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하권(下卷)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3+KSM-WZ.0000.4725-20110630.Y1141310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형태사항 크기: 76.5 X 47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166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203-1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203-1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하권(下卷)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은 조선시대 경상도(慶尙道)상주목(尙州牧)의 향안(鄕案)이다. 향안은 조선시대 지방자치기구인 유향소(留鄕所) 구성원의 명부이다. 향안에 이름이 기재된 인물들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던 양반 가문 출신 인사로, 지역 여론을 주도하던 자들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향안 참여를 통해 지역 내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으려 했으며, 신흥 세력의 참여를 배제한 배타적 향안 작성을 통하여 지역 내 양반 중심의 신분질서를 확고히 하려 했다. 본 향안은 여러 상주향안 중에서도 상산향언록의 하권으로 1749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입록된 1,305명의 성명을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하권 입록자 절대 다수는 18세기에 활동했던 인물들로, 사실상 19세기부터는 제대로 된 규모의 입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당색(黨色)에 따라 상주 지역 양반들이 남인(南人)과 노론(老論)으로 갈려져 합의에 의한 향안 작성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광우

상세정보

조선시대 慶尙道尙州牧의 鄕案 下卷으로, 1749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총 1,305명의 입록자 명단을 수록
商山鄕彦錄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留鄕所 또는 鄕廳의 구성원을 鄕員이라하며, 그 명부를 鄕案이라 하였다. 유향소는 國王에서 監司, 守令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관치행정 계통과 대별되는 자치행정 계통으로 해당 고을을 대표하는 유력한 재지사족 주도로 운영되었었다. 특히 재지사족들은 신흥 세력의 참여를 배제한 배타적 향안 작성을 통하여, 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를 확고히 해 나갔다. 이러한 향안 작성의 추이는 고을마다 차이가 있는데, 慶尙道尙州牧과 같이 일찍이 재지사족의 정착히 활발했던 곳은 16세기 중엽 이전에 재지사족 중심의 향안이 작성되었었다. 현재 경상도상주목의 향안은 尙州鄕校 등에 복수의 향안이 보존되어 있는데, 그 중 본 향안은 商山鄕彦錄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상산향언록은 上, 下 두 권이 전해지는데 향원의 입록시기가 각각 다르다. 상권의 경우 16세기부터 1727년까지 16회에 걸쳐 작성된 좌목을 수록하고 있으며, 총 1,972명을 수록하고 있다. 하권은 상권을 이어 1749년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작성된 좌목을 수록하고 있으며, 이어 20세기 초반까지지 입록된 소수의 향원도 수록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입록의 추이는 사회적 변동에 따라 시기별 차이가 현저히 나타난다. 대체로 16세기 중엽 무렵 사족 중심의 향안 작성이 시작되며, 그 전성기는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 전반기라 할 수 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엄격한 입록 규정을 바탕으로 사족 중심의 배타적 향안이 운영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1654년 營將事目 시행 이후 鄕任의 지위가 약화되자, 동시에 유력한 재지사족들의 향임기피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향임 기피 현상은 곧 향안 권위의 약화로 이어졌다. 더구나 17세기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성장한 신흥세력들은 기존 사족들과 마찬가지로 향안 입록 시행을 통해 사회적 지위 상승을 도모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존 사족 간의 갈등이 야기되었으며, 향안 입록자의 질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산향언록 상권의 좌목만 하더라도 17세기 전반까지는 당대 지역을 대표하는 상주목 출신의 저명인사들이 입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의 향안 권위 약화와 신흥세력의 성장, 그리고 인조반정 이후 중앙정권의 閥閱化에 따른 재지사족의 관로 차단으로 향안 입록자 상당수가 幼學으로 확인되는 등 입록자 성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산향언록 하권은 이와 같은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하권의 입록은 크게 5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후 소규모의 입록이 수차례 있었음이 확인된다. 하권 최초의 좌목은 ‘己巳四月日錄’으로 1749년의 것이다. 1749년 입록자는 총 437명으로 상,하권을 통틀어 단일 좌목으로는 가장 많은 입록자를 기록하고 있다. 좌목 가장 앞에는 당시 尙州牧使를 역임하고 있었던 李埉을 기재하였다. 現任 상주목사를 향안에 입록할 경우 좌목 가장 앞에 기재하는 것은 17세기 후반의 좌목(상권 수록)에서부터 나타난다. 입록자의 직역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단연 幼學으로 418명을 차지하는데, 이는 전체 입록자의 96%에 해당된다. 그 외 通德郞 13명, 生員 3명, 進士 1명이며, 관직 역임자로는 郡守 1명과 현임 목사 1명이 전부이다. 입록자 중 관직 역임자 비율은 17세기 이후 급격히 줄어들며, 17세기 후반부터는 유학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사족의 향임기피에 따른 향안의 권위 약화, 신흥세력의 향안 입록 시도, 중앙권력의 벌열화에 따른 지방 사족의 관로 차단 등이 맞물려서 나타난 현상이다. 1749년 입록자의 성씨는 金씨 69명, 李씨 61명, 趙씨 54명, 黃씨 25명, 蔡씨 26명, 高씨 23명, 姜,鄭씨 각 19명, 洪씨 15명, 河씨 14명, 柳씨 12명, 宋,申씨 각 11명, 盧,孫씨 각 9명, 成,曺씨 각 6명, 權,呂,全씨 각 5명, 徐,王,崔씨 각 4명, 康,南,卞,吳,張씨 각 3명, 郭,韓씨 각 2명, 琴,羅씨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己巳四月日錄’은 1728년 戊申亂 이후 처음으로 상산향언록에 기재된 좌목이다. 무신난은 상주 지역 재지사족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던 사건이었다. 향안에 입록되었다가 무신난에 연루되어, 杖斃된 후 향안에서 削籍된 인물이 상산향언록 상권에서 확인된다. 또한 무신난으로 인해 黨色에 따른 상주 지역 재지사족들의 분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원래 상주는 退溪學派의 영향을 받아 嶺南南人 계열이 주류를 이루는 곳이었다. 그러나 혼인 관계로 상주 지역과 인연을 맺은 西人系 山林인 宋浚吉의 영향, 老論系 수령의 영향 등으로 인해 상주 지역에도 서인, 노론계 사족이 늘어났던 것이며, 무신난으로 그 분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재로 상주 상주향교에는 ‘己巳四月日錄’ 작성 2년 전 1747년에 만들어진 『丁卯加錄』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당색에 따른 향론 분열로 만들어진 별도의 향안이다.
