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6년 영천향교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F.1896.4723-20100731.Y1010417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크기: 60 X 4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안내정보

1896년 영천향교(永川鄕校) 통문(通文)
1896 고종 의 애통조(哀痛詔)를 수취한 영천향교에서, 외국세력의 고종 에 대한 핍박과 명성황후 에 대한 시해를 통분히 여기고, 영천 의 유림들이 의병활동에 참가할 것을 권유하는 통문(通文).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상세정보

1896 년에 고종이 발송한 哀痛詔를 수취한 영천향교에서 의병의 궐기를 위하여 영천의 각 유림에 보낸 통문.
내용 및 특징
본 문서는 1896 고종 의 哀痛詔를 수취한 영천향교 에서 고종 의 호소에 부응하여 영천 의 각 유림에 의병궐기를 호소하는 통문이다. 통문의 내용에 의하면, 列强의 앞잡이에 의해 고종 이 핍박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명성황후 일본 에 의해 시해되었으니 임금과 왕비의 원수를 갚는 것이 신하된 자의 도리라는 것이다. 때마침 임금의 조서가 영천향교 에 이르렀으므로 충의의 고장인 영천 이 다른 고장보다 늦었지만, 다음달 15일까지 향교에 모이도록 통문을 올리니, 의병기의를 모색하자는 것이다. 위 통문의 내용에서 확인되는 것은 조선 시대 말에 출현한 의병들의 주요 활동이 향교와 유림을 근거지로 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자료적가치
본 문서의 하단에는 의병투쟁을 함에 그 재주와 용기를 취할 뿐이요, 신분귀천이나 관․민의 구분을 두지 않는다고 선언한 점으로 보아, 양반사족 중심의 의병투쟁만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평민 및 하층계급의 의병 참여를 독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문서는 이 시기 유림의 의병활동을 입증하는 중요한 증거 중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慶尙北道, 1991
民族文化硏究所,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6년 영천향교 통문(通文)

通文
右文爲通諭事伏以尊周攘夷春秋之大義勤王敵愾臣民之當
分噫噫逆臣奸命醜虜乘釁脅制我 君父禍及我 國母環東土
含生孰不欲寢皮食肉而含忍而不敢發者實由奸猾軰脅持▣
君父號令於國中凡我臣庶不得以措其手也今幸天心眷佑巨猾授
首而哀痛絲綸頒下於列郡義陣者言言痛心字字▣▣至以
宗社生靈密付於義士雖草茅微賤皆足以感激彛衷奮發
忠義之氣也矧我永陽四難倡義之鄕也一鄕諸君子孰非吾
王之赤子義士之遺裔也忘身殉 國固當不後於人而前通之乍
擧旋停大有愧於列郡先義之士也玆因本堂會集發文通告望
須以來月十五日定日輪示于一鄕以爲剋期齊會敦事地幸甚
幸甚
丙申正月二十九日臨臯會中
右文通
鄕校
此亦中今此義擧只擇其才略義勇
勿拘貴賤等級吏民分揀幷爲參論
至於初番會員以自其洞資費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