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7년 경주향교 통장(通章)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C.1917.4713-20100731.Y10101050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첩
내용분류: 정치/행정-명령-훈령
작성주체 김기풍, 최기수, 이정구,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작성시기 1917
형태사항 크기: 20 X 29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안내정보

1917년 경주향교 통장(通章)
1917년 경주향교직원(直員)〈인명〉김창우(金昌宇)〈/인명〉 등이 경주향교의 수리․보수를 위해 각계인사를 초대하기 위해 보낸 통장(通章).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917년 경주향교의 중수를 위해 많은 인사가 모여서 助力을 해달라는 취지의 향교문서.
내용 및 특징
1858년 경주향교直員〈인명〉金昌宇〈/인명〉가 前參奉〈인명〉金基豊〈/인명〉 등과 함께 향교 重修의 명목으로 발행한 通章이다. 사실상 1910년이후 각 향교의 기능은 成均館經學院으로 변모하여 총독부의 직접적 통제하에 놓인 것처럼 도저히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이 시기의 향교는 군국주의자들의 여러 가지 시책에 따라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였다. 특히 經學院의 명칭을 거론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총독부의 정책이 환히 들여다 보인다고 하겠다.
자료적 가치
1917년 경주향교에서 孔子를 운위하면서 향교의 위상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상에 있어서는 총독부의 향교정책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건이라 하겠다 .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7년 경주향교 통장(通章)
通章
右通告事窃伏惟自生民以來我 大全聖
孔夫子寔萬世百王之宗師也尊信處奉之
節不但縉紳章甫之習熟見聞而雖閭巷婦
孺莫不式焉何者夫子之道大如天地明如日月
信如四時有生者知天地之大有見者知日月之
明有覺者知四時之信故爾肆用經六朝歷五
季而未聞蓮蒿之入▣也矧此我東方崇奉
之儀節亦何如哉國有太學鄕有校宮使人
人知有夫子而尊仰之知明斯道而敎育之于斯
時也 殿宇淸擠宮墻彌高笙鏞諧奇斯文
在玆揖讓有節進退中規籩豆有數栥盛齋
明春以釋菜之節偉矣盛矣多士稗將之禮
濟蹌肅雍則現當文明之世尤宜作氣發熱崇
奉節禮倍於前日之規而趣向多門各宗其敎▣
敎其敎者亦有顯明發越哉百哉千合爲闉禮
有志者發義有資者出力雕飾敎堂香燈簫
管時時祈賽敎吾敎者入于宗師 聖殿起此春
草寂無人之歎哉今校宮之事爲政界管理而
頹廢者修葺之傾覆者改築之且經學院崇衛
之節勸獎之意眷眷不已居是鄕而昔者趍 孚
之縉紳章甫宜其感激軆會肩擔義務合爲同
胞修葺之事 享奉之節誰日誰新▣▣斯
道煥然復明於世則庶可見天日之重▣▣以
若愚劣不揆僣越略陳微旨敬告輪示似▣▣
心儒行之 僉君子閏二月十六日濟濟齋任▣
本校各其注意敎誠爛商協議傳國保存之地
千萬幸甚
丁巳二月初三日校中▣文
前參奉 金基豊
幼學 崔基壽
前直員 李正久
直員 金昌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