하권의 두 번째 좌목은 ‘甲申仲冬己巳錄還書’이다. 1764년에 만들어진 좌목으로 모두 157명을 수록하였다. 이 좌목은 기사년의 좌목을 還書한 것이라고 명기되어 있어, 앞선 1749년의 ‘己巳四月日錄’을 새롭게 작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甲申仲冬己巳錄還書’ 입록자 157명 중 ‘己巳四月日錄’ 입록자 437명과 중복되는 인물은 단 한 명도 없다. 1749년 입록 당시 자격 불충분으로 입록이 보류된 인물이거나, 또는 어떠한 사정으로 별도로 정리한 명단에 수록된 인물이었다가, 1764년 향안 작성을 주도하던 당대 재지사족들의 합의에 따라 還書라는 이름으로 뒤늦게 만들어진 좌목으로 생각된다. 이 좌목의 입록자 직역 역시 유학이 153명으로 전체의 약 98%를 차지한다. 그 외 생원 2명이 확인되며, 관직 역임자는 參奉 2명뿐이다. 성씨는 金씨 32명, 李씨 24명, 趙,黃씨 각 17명, 高,鄭씨 각 8명, 姜씨 6명, 朴,洪씨 각 5명, 孫,申씨 각 4명, 康,柳,蔡씨 각 3명, 郭,成,全,曺,河,韓씨 각 2명, 權,琴,卞,安,呂,丁씨 각 1명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세 번째 좌목은 ‘甲申仲冬錄’으로 154명을 기재해 놓았다. 앞서 ‘甲申仲冬己巳錄還書’를 기재한 후, 뒤 이어 1764년 당대 입록자를 수록해 놓은 것이다. 입록자 중 가장 앞에 수록된 正言高裕를 제외한, 153명의 직역이 유학으로 나타난다. 성씨는 金씨 24명, 趙씨 20명, 李씨 19명, 蔡씨 13명, 洪씨 10명, 姜,黃씨 각 9명, 柳씨 7명, 高,申씨 각 5명, 權,孫,曺씨 각 4명, 盧,鄭씨 각 3명, 康,郭,南,呂,河씨 각 2명, 徐,宋,安,梁,王,韓씨 각 1명 순이다. 한편 상주향교에는 『丁卯加錄』에 이어, 1756년에 작성된 별도의 향안 『丙子三月加錄』이 소장되어 있어, 당색에 따른 향안 분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좌목은 ‘辛卯十月日甲申錄釐正’으로 1764년에 만들어진 ‘甲申仲冬錄’을 釐正하여 새롭게 수록한 것이다. 모두 288명이 기재되어 있는데, 釐正이라 명명되어 있지만 ‘甲申仲冬己巳錄還書’처럼 ‘甲申仲冬錄’ 입록자와 중복된 인물은 없다. ‘甲申仲冬己巳錄還書’와 비슷한 이유로 작성된 좌목으로 생각된다. 입록자 288명 중 가장 앞에 기재된 正字柳橚을 제외하고는 직역이 모두 유학으로 나타난다. 입록자의 성씨는 趙씨 46명, 金씨 30명, 李씨 29명, 洪씨 15명, 盧,鄭씨 각 14명, 蔡씨 13명, 孫,申씨 각 2명, 柳씨 11명, 權,黃씨 각 10명, 姜,高씨 각 8명, 南,宋씨 각 6명, 朴,呂,全,河씨 각 5명, 康,兪씨 각 4명, 徐씨 3명, 羅,丁,曺씨 각 2명, 郭,琴,卞,安,王,張,韓씨 각 1명 순이다.
다섯 번째 좌목은 ‘新錄’인데, 연대가 불분명하다. 다만 입록자 중 生員試 합격자의 입격 연대, 유학으로 입록되어 있지만 좌목 작성 이후의 생원시 합격자 입격 연대를 파악해 보면 대략 1772~1774년 사이에 작성된 좌목임을 알 수 있다. ‘新錄’에는 모두 260명이 입록되어 있다. 입록자 직역은 생원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학이다. 성씨별로는 趙씨 36명, 金씨 34명, 李씨 30명, 蔡씨 18명, 姜,黃씨 각 14명, 柳,申씨 각 12명, 洪씨 9명, 權,鄭씨 각 8명, 高,南,孫,河씨 각 7명, 曺씨 6명, 盧,吳씨 각 4명, 徐,宋,呂,全씨 각 3명, 成,韓씨 각 2명, 康,丘,卞,魚,王,兪,崔씨 각 1명 순이다.
