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22년 영천향교(永川鄕校) 대성전중수상량문후지(大成殿重修上梁文後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I.1622.4723-20100731.Y101041702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시문류-상량문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상량문
작성주체 박돈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작성시기 1622
형태사항 크기: 50 X 4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안내정보

1622년 영천향교(永川鄕校) 대성전중수상량문후지(大成殿重修上梁文後識)
1622 영천향교대성전(大成殿)을 중수하면서 정사물(鄭四勿)이 상량문을 지었는데, 대성전의 중수에 참여했던 인원들에 대한 소개가 제대로 기재되지 않았다. 이에 같은 고을의 생원박돈(朴暾)이 상량문후지(上梁文後識)를 지어 대성전을 중수하게 된 연혁과 중수를 발의한 인물 및 중수를 추진한 인물등에 대해 소상히 기록하였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상세정보

임진왜란이후, 重修한 永川鄕校大成殿의 上梁文後識.
내용 및 특징
본 문서는 임진왜란 이후, 재건된 永川鄕校大成殿의 퇴락으로 인해 大成殿을 重修하면서 上梁文을 지을 때, 朴暾이 중수상량문과 함께 지은 上梁文後識이다. 본문의 내용에 의하면, 1513永川郡守金欽祖大成殿을 건립했는데, 1570년 승려 에 의한 화재가 있었고, 1592년 倭軍의 침입으로 大成殿건물전체가 소실되어 버렸다. 이 때 全三益등이 位板을 가지고 피난하여 紫陽洞圓覺村에 임시 봉안하여 位板만은 소실을 면했다. 1599李國賓崔經濟등의 감독으로 大成殿 重修가 시작되어 때마침 부임한 永川郡守趙濈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1601년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막 끝나고 공사가 시작되었으므로 자재설비가 미흡하여 비가 새는 등, 전후의 혼란기에 서둘러 공사를 완료했던 까닭에 大成殿의 重修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前義禁府都事鄭諶 ․ 원로선비 成立등이 永川鄕校 齊任을 맡고있는 成以諒孫繼昌등과 함께 수령에게 보고하여 大成殿을 重修하도록 하였다. 이에 1621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622년에 상량하였다. 승려 宥安이 地勢를 살렸고, 徐因右韓德甘李莫乃金福男卞景立千福등이 공사에 참가하였다. 이를 총괄한 사람은 行郡守黃孝儀였다.
자료적가치
조선의 鄕校 대부분은 임진왜란 당시 큰 피해를 입고 불타거나 파괴되었다, 鄕校는 문물교화의 중심이기 때문에 임진왜란이 종결되자마자 피해를 당한 향교들은 서둘러 重修 ․ 再建되기 시작하였다. 본 上梁文을 통해서도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 永川鄕校의 혹심한 피해와 再建을 위한 努力을 잘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22년 영천향교(永川鄕校) 대성전중수상량문후지(大成殿重修上梁文後識)

按吾東方人文晩闢學校興創不載傳記於勾麗於濟羅固不足徵也有若王氏之隆興而家塾黨序之設
蔑蔑乎無聞焉至于二百餘年之後有崔文憲安文成圃隱鄭先生諸賢始爲之輩出相與講明斯道特
右文學請於郡縣各立庠序意吾郡鄕校之設兆朕於是時而當初龜食之地此基也否亦未可知也惟
於郡廨有一小乘載自高麗高宗四十三年甲午以後之蹟至于我 聖朝今日之盛而只識邑號之沿革地官之
來去某館某軒之創在某官某公而已不及於學校之興廢設始使我朝列 聖曁諸賢崇學衛道之迹靡
所標枝豈非吾黨之一大欠也在正德八年癸酉郡守金欽祖以持平來是邦重新 聖廟不幸庚午有妖僧
之火重修未幾又値壬辰之變熛燼無餘邑生全三益等携負 祀版權安於郡北紫陽洞圓覺村
粤在戊戌賊退渡海鄕老前進士鄭世雅李喜白等㦖祀版之苟安山谷懼吾道之墜地不張以歲己亥
鳩工僝材令邑儒李國賓崔經濟等使之敦匠事適吾郡守趙公濈以賢良莅弊邦恊謀經營捐俸
竭感以辛丑五月十七日上樑幾年竣事而第在搶攘人無怕慮欂櫨侏儒闤闎之設大不得其宜曾未數十
載棟撓而梁摧上雨而旁風殆不可支鄕老前義禁府都事鄭湛耆儒成立等相與審視之大惧 聖宇之
不幸遂與任齋事者進士成以諒掌議孫繼昌等告諸邑倅請更重修仍令李君時華金公靖勾管工
功以辛酉十二月卽山取材壬戌二月始僦工役以九月十三日丙午上樑其棟自北而南者三十有六尺自東迤西
者六十四尺有奇周阿峻嚴列楹齊同且其庭除修明墻仞寬敞巋然翼然輪焉奐焉始稱其爲夫子之廟
也審曲面勢者山之僧宥安也執斧鋸趨左右者在副曰徐因右其次則李莫乃韓德甘金福男卞景立
福是
也而竭誠奔走者郡首吏前戶長李伯英也悉心綱紀者行郡守黃侯名孝儀
邑儒生員鄭君四勿爲上梁文藏之屋梁而凡諸服勞者姓名靡所標幟故敢忘其麁
率而書之左云
天啓二年九月十三日生員朴暾謹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