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1년 영양향교(영양향교) 출문(出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F.1891.4776-20100731.Y10113099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오세원, 조언정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작성시기 1891
형태사항 크기: 44 X 4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안내정보

1891년 英陽鄕校에서 영양의 儒林 22인에게 발송한 것으로 釋奠祭日 이전 入齋하기를 요청하는 出文
1891년 7월 영양 영양향교의 장의 오세원과 재유사 조언정조언각 외 21명에게 보낸 출문이다. 출문을 통해 8월에 있을 석전제 이전에 영양의 어른들은 입재하여 석전제를 준비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조선후기 향교의 여러 제례는 일반 하층민에 대한 교화의 수단이자 제례 이후에는 지역의 양반들이 모여 향교의 직임을 선출하거나 향중의 중요한 안건을 처리하던 향중의 중요한 행사였다. 따라서 제례의 참여와 주도는 양반임을 과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었다. 따라서 출문의 수신자인 조언각 외 21명은 모두 영양지역의 유력양반들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891년영양 영양향교 출문을 통해 영양 영양향교에서 시행되었던 석전제의 준비과정과 당시 영양의 유력양반을 확인할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0.
유기선

상세정보

1891년 英陽鄕校에서 영양의 儒林 22인에게 발송한 것으로 釋奠祭日 이전 入齋하기를 요청하는 出文
내용 및 특징
1891년 英陽鄕校의 掌議 吳世瑗과 齋有司 趙彦鼎영양의 儒林 22인명에게 발송한 出文이다. 출문은 發文 또는 發通이라고도 하는데 어떠한 소식을 전하여 알릴 때 출문을 사용하였다. 출문의 내용은 향교의 釋奠祭에 관련한 것으로 다음달 6일이 釋菜日이니 석전재 이전에 영양의 어른들은 入齋하여 일을 준비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고 요청하는 명단을 기재하였는데, 趙彦珏,吳正洛,權弼永,趙秉績,趙耆容,趙龜容,趙中基,朴理陽,尹行彪,吳承洛,琴進淵,趙秉泳,南炳七,吳錫永,權達睦,具然浩,吳錫泰,李昌鉉,鄭元鉉,趙秉穡,鄭道(?),權翰模 이상 22명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위의 출문은 조선후기 향교의 제례에 관련한 것으로 당시 영양 영양향교에서 행해졌던 석전제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출문의 작성시기는 석전제가 열리는 8월 6일 이전인 7월 15일로 약 보름의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석전제를 준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교에서 실시한 제례 가운데 2월과 8월의 上丁日에 거행하는 釋奠祭가 가장 큰 제례였으므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영양 영양향교에서도 최소한 보름의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석전제를 준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출문은 위에 언급한 趙彦珏 외 21명에게 釋奠祭 준비를 위해 입재하여 줄것을 통고한 것으로 이들은 당시 영양의 유력한 양반들로 보인다. 조선후기 향교의 제례기능이 점차 강화되는 상황에서 兩班儒生들에게 祭禮의 참여는 靑衿錄의 入案이나 校任에의 취임과 같이 兩班身分의 과시 수단이었다. 그리고 祭禮 뒤에 행하는 校任의 선출, 유생의 천거와 可否圈點 등은 향교운영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또한 鄕村敎化를 주관하는 기회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영양 영양향교에서 석전제의 준비를 위해 입재를 요청하고 있는 위의 인물들은 당시 영양의 유력양반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위의 인물들 중에는 영양향교의 校任을 맡은 경험이 있는 자들도 있었다. 이는 1890년 鄕校執綱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出文에 기재 되어 있는 인물 중 집강안에서 확인되는 인물과 그들의 직임은 다음과 같다.
上有司 趙彦珏, 上有司 趙耆容, 掌議 朴理陽, 掌議 趙秉泳, 齋有司 具然浩 이상의 5명이 집강안과 출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당시 출문을 수신한 22명은 전직 校任이거나 영양지역의 유력한 兩班들이라 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제례는 향촌사회의 유력양반이 참여하고 주도하던 중요한 향촌활동의 하나였다. 위의 자료를 통해 영양에서 실시되었던 제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당시 영양 영양향교에서 시행되었던 釋奠祭의 제례시기와 제례시행의 과정 그리고 운영의 주체, 즉 영양의 재지세력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0.
유기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