‘新錄’을 끝으로 사실상 상주향안의 작성은 파행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근 100여년 동안 입록은 1808년의 현임 상주목사鄭東敎, 1888년의 현임 상주목사閔種烈, 1899년의 현임 尙州郡守李漢膺까지의 追錄 3회 뿐이기 때문이다. 말미에 유학 6명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들의 입록 시기와 규모는 불분명하며 다만 20세기 전후로 추정될 뿐이다. ‘新錄’을 끝으로 종전과 같은 규모의 향안 입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당색에 따른 향권 분열로 인한, 향안 작성의 파행 때문일 것이다. 다른 영남 지역에서 그랬듯이 남인과 노론 계열 사족들의 분열로 인해, 합의에 의한 향안 작성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실재 상주의 노론계 서원인 興巖書院에는 1874년에 작성된 『興巖書院鄕案續錄』이라는 별도의 향안이 비치되어 있다. 이 향안 입록자는 노론계 가문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신난 이후 향안의 분록을 서문에서 밝히고 있어 당색에 따라 별도의 향안이 작성될 수 밖에 없었던 당시의 시대 분위기를 파악 할 수 있게 해준다.
상산향언록 말미에는 ‘鄕彦錄修正註記’가 부기되어 있다. 李玉求가 쓰고 李鍾麟 포함 6명이 배서한 것으로, 민종렬 이하의 인물은 邑先生案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한다고 수록하고 있다. 이 글이 쓰여 진 것은 丁巳後三白四十一年丁酉라고 명기하고 있는데, 이 해는 1957년이다. 丁巳는 1617년으로 상주 출신이 조선중기 문신인 鄭經世李埈 등에 의해 종래의 향안을 새롭게 중수한 해이다. 상산향언록 상권은 이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상권 앞에는 정경세이준의 서문과 발문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배서된 이종린은 이준의 형으로 역시 1617년 향안 중수에 참여했던 李㙉의 후손이며, 그와 함께 배서된 인물 모두 상산향언록 수록자의 후손들이다. 이들은 선조들이 실시했던 향안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의미에서 향안 보관과 ‘鄕彦錄修正註記’를 작성했던 것이다.
한편, 이상의 좌목에는 본관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입록자의 성관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지만 주요 인물과 『尙山誌』 등 상주 지역 지리지 자료를 살펴보았을 때 金씨는 尙州,安東,光州,順天,靑道, 李씨는 延安,全州,碧珍,全義,鐵城,羽溪,眞成,新平, 趙씨는 豐壤,白川,漢陽, 黃씨는 長水, 洪씨는 缶溪,南陽, 姜씨는 晉州, 鄭씨는 東萊,延日,奉化, 申씨는 平山,寧海, 高씨는 開城, 康씨는 信川, 成씨는 昌寧, 盧씨는 光州, 宋씨는 礪山, 蔡씨는 仁川, 柳씨는 豊山으로 나타나, 18세기 상주 지역 향안 작성을 주도했던 가문을 추측 할 수가 있다.
[자료적 가치]
18세기 향안 작성의 추이와 상주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16세기 중엽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한 재지사족 주도의 향안 작성의 추이는 사회적 변동에 따라 변화되어 갔다. 경상도상주목의 향안인 상산향언록 역시 그러한 추이가 드러난다. 재지사족 중심의 엄격한 입록이 유지되던 상주향안은 17세기 중엽 이후 입록의 대규모화가 나타나고, 입록자 직역 대부분이 유학인 경우로 변모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營將事目 시행에 따른 鄕任 기피현상과 향안의 권위약화, 사회적 변동에 따라 성장한 신흥세력의 향안 입록 도모, 중앙권력의 벌열화에 따른 재지사족의 관로 진출 차단 등이 맞물려서 나타난 현상이며, 상산향언록 하권에서 더욱 확연이 나타난다. 한편, 1728년 戊申亂에는 상주목의 재지사족 일부가 연루되었으며, 당색에 따른 향권의 분열을 촉진시키게 되었다. 상주향안은 18세기 후반에 작성된 상산향언록 하권 수록 ‘新錄’ 좌목 이후로는 더 이상 종전과 같은 규모의 입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당색에 의해 상주 지역 재지사족이 남인과 노론으로 분열되어 있어서 합의에 의한 향안 작성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실재로 18세기 이후부터는 상산향언록 이외 특정 당파의 주도로 별도의 향안이 작성되기도 하였다.
