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35년 영천(永川) 망정향약안(望亭鄕約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G.1735.4723-20100731.Y1040705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망정동
작성시기 1735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고경 영산신씨 석천정종중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가수리

안내정보

1735년영천시망정동에서 실시되었던 향약의 약조문과 참여 인원의 명단
이 향약은 영천망정동에서 실시된 향약으로서, 현존하는 당시의 자료에 관의 수결이 있는 것으로 보아 관의 허락 하에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망정향약이 실시되었던 시기는 1735년부터 최후의 추입이 있는 1783년경까지 약 50여 년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망정향약의 약조목은 주자증손여씨향약의 4강목에 의거하여 작성된 것인데, 17~18세기 영남지방에서 실시된 대부분의 향약이 그러하듯이 그 내용은 퇴계-김기향약을 크게 따르고 있다. 망정향약은 전 동민을 대상으로 하여 성립되고 있는데, 양반은 물론이고 양민과 개별 호를 구성하고 있던 노비가 그 구성원이었다. 그러나 가내노비의 경우에는 자원자에 한하여 가입을 허락하고 있었다. 향약의 운영을 위한 임원으로는 동임과 좌주, 색장 등이 있었는데, 동임은 1년 임기로 청렴결백하고 부지런한 자를 택하여 선출하였다. 이 외에도 제명록에 수결을 한 유사와 공사원이 있었는데 이들의 직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으나 유사나 동임은 동일한 직임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이들의 신분은 양반이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7.
이병훈

상세정보

1735년영천望亭洞에서 실시되었던 鄕約의 約條文과 참여 인원의 명단이다
내용 및 특징
이 향약은 영천망정동에서 실시된 향약으로서, 현존하는 당시의 자료에 관의 수결이 있는 것으로 보아 관의 허락 하에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망정향약이 실시되었던 시기는 1735년부터 최후의 추입이 있는 1783년 경까지 약 50여 년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망정향약의 약조목은 주자증손여씨향약의 4강목에 의거하여 작성된 것인데, 17~18세기 영남지방에서 실시된 대부분의 향약이 그러하듯이 그 내용은 退溪-金圻향약을 크게 따르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김기향약과 한 두 조목 또는 字句上의 차이에 불과했다. 그러나 禮俗相交와 患難相恤에 관계되는 조목은 각기 촌락의 사정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이것은 단순히 예속상교와 환난상휼만을 규정한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향약운영에 관한 내용이기도 하였다. 