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천향교(永川鄕校) 임고서당접답사보기(臨皐書堂接畓査報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G.0000.4723-20100731.Y10104170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형태사항 크기: 26 X 19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안내정보

영천향교(永川鄕校) 임고서당접답사보기(臨皐書堂接畓査報記)
영천향교의 토지소작문서로 작성연대 미상이지만, 조선시대 후기라고 판단되며 임고서당과 인접한 곳의 토지 34두락지를 서명월(서명월)서시월(서시월)최내동(최내동) 등 9명에게 소작을 부친 내역을 기록한 토지대장.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상세정보

영천향교에서 임고서당에 인접해 있는 향교 소유의 토지를 9명의 소작인에게 소작하도록 하고 그 내역을 기록한 臨皐書堂接畓査報記
내용 및 특징
본 문서는 작성시기는 미상이나 영천향교 소유의 토지인 임고서당 인근의 토지에 대해 소작인에게 토지를 경작할 수 있도록 분배해 주고 그 내역을 기록한 토지소작문서이다. 임고서당 인근의 토지 34두락지만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유사한 문서가 더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나 현존하는 문서만으로는 그 전체 내역을 알 수가 없다. 영천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문서 중에서 Y1010417017의 문서와 함께 점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향교 소유의 山을 증빙하는 동 문서와 마찬가지로 영천향교의 재산간계를 증빙하는 문서의 일부로 생각된다.
자료적가치
본 문서의 내용으로 볼 때, 조선시대 후기에도 鄕校田은 역시 鄕校의 주요 재정적 기반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그 관리상태가 향교에 따라 대단히 많은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鄕校田으로서의 의미가 점차 퇴색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영천향교(永川鄕校) 임고서당접답사보기(臨皐書堂接畓査報記)

臨皐書堂接畓査報記
阿川面泉味坪 二庚四斗 作徐命月
長川坪 三庚四斗 作徐時月
牛老坪 一庚四斗 作崔乃同
北安面新元坪李鳴
七庚四斗 作李星洞
八庚四斗 作鄭分心
阿川面心谷坪 一庚三斗 作鄭聖心
泉味坪 一庚三斗 作庫子
新寧早栗坪 二庚四斗 作全春心
合三十四斗落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