『商山誌』,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大邱史學』26, 申正熙, 大邱史學會, 198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民族文化論叢』8, 鄭震英,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7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林雲燮,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하권(下卷)
商山鄕彦錄
己巳四月日錄
牧使李埉
郡守金聖欽
幼學鄭錫{忄+百}
幼學金极
幼學金振兌
幼學全炁和
幼學全愼濟
幼學康獻身
幼學鄭履源
幼學鄭志源
幼學鄭善模
幼學鄭聖模
幼學李德新
幼學鄭博模
幼學鄭宅模
幼學鄭覺模
幼學金建標
幼學金相耉
幼學金相耆
幼學金益曄
幼學金必曄
幼學金海寬
幼學孫雲纘
幼學孫雲倬
幼學孫光顯
幼學孫世顯
幼學孫道顯
幼學孫宗顯
幼學孫益顯
幼學孫昌顯
幼學孫廷顯
幼學李厚根
幼學郭衛九
幼學郭翰九
幼學韓必壽
幼學徐行萬
幼學韓復善
幼學金守洪
幼學金克貞
幼學金得礪
幼學金克敬
幼學金克諶
幼學金光澈
幼學金克禮
幼學金克濟
幼學金聲運
幼學金致運
幼學徐匡漢
幼學徐佑漢
幼學徐泰萬
幼學宋翼鴻
幼學宋翼龍
幼學宋思仁
幼學曹顯國
幼學曹光國
幼學趙允賢
幼學趙命新
幼學趙命龍
幼學趙命悳
幼學趙命岳
幼學趙克胄
幼學黃頥重
幼學黃泰重
幼學黃瑞曦
幼學黃鼎重
通德郞成灝
通德郞成{氵+敬}
通德郞成潝
通德郞成涉
通德郞成淑
生員成浻
幼學黃遠休
幼學黃啓休
幼學黃履休
幼學黃日休
幼學黃聖休
幼學黃大休
幼學黃國休
幼學黃纘休
幼學黃命休
幼學黃復休
幼學黃世休
幼學黃一曦
幼學金克曄
幼學金瑞曄
幼學盧夏三
幼學盧夏純
幼學盧鼎元
幼學盧漢文
幼學盧斗文
幼學盧絅文
幼學盧鼎文
幼學盧在文
幼學盧厚元
幼學河大{氵+聖}
幼學河龍國
幼學河世潢
幼學金必慶
幼學呂鐺
幼學呂欽
幼學呂鑅
通德郞趙命杰
通德郞趙命熈
通德郞趙命顯
通德郞趙鎭斗
通德郞趙維鎭
幼學趙鎭成
幼學趙鎭一
幼學趙鎭宅
幼學申{雨/滉}
幼學呂維楫
幼學呂鎰
幼學河世奎
幼學河世浻
幼學河世演
幼學柳祥泰
幼學柳祥臨
幼學柳祥井
通善郞柳光源
通善郞柳學源
通善郞柳德源
幼學洪日溥
幼學洪日濟
幼學南圖運
幼學南必毅
幼學金象仁
幼學河世泗
幼學河世淸
幼學河世瀗
幼學河世灝
幼學河世游
幼學河世沂
幼學金光纘
幼學張德賢
幼學張復賢
幼學李師膺
幼學金光運
幼學李師泌
幼學金鋈
幼學洪茂績
幼學蔡震龍
幼學蔡{殻/玉}
幼學蔡允垕
幼學蔡允佐
幼學蔡澈
幼學蔡演
幼學蔡淶
幼學蔡澳
幼學蔡涉
幼學蔡沃
幼學蔡蓍國
幼學蔡蓍吉
幼學蔡濬
幼學蔡㵙
幼學蔡澐
幼學蔡浹
幼學蔡蓍祥
幼學蔡蓍朝
幼學蔡見龍
幼學蔡興龍
幼學蔡正龍
幼學蔡元龍
幼學金宅仁
幼學金好仁
幼學金命亨
幼學金命泰
幼學金命欽
幼學金命禹
幼學洪聖賓
幼學洪載
幼學洪龍九
幼學李寅朝
幼學李馨朝
幼學李重朝
幼學李顯朝
幼學權炫
幼學權熅
幼學權焴
幼學權復仁
幼學趙自寬
幼學趙重經
幼學趙濟經
幼學趙錫嘏
幼學全始樞
幼學全始一
幼學全晟
幼學呉衡運
幼學呉錫觀
幼學呉錫慶
幼學李鼎延
幼學李秉延
幼學李後松
幼學李遇聖
幼學李時聖
幼學李觀聖
幼學李應聖
幼學李廣著
幼學李寅著
幼學李宗著
幼學李宜著
幼學李晩著
幼學李道著
幼學李益儉
幼學李克儉
幼學曹遇稷
幼學高震瑞
幼學高衡瑞
幼學高鼎瑞
幼學金履慶
幼學金學傅
幼學趙瓛
幼學趙㻐
幼學趙璞
幼學趙琠
幼學姜必燁
幼學姜必默
幼學姜必玉
幼學姜必穆
幼學姜必焃
幼學姜必烱
幼學姜必憲
幼學姜必肅