망정향약의 구성과 운영 등에 관해서 살펴보면, 망정향약은 전 洞民을 대상으로 하여 성립되고 있는데, 양반은 물론이고 양민과 개별 戶를 구성하고 있던 노비가 그 구성원이었다. 그러나 가내노비의 경우에는 자원자에 한하여 가입을 허락하고 있었다. 향약의 운영을 위한 임원으로는 洞任과 座主, 色掌 등이 있었는데, 洞任은 1년 임기로 청렴결백하고 부지런한 자를 택하여 선출하였다. 이 외에도 題名錄에 수결을 한 有司와 公事員이 있었는데 이들의 직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으나 유사나 동임은 동일한 職任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이들의 신분은 양반이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相扶相助에는 喪葬의 扶助와 吉事, 화재, 질병에 대한 相求가 있었는데, 이 중 상장에 대한 부조는 父,母,己,妻와 동거자녀 그리고 처남이 없는 처부모에 국한되고 있었으며, 初喪과 葬事時에 동임과 洞員이 終始토록 看護하도록 하고 있다. 이 중 한 내용을 보면 초상시에는 喪布 40尺, 草席 5立, 空石을 매원 1立씩 수합하여 지급하고 있었으며, 殯所시에는 양반은 大樑 2株, 椽木 5개, 外木 1冊, 藁索 1沙里, 盖草 1旨씩, 下丁은 椽木 1개, 盖草 1旨, 索 1沙里씩 납부하고 있었다. 吉事에 대한 부조에서 길사는 設宴, 婚事, 大小科入格이었으며, 이것에 대한 부조는 定式이 없이 수력상조케 하고 있었으나, 양반혼사에 대해서는 米2승, 明太 5미씩을 각출하여 부조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火災와 질병, 우환에 있어서도 相求가 행해지고 있었다. 즉, 화재 시에는 約員들이 盖草 1旨, 고삭 1사리, 재목 1주씩 각출하여 造冢하게 하였다. 또한 질병과 우환으로 失農을 면치 못할 경우에 모두 도와 廢業流離에 이르지 않도록 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상부상조는 임란 후의 향약이나 동약에서 볼 수 있었던 일반적인 내용이었는데, 그것은 하층민을 향약조직에 편제하여 일정한 상부상조를 통하여 하층민을 토지에 긴박시킴과 통시에 양반 중심의 신분적 상하질서의 유지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결국 하층민을 향약조직에 편제함으로써 그리고 이 조직을 통한 상부상조를 매개하여 하층민을 洞里와 土地로부터의 이탈을 금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하층민의 토지긴박은 이들을 기반하고 있던 양반층의 향촌지배의 기본이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향약조직은 상당히 강제성을 띤 조치였던 것으로 향촌사회에서 향약 이외의 조직을 엄금하고 있었다. 이것은 양반중심의 상하신분질서의 확립을 목적한 것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여기서 향약은 신분적인 階梯를 엄격히 하고 있었다. 이것은 향약의 좌목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망정향약에서는 上廳, 中廳, 下廳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상중하층이 명확하였지만 실제 좌목에는 上下廳 座目만이 있었다. 즉 상청좌목에는 13명이 하층좌목에는 86명이 등재되어 있다.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7.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35년 영천(永川) 망정향약안(望亭鄕約案)
