
幼學洪用龜
生員李世瑗
生員洪瑞龜
生員洪益龜戊申罪甲子伸雪

幼學高命徵
幼學高命翊
幼學高命楫
幼學高命相
幼學高日暹
幼學高師範
幼學高師顏
幼學高箕瑞
幼學高斗瑞
幼學申維岳
幼學申秀岳
幼學申慶岳
幼學申始岳
幼學申永岳
幼學申承岳
幼學申思晋
進士申思國
幼學李梴
幼學申玉鉉
幼學申以悌
幼學鄭泰登
幼學全奭濟
幼學李寅泰
幼學李凞運
幼學李凞元
進士洪相朝
幼學洪漢朝
幼學洪聖文
幼學洪聖箕
幼學洪聖集
幼學蔡允元
幼學蔡㵓
幼學蔡允文
幼學蔡浻
幼學蔡浩
幼學蔡浣
幼學蔡㶅
幼學蔡泌
幼學蔡淳
幼學金命天
幼學金命全
幼學權相五
幼學權相九
幼學權相元
幼學權相說
幼學李國春
幼學李復春
幼學李郁春
幼學李錫奎
幼學李之彬
幼學趙相維
幼學全始泰
幼學全始誠
幼學趙漢經
幼學姜楺
幼學姜必載
幼學高翼瑞
幼學鄭之鐩
幼學金凞運
幼學柳聖參
幼學河大恒
幼學琴一恊
幼學趙淑經
幼學趙晋經
幼學趙紭
幼學趙絢
幼學邊{陖/土}
幼學趙九經
幼學金應鼎
幼學李顯遠
幼學李世遠
幼學金光澤
幼學李淵遠
幼學李華遠
幼學李致遠
幼學宋邦輅
幼學宋瑚
幼學李龍至
正字姜抗
幼學黃得重
幼學康性初
幼學郭瑞九
幼學郭重九
進士曹景稷
幼學鄭思源
幼學金克諧
幼學金克亨
幼學金克敏
幼學鄭德模
幼學孫國顯
幼學金良鉉
幼學康泰身
幼學盧弼元
幼學盧體元
幼學盧舜元
幼學盧擧元
幼學河大臨
幼學河大益
幼學河大緯
幼學南圖{晉+羽}
幼學南圖{亨+羽}
幼學鄭可相
幼學高命樑
幼學高命雨
幼學高一瑞
幼學申徵岳
幼學申鳴岳
幼學申自岳
幼學高日觀
幼學姜鎭元
幼學李寅綱
幼學李爀
幼學李熺
幼學蔡允保
幼學蔡㵛
幼學金裕錫
幼學洪聖圖
幼學洪聖洛
幼學權相夔
幼學權相龍
幼學權相千
幼學權相呂
通德郞權煜
幼學李翊春
幼學李植春
幼學康錫組
幼學黃宗榦
幼學鄭東燁
幼學金德一
幼學金琦
幼學趙命佐
幼學李知遠
幼學金守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