幼學姜世鼎
幼學姜世豪
幼學姜世傑
幼學康孝錫
幼學康希曾
幼學金之鈺
幼學李逸
幼學李逵
幼學鄭泰舒
幼學金聖煥
幼學洪聖增
幼學洪聖敷
幼學洪聖麟
幼學洪龍雨
幼學曹應泰
幼學曹極老
幼學金文錫
幼學鄭仁相
幼學鄭義相
幼學鄭智相
幼學鄭信相
幼學趙郇
幼學崔柱邦
幼學鄭必熈
幼學鄭重熈
幼學曹滎國
幼學金昌泌
幼學金昌㶅
幼學金國彬
幼學金益彬
幼學金澤彬
幼學金復彬
幼學金德彬
幼學金學彬
幼學金夏彬
幼學金禹彬
幼學金甲彬
幼學柳聖時
幼學柳聖宗
幼學姜必廉
幼學姜世岳
幼學金重采
幼學金亨采
幼學金聖東
幼學金復采
幼學金熈普
幼學金熈績
幼學金熈龍
幼學金熈麟
幼學金熈兌
幼學琴邦快
生員南雲翮
幼學張緯天
幼學河大㵯
幼學柳霔
幼學柳{氵+(戶/口)+力}
幼學河世{氵+龜}
幼學金潤邦
幼學金潤慶
幼學金潤身
幼學柳若天
幼學柳必天
幼學鄭泰健
幼學王夢鏡
幼學王世臣
幼學王虎臣
幼學王翰臣
幼學金承祚
幼學趙敏經
幼學趙溫經
幼學趙沉經
幼學趙備經
幼學趙涉經
幼學趙聖經
幼學趙錫健
幼學趙錫東
幼學趙錫玹
幼學趙錫輔
幼學趙錫中
幼學趙益經
幼學李悅
幼學趙錫疇
幼學趙錫矩
幼學趙錫亨
幼學趙錫華
幼學趙錫一
幼學趙錫翰
幼學趙錫肱
幼學趙錫均
幼學趙錫光
幼學趙錫能
幼學趙錫重
幼學趙錫文
幼學趙錫俊
幼學趙錫春
幼學趙錫權
幼學趙錫喆
幼學趙錫愚
幼學趙錫龍
幼學趙錫魯
幼學邊垕
幼學邊墪
幼學邊壆
幼學李增祜
幼學李胤遠
幼學李暢遠
幼學李敷遠
幼學李孝遠
幼學李禧遠
幼學李祖遠
幼學李國城
幼學李承遠
幼學李載遠
幼學李{忄+百}遠
幼學李東遠
幼學李坤德
幼學李坤白
幼學李坤迪
幼學李坤植
幼學李坤敏
幼學李坤興
幼學李坤亨
幼學宋璹
幼學宋震龜
幼學宋震龍
幼學宋邦弼
幼學宋瑒
幼學宋瑥
幼學宋珣
幼學宋珏
幼學金崇業
幼學金弘業
幼學金宏業
幼學金聲遠
幼學鄭光綸
幼學鄭光述
幼學鄭光周
幼學李世峯
幼學李道弘
幼學李道泰
幼學李增命
幼學李增炫
幼學李增煥
幼學李增熀
幼學金聖鍵
幼學洪宇龍
幼學黃斗南
幼學黃斗極
幼學黃斗元
幼學黃斗貞
幼學黃五重
幼學黃斗甲
幼學黃信重
v
幼學羅燦
幼學李鳴朝
幼學權相虎
幼學蔡世河
生員蔡亨洛
幼學蔡觀河
幼學申錫南
幼學申尼岳
幼學申舜岳
幼學申禹岳
幼學申日復
幼學申致岳
幼學申弘岳
幼學申世岳
幼學申以孝
幼學申以復
幼學崔龍遂
幼學崔龍進
幼學崔龍迪
幼學高奎瑞
進士高啓瑞
幼學高宇瑞
幼學高禧
幼學高龍瑞
幼學高經瑞
幼學高極瑞
幼學高五瑞
幼學高河瑞
幼學高景瑞
幼學高命和
幼學高命重
幼學高命來
幼學高命爕
幼學高日就
幼學高日柱
幼學高日曄
幼學高行健
幼學高性健
幼學高宇健
幼學李宜壽
幼學李寅紀
幼學李燢
幼學李爕
幼學李煒
幼學姜鎭貞
幼學姜鎭奎
幼學洪虎吉
幼學洪羽吉
幼學洪夏吉
幼學洪麟吉
幼學李東英
幼學李東一
幼學全炁復
幼學蔡瀗
甲申仲冬己巳錄還書
參奉李達中
參奉李學中
幼學康周封
幼學康周彥
生員姜世晋
幼學鄭煒
幼學李命恒
幼學李鼎煥
幼學李公著
幼學李師儉
幼學高兌瑞
幼學趙允元
幼學姜必彥
幼學金萬鎰
幼學金昌{每/水}
幼學金義彬
幼學金昌漢
幼學金昌永
幼學金白彬
幼學金在麗
幼學孫徽
生員李日成
幼學河瑞疇
幼學柳復天
幼學申漢佐
幼學申漢重
幼學申慶麟
幼學趙義經
幼學趙錫玉
幼學趙錫穆
幼學趙錫洛【改受和

幼學趙錫瑞【改禮和

幼學鄭夏相
幼學邊鎭維
幼學趙命駿
幼學趙鎭紀
幼學趙鎭緯
幼學趙鎭綱
幼學河世沆
幼學呂維一
幼學金復曄
幼學金道允
幼學金道元
幼學趙相復
幼學李光發
幼學李性源
幼學李志源
幼學李命源
幼學鄭泰郁
幼學曹樞國
幼學曹利國
幼學趙命哲
幼學趙如琯
幼學全始復
幼學全始性
幼學趙駿和
幼學李若松
幼學李晩松
幼學丁樂愼
幼學蔡德一
幼學朴行五
幼學韓復命
幼學金克訥
幼學金克謙
幼學金克友
幼學金亨紀
幼學金克恭
幼學朴壽堅