望亭鄕約
鄕約法
德業相勸過失相規
禮俗相交
患亂相恤
事父母盡孝
教子弟以義
尊敬長上
友愛兄弟
和睦隣里
敦厚親舊
待妻妾以禮
接朋友以信
立心以忠厚
行己必恭敬
見善必行
聞過必改
右德業相勸
父母不順者
兄弟相䦧者
家道悖亂者
事涉官府有關鄕風者
妄作威勢擾官作私者
侵暴小民私門濫杖者
長老凌辱者
已上論罰上中下
上罰告官司科罪不通水火
中罰削籍不齒鄕里
下罰損徒不與公會
親戚不睦者
隣里不和者
正妻踈薄者
儕輩歐罵者
不顧廉恥汚毁士風者
恃强凌弱侵奪起爭者
無賴作黨多行狂悖者
公私聚會是非官政者
造言搆虛陷人罪累者
患亂力及坐視不救者
受宮差任憑公作私者
婚姻喪祭無故過時者
不有執綱不從鄕論者
不服鄕論反懷仇怨者
多接人戶不服官役者
不謹祖賦圖免徭役者
已上中罰
上罰告官司科罪
中下從輕重施罰
紊坐失儀者
座中喧爭者
空坐退便者
已上下罰
上中下或面責施罰
庶人凌蔑士族者
已上隨聞見摘發告官司依律科罪
下人約條
不養父母使之焉乞者
不順父母多行悖惡者
女人誶罵舅姑者
兄弟不和者
衝火作孽者
凌辱兩班者
有婦女潜奸者
旁親祖叔兄弟凌辱者
已上極罰
上罰告官司科罪不通水火
中下從輕重施罰
恃强肆暴作害閭里者
以少凌辱老者
隣里不和及相鬪者
濫着衣冠紊亂名器者
兩班等馬者
不力其業1016수農自安者
行止荒唐人接主者
遊女相奸作亂傷人者
已上中罰
上罰告官司科罪
中下從輕重施罰
吉凶扶助不如約者
公事時托故不隨行者
閭里間高聲叱辱者
聚會時使喧爭者
已上下罰
上罰告官司科罪
中下從輕重施罰
一同約之人各自省察互相紏戒小則密規之大則衆戒之不聽會集之日
以義理誨諭之謝過請改則許其自新若其自是不服不終能改者
告官司分上中下三罰治之
一擔持則父母祖父母己妻同居子女無妻娚妻父母外勿論上下切勿許
給事
一或有遷葬者則勿論上下只許擔持而勿許價米事
一喪葬時出干者施以重罰而若不遵行則報官處置事
一初喪及葬事時洞任與洞員終始看護事
一初喪喪布四十尺草席四立空石每員一立收給事
一殯所時兩班則大樑二株椽木五箇外木一丹蒿索一沙里盖草一旨式赴役而下丁
則椽一箇盖草一旨索一沙里式采納事
一造墓時上中下一日赴役而兩班葬事則班奴別爲一日加役事
一葬事時眞荏五合眞末二刀收給而水荏則一刀式雜末則三刀式代給事
一造墓時白酒六斗式出給事
一葬事時勿論上中下各酒一斗壼榼一器式進呈除夜事
一葬事時飯米勿論上下一升五合式收給事
一葬事時矩火燒木一丹明松一柄式收給事
一飯米捧上時白酒三斗出給事
一葬事除夜時白酒六斗淸酒三斗出給事
一成墳之日平士後白酒六斗出給事
一擔持價從自願米三升及荏末收給時白酒六斗淸酒二斗壼榼四器式
進呈事
一荏末收給時白酒二斗淸酒一壺安酒二器式辦備事
一造墓及成墳之日上任先到役所撿勅下所任等後因点考役軍畢役事
一擔持價米荏末等物當日未收則限三日捧給主人而過此限後則自約中倍價
懲干事
一喪布草席等物如或不及於初喪之用則洞任重罰事
一上下喪葬時上任親自拈軍看護畢役事
一兩班殯所時常漢之椽木盖草蒿索價則所謂退飯報復事
一遷葬之擔持及初喪之擔持有異酒食勿以定式責出而隨其形勢捧
用事
一同契之人如或有慮外遭變者則上下極力顧護事
一鄕約軍自退者則爲先報官治罪後典當田畓間許納事
一同里之人自作私契而謀避鄕約者則即爲報官屬公其私契什物而還入
鄕約事
一上下旣受鄕約後稱頉不爲對答者則雖去他官典當價乙鄕約軍一齊進
去計數懲推事
一多年隨行之人無後零丁則同約中相議善處期於埋葬而里內雖非約內
如無收屍之道則亦令下任等爲之掩土事
一捧酒特以踏印官斗斟酌計捧而切勿過濫事