幼學郭成九
幼學郭亨九
幼學琴舜恊
幼學金碩曄
幼學金邦曄
幼學宋思玄
幼學金守白
幼學金守坤
幼學金得衡
幼學金克儉
幼學康度身
幼學鄭義模
幼學鄭禮模
幼學鄭智模
幼學孫時璞
幼學金克潤
幼學韓復理
幼學金克敦
幼學金景曄
幼學金光緖
幼學蔡蓍光
幼學蔡友鳳
幼學李嵇
幼學李挺朝
幼學權烋
幼學朴東臣
幼學朴成瑀
幼學高星瑞
幼學高文瑞
幼學高甲瑞
幼學高亨健
幼學高玄瑞
幼學高祐
幼學高命敏
幼學申翰周
幼學姜重文
幼學李煻
幼學洪昌績
幼學鄭重恊
幼學洪龍吉
幼學安華世
幼學李適
幼學金德煥
幼學金兌煥
幼學柳祥履
幼學洪聖龜
幼學洪休
幼學洪日瀚
幼學柳章源
幼學李泰運
幼學朴成儉
幼學鄭汝慶
幼學姜愼
幼學黃翼纘
幼學黃澣
幼學黃處休
幼學黃趾休
幼學金南宅
幼學黃最重
幼學黃華重
幼學黃敬中
幼學黃啓熈
幼學趙允恊
幼學趙允成
幼學趙命欽
幼學李弘胄
幼學黃翼承
幼學李集聖
幼學黃瑞榦【改景榦

幼學黃祥榦
幼學黃利榦
幼學黃時中
幼學李憲遠
幼學李宅遠
幼學李仁遠
幼學李坤宅
幼學宋震亨
幼學宋震復
幼學宋邦傑
幼學金兌興
幼學黃元重
幼學黃斗祥
幼學黃世謙
幼學黃致謙
幼學金學貫
幼學金學魯
幼學姜必謙
幼學姜必章
幼學金光憲
甲申仲冬錄
正言高裕
幼學鄭倬模
幼學金南曄
幼學金胄寬
幼學金致廉
幼學金必寬
幼學郭範九
幼學李滂
幼學郭起敬
幼學金鴻運
幼學金國鑌
幼學金載運
幼學孫雲肅
幼學孫曾顯
幼學孫時璧
幼學孫星慶【改鼎慶

幼學鄭璞
幼學康翰雲
幼學宋珹
幼學姜森
幼學姜必恭
幼學姜必岳
幼學姜世慶
幼學姜世魯
幼學姜世鐸
幼學趙瑭
幼學金道傅
幼學李行著
幼學李身儉
幼學李養儉
幼學李宅儉
幼學趙鎭夏
幼學趙鎭源
幼學趙纘和
幼學盧重文
幼學盧性元
幼學盧光一
幼學金達龍
幼學呂璜復
幼學呂維權
幼學河潝
幼學河世濯
幼學李增允
幼學李漑遠
幼學李堯和
幼學李坤中
幼學李坤鎭
幼學李堯臣
幼學金潤萬
幼學洪樂行
幼學金湛
幼學蔡德龜
幼學柳祥發
幼學柳祥恒
幼學柳惠源
幼學柳榦
幼學南鼎象
幼學南鼎呂
幼學洪冕
幼學趙奎鎭
幼學黃泰凞
幼學黃臨重
幼學鄭再僑
幼學黃載凞
幼學黃致凞
幼學黃聖凞
幼學蔡漝
幼學蔡{氵+奭}
幼學蔡濯
幼學蔡瀷
幼學蔡湒
幼學蔡渏
幼學蔡蓍崇
幼學蔡蓍益
幼學蔡蓍滎
幼學權㷞
幼學權煿
幼學安世旭
幼學申泰岳
幼學高命恊
幼學高日晋
幼學高褧
幼學高褘
幼學蔡蓍昌
幼學蔡蓍百
幼學蔡蓍禎
幼學金命夔
幼學金希仁
幼學金尙倫
幼學李匡朝
幼學權燧
幼學李延元
幼學李宜培
幼學李{火+戢}
幼學韓堡
幼學申宅南
幼學申休命
幼學申休百
幼學洪翬吉
幼學洪泰吉
幼學洪獻吉
幼學洪駿吉
幼學權{土+永}
幼學姜復一
幼學姜復九
幼學曹賓國
幼學曹翰國
幼學曹衡國
幼學曹經國
幼學趙邠
幼學趙允一
幼學金星慶
幼學趙命䄵
幼學柳敬天
幼學金潤廷
幼學康聖錫
幼學李東星
幼學趙錫孝
幼學李東世
幼學趙錫簡
幼學趙錫瑢
幼學趙龜然
幼學洪聖鳳
幼學洪聖天
幼學洪龍漢
幼學洪龍瀷
幼學金宗濂
幼學金光宇
幼學金聲振
幼學黃允休
幼學黃震凞
幼學黃舜凞
幼學柳聖樂
幼學柳光漢
幼學姜世師
幼學金克彬
幼學金東曄
幼學金達極
幼學金昌浩
幼學李希爕
幼學李建爕
幼學邊鎭翰
幼學王駿臣
幼學趙迪經
幼學金彥卨
幼學趙百和
幼學鄭啓相
幼學趙郁然
幼學趙一然
幼學趙虎然
幼學申永壽
幼學趙穆然
幼學趙翼然
幼學趙玉然
辛卯十月日甲申錄釐正
正字柳橚
幼學丁之贒
幼學丁志會
幼學趙錫履
幼學趙錫獻
幼學趙錫桓
幼學趙錫典
幼學趙世經
幼學趙顥經
幼學全達道
幼學全達遠
幼學趙錫類
幼學趙錫瓉
幼學趙錫璡
幼學全達胤
幼學全達善
幼學蔡翰國
幼學蔡德川
幼學蔡蓍元
幼學金重瑚
幼學金希濂
幼學李仁修
幼學李命修
幼學安{金+習}
幼學金達曄
幼學洪龍海
幼學柳承源
幼學柳一源
幼學柳楫
幼學權正融
幼學洪常仁
幼學洪學再
幼學南必錫
幼學南漢朝
幼學鄭漢紀
幼學南鼎爕
幼學南鼎㸁
幼學南鼎采
幼學南駿
幼學申思九
幼學孫東顯
幼學孫復顯
幼學孫時珏
幼學孫時珌
幼學孫應慶
幼學孫承慶
幼學孫龍慶
幼學孫宅慶
幼學孫潤慶
幼學鄭翼魯
幼學鄭宗魯
幼學鄭恭魯
幼學鄭重魯
幼學金以壃
幼學鄭得魯
幼學鄭龜魯
幼學金鼎曄
幼學金以寬
幼學郭起漢
幼學徐麟玉
幼學徐麟德
幼學徐麟得
幼學金得埰
幼學李起讓
幼學李德讓
幼學金命遂
幼學金希遂
幼學郭起文
幼學金得城
幼學韓維海
幼學鄭漢模
幼學宋思愼
幼學宋思栻
幼學宋思一
幼學宋思悌
幼學宋思忠
幼學姜世文
幼學姜必晋
幼學姜穆欽
幼學姜世喆
幼學姜世興
幼學李德著
幼學李春著
幼學李守儉
幼學李碩基
幼學趙廷祿
幼學金孝傅
幼學金可權
幼學金履權
幼學邊鎭禧
幼學鄭衡相
幼學趙敬和
幼學趙承和
幼學趙智和
幼學趙萬然
幼學趙魯然
幼學金宗範
幼學趙沃經
幼學趙錫龜
幼學趙翰然
幼學趙恭經
幼學趙錫五
幼學趙錫祥
幼學趙民和
幼學趙命和
幼學趙昞然
幼學趙毅然
幼學趙豹然
幼學趙獅然
幼學趙麒然
幼學趙岐然
幼學趙嶫然
幼學王允鼎
幼學趙尙和
幼學李堯昌
幼學李堯稷
幼學李堯德
幼學李克培
幼學李命遠
幼學李長國
幼學李坤直
幼學李世城
幼學李炳遠
幼學李懷遠
幼學李堯欽
幼學李坤維
幼學宋啓昌
幼學洪九漢
幼學洪樂禧
幼學康周翼
幼學康思纘
幼學康思曾
幼學康思閔
幼學權焌
幼學權煉
幼學權炡
幼學權滎
幼學權煃
幼學權達仁
幼學權遵
幼學李弼朝
幼學金正倫
幼學李震朝
幼學金綅
幼學洪羽鮮
幼學洪學宗
幼學洪學成
幼學洪龍鮮
幼學洪龍淵
幼學蔡蓍成
幼學蔡蓍亮
幼學蔡寅龍
幼學蔡蓍疇
幼學蔡蓍德
幼學蔡蓍博
幼學蔡蓍康
幼學蔡蓍謙
幼學河尙楫
幼學盧趾文
幼學盧允文
幼學朴成瑜
幼學金命卨
幼學金宇仁
幼學金輔仁
幼學朴思慶
幼學高厚健
幼學高以健
幼學高日燦
幼學高象健
幼學高日運
幼學高挺岳
幼學高襜
幼學高貞瑞
幼學洪師吉
幼學洪胤匡
幼學洪胤忠
幼學洪胤東
幼學李烋
幼學申百益
幼學申百源
幼學申百能
幼學申百憲
幼學姜復五
幼學申宅明
幼學申宅和
幼學李東馨
幼學李東殷
幼學羅致彥
幼學朴成徽
幼學李萬達
幼學蔡德濬
幼學蔡德濡
幼學洪禹績
幼學權綬
幼學申百祺
幼學曹文國
幼學曹昌國
幼學趙世楫
幼學趙命國
幼學鄭載熈
幼學鄭翼熈
幼學鄭繼熈
幼學鄭仁宅
幼學河尙台
幼學河尙默
幼學羅致儁
幼學金聲徹
幼學金聲玉
幼學金光國
幼學黃麟熈
幼學李重穆
幼學孫宜振
幼學柳聖愚
幼學柳{雨/油}
幼學柳孟春
幼學柳仲春
幼學柳相天
幼學柳正春
幼學柳光洛
幼學河世{氵+鱗}
幼學河尙雲
幼學申聖麟
幼學申應麟
幼學申錫麟
幼學權斗相
幼學張崇
幼學金達義
幼學金達裕
幼學金達堅
幼學金履彬
幼學金翰彬
幼學金東翊
幼學金東玉
幼學金遇秋
幼學姜世迪
幼學姜伯欽
幼學柳聖文
幼學柳光洙
幼學柳光濂
幼學柳光{氵+复}
幼學琴英再
幼學趙旭鎭
幼學趙台鎭
幼學趙翼鎭
幼學趙重鎭
幼學趙國鎭
幼學趙雲慶
幼學黃宅熈
幼學黃存重
幼學黃應重
幼學朴處禮
幼學黃復重
幼學黃復熈
幼學黃得休
幼學黃允熈
幼學黃對休
幼學全熈德
幼學鄭惟晋
幼學李善述
幼學盧悌元
幼學盧恊元
幼學盧以文
幼學盧震元
幼學盧溪文
幼學盧光德
幼學盧光潤
幼學盧述文
幼學盧光宅
幼學盧光復
幼學盧柱元
幼學盧興文
幼學趙鎭重
幼學趙鎭基
幼學趙鎭墉
幼學趙遂和
幼學趙述和
幼學趙鎭得
幼學趙鎭崑
幼學李聖華
幼學呂維新
幼學呂維華
幼學呂一復
幼學呂亨復
幼學呂俊復
幼學孫必慶
幼學孫泰慶
幼學黃潤熈
幼學申百祿
新錄
幼學趙廷穆
幼學金再后
幼學權巖
幼學趙珹
幼學邊鎭遠
幼學李師栢
幼學趙慤然
幼學趙赫然
幼學申永福
幼學王允稷
幼學金夏範
幼學鄭文熈
幼學趙祖然
幼學趙克和
幼學李敬儒
幼學李東時
幼學全始玉
幼學全升德
幼學趙錫瑗
幼學趙錫身
幼學趙錫馹
幼學趙錫騏
幼學趙錫騋