一同約之人或有火患則極力徃救而各出盖草一旨蒿索一沙里村本一株式同力造家而
洞任親進監役不至大段被灾則否
一同約之人或有疾病憂患將未免失農則自約中同議善處極力助農無至
廢業流離事
一鱞寡孤獨廢疾無依者貧窮過時不婚者自約中相議善處事
一洞任擇其廉潔勤幹者而周年遆改事
一座主掌務遆禮周年行之而如或過期不遆則即爲䮕處事
一約中如有可議之事則洞任發文遍告事
一洞任犯手洞物則從輕重論罰而怠緩任事則䮕改事
一里中有染病者則座主色掌結幕出送事
一約軍設令自己對答是良置若其自退則典當不可不懲捧事叚此持人心
巧詐利盡交疎之致耳
一約軍雖無本孫如有外孫則當推於外孫事
一鄕約講信每年春秋各一巡定行爲乎矣春三月秋則九月擇上下無故日
各持壺果齊會講信公事員有司別座論罪犯規者重治告官輕罪
分等施罰無緣不參者損從事
一兩班奴子凌辱上中廳而其上典不爲禁斷至於呈洞內則其上典永永削籍
後其奴子則報官以法事
一上下赴役之日未明逢点而未及期限則笞十度治罪事
一上廳則以衆所共知兩班勿論鄕內鄕外並許參錄事
一中廳則以兩班庶派參錄爲乎矣良民中出身及能解文字入屬鄕校西
齋者則亦許參錄而其子孫或屬於軍役不失中人之名參參坐兩班末席者
並許參錄事
一下廳則從民戶數入錄爲旀兩班家使喚奴子是良置後自願入錄爲乎矣
若以各戶入籍是去乙等勿論自願與否並爲入錄爲乎矣良賤一一區別
大小聚會時分例各坐事
一兩班婚事各出米二升明太五尾式扶助而洞任發收文給乎矣一代三
巡式定限事
一所定扶助米魚穀托故不給則行禮之後不必捧給主人而自約中懲干事
一吉事則爲老親設席也子女婚聚也大小科間喜宴也上下或送酒食
或出米布勿爲定式隨力相助事
一鄕約留錢自今爲始上下初喪以參兩錢收合賻助而父母己
妻外若遷葬及凡他等葬喪勿許事
壬戌正月二十四日洞任辛[手決]
題名錄
金碩礪
崔載泰
鄭復明
崔載岳
辛聚奎
李道郁
崔爾陟
追入
辛敬泰
崔承憲
洪世平
追入
辛錫泰
乙卯閏四月初九日洞任辛[手決]
追入
辛運泰
崔成憲
甲子五月二十四日洞任崔[手決]
下廳座目
異次巾松甘
金賢金介石伊莫立
朴撿山代子時卜奉伊
崔芿叱南
崔無出里代子自奉者東昌石
盧件里金
金萬日代子小芨
芿叱山代子非食伊代子▣▣
盧江牙之
旀山守白代姪郞才
孫談沙里順萬代子貴男
李白同
次善
崔古邑先代子唐見代子萬▣
戶奴貴世
戶奴乭卜
戶奴東石
戶奴權奉
戶奴東男應三
戶奴屎伊上卜
日先屎伊代子元三
自男太世
崔貴南元才代子夫九
失乙巾典當
戶奴沙叱不伊
曹命典當
先逃
金午伊代子金白
愛吉
己卜貴乭伊
申儀
趙厚奉貴男
韓丙生必石
蔣乭千蔣乭伊竹卜
金奉代子金白
韓必守今貴太
戶奴仁江
戶奴末叱松
彔男典當納
順奉撿同
坪乙奉明石
金伊乭代子受昌代子金萬
李之發萬行日三
池貴先代斗萬
李未邑同
李福萬
李臥叱石
裵自今老未順玉變男
曹石硉石卜
李廣男伊逃
李貴代子昌石代子日▣▣▣
自自月季乞季先
德良
己男
彥奉
追入
楊時安奉宅只
崔戊成
孫入沙里
撿發
今哲
日上加▣▣
德奉
不觀
千岳山
李江牙知
朴莫山

乙卯閏四月初六日
公事員鄭復明
有司辛敬泰
官[手決]
追入奴奉儀奉三
戶奴士男逃
壬戌正月二十四日有司
崔[手決]
追入乭立代子命乭伊
癸亥四月十一日有司崔[手決]
一鄕約賻助錢定規之後雖有願入者而不可空然許錄故自
今爲始有自願者是去等五戔式體禮備納後許入事
一座主已行者擔持價米一升五合除減事
追入
李必【代子以出代子仲岩
戊辰二月二十九日 洞任崔[手決]
追入
李元【代厚邑時
日乙金
蔣先【代子乭奉代子日龍
萬世
金今金【代子白失代弟命述
億萬【代子▣南
石崇【代子冬重代子光叱里
戒還
分江【代子禿山伊代子殷卜
丙子十月初十日洞任崔[手決]
追入
蔣順先【代子將金
千岳山【代小仰
戊寅三月十五日洞任崔[手決]
追入
加音▣石
戊寅四月十日洞任崔[手決]
追入
日命
庚辰二月二十九日洞任崔[手決]
洪世萬
丙戌四月初六日洞任辛[手決]
崔元守【代子介守
戊子三月十五日洞任辛[手決]
厚邑時
癸卯十二月二十日洞任辛[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