幼學趙鳳然
幼學趙宗城
幼學魚有漢
幼學蔡憲國
幼學蔡藎國
幼學蔡蓍文
幼學李義修
幼學洪宗漢
幼學洪若漢
幼學洪學重
幼學柳亨源
幼學柳栐
幼學柳{木+奭}
幼學柳星春
幼學南必壽
幼學南必璧
幼學南必斗
幼學南漢星
幼學李廷鄰
幼學南必明
幼學南漢朝
幼學南漢老
幼學柳梡
幼學孫宇顯【改始顯

幼學孫宇慶
幼學孫會慶
幼學孫國慶
幼學孫虎慶
幼學孫弘慶
幼學孫孝曾【改鎭岳

幼學呉瑀
幼學金五寬
幼學金宗鐸
幼學徐麟復
幼學徐綜萬
幼學徐麟遠
幼學鄭廣魯
幼學鄭明魯
幼學韓復性
幼學李仁基
幼學李顏德
幼學李敏儉
幼學李允儉
幼學姜世淸【改世緯

幼學姜世謨
幼學姜世臣
幼學姜文欽
幼學金履遂
幼學金夢慶
幼學宋煥心
幼學鄭東魯
幼學金成鐸
幼學康翰國
幼學姜世濟
幼學韓覲俞
幼學金佑直
幼學金㝡仁
幼學蔡蓍榦
幼學蔡蓍升
幼學蔡蓍漸
幼學蔡蓍玉
幼學蔡定洛
幼學蔡定國
幼學蔡蓍萬
幼學蔡蓍膺
幼學蔡定宅
幼學蔡定台
幼學蔡澲
幼學蔡㳌
幼學權達東
幼學蔡定河
幼學趙岳然
幼學趙大然
幼學趙暻然
幼學趙燦然
幼學趙重然
幼學趙璧然
幼學趙克然
幼學趙錫貞
幼學趙錫年
幼學趙錫仁
幼學趙穗然
幼學李重植
幼學趙錫煥
幼學趙錫訥
幼學李堯恊
幼學李敏培
幼學李堯蓂
幼學李坤愽
幼學李震遠
幼學李希遠
幼學李春培
幼學李堯弼
幼學李堯績
幼學幼堯福
幼學李坤容
幼學李東城
幼學李堯章
幼學宋啓三
幼學宋啓周
幼學金命說
幼學金命遂
幼學金佑良
幼學權達忠
幼學權達夏
幼學權達義
幼學李羲陽
幼學金縿
幼學金纜
幼學洪宅鮮
幼學洪致鮮
幼學李元陽
幼學李吉陽
幼學權瑩
幼學崔宗嶽
幼學申休德
幼學申休得
幼學申百祜
幼學申百宗
幼學申致龍
幼學申致鳳
幼學申聖東
幼學高日賓
幼學高時健
幼學高挺萬
幼學高一大
幼學高一明
幼學姜繼祖
幼學洪胤興
幼學洪宗夏
幼學高日恭
幼學高麟瑞
幼學申百謙
幼學申百福
幼學申宅夏
幼學申宅揆
幼學李載陽
幼學姜復行
幼學姜時敏
幼學洪鶴吉
幼學洪胤寧
幼學姜宅權
幼學鄭八復
幼學鄭八起
幼學權伯
幼學權仲
生員李東春
幼學李東五
幼學李東著
幼學李東晋
幼學金箕采
幼學成彥述
幼學黃履凞
幼學黃喆凞
幼學黃赫凞
幼學黃大坤
幼學黃載休
幼學姜世質
幼學姜世濂
幼學姜世伯【改世白

幼學成彥槼
幼學金東郁
幼學金東哲
幼學金宜玉
幼學曹元道
幼學曹亨道
幼學曹輝道
幼學曹明德
幼學曹明翼
幼學曹文道
幼學趙命晋
幼學趙命一
幼學趙廷直
幼學鄭彥凞
幼學鄭敬凞
幼學河尙穆
幼學河尙喆
幼學河尙明
幼學蔡瑞國
幼學金瀅
幼學金洙
幼學金湞
幼學金秀東
幼學丘師德
幼學李日正
幼學金希益
幼學金希尹
幼學盧必文
幼學河尙天
幼學柳覺天
幼學柳達天
幼學柳光濬
幼學柳光溥
幼學柳全春
幼學金凞啓
幼學金達敏
幼學金鍊大
幼學金東燦
幼學金東載
幼學金東振
幼學金達秋
幼學金斗秋
幼學姜宗欽
幼學柳光渥
幼學柳光浩
幼學黃配休
幼學黃翼凞
幼學黃孟凞
幼學黃鳳凞
幼學黃弼凞
幼學黃汝重
幼學黃弼重
幼學黃象凞
幼學黃一珩
幼學金配垕
幼學呉錫年
幼學呉錫權
幼學呉錫會
幼學趙鎭國
幼學趙鎭岳
幼學趙躋和
幼學趙遇和
幼學趙有和
幼學盧緯文
幼學盧光斗
幼學盧光璞
幼學河尙斌
幼學河世溍
幼學河尙運
幼學呂弘宅
幼學呂啇復
幼學呂聖{氵+复}
幼學蔡蓍端
幼學趙復和
幼學全達漢
生員姜頥爕
牧使鄭東教戊辰追錄
牧使閔種烈戊子六月日
郡守李漢膺己亥正月日
幼學姜信恊
幼學高永錫
幼學鄭東晥
幼學高太林
幼學鄭忠默
幼學高奎林
鄕彥錄修正註記
是錄商山鄕彥錄也語在周鄭二先生
序文中盖邑先生自有邑先生案則故
牧伯閔侯種烈以下一並刋去依舊盛凾
奉安于太平樓奉安閣
丁巳後三百四十一年丁酉月日
李鍾麟鄭在喆李時泰
蔡仁錫趙南豹康炳祖
趙世衍金龍赫金鍾賢
是日韓山李玉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