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5년 경주향교에서 보낸 통고(通告)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C.1915.4713-20100731.Y10101050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내용분류: 정치/행정-명령-훈령
작성주체 김창우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작성시기 1915
형태사항 크기: 20 X 29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한글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안내정보

1915년 경주향교에서 보낸 통고(通告)
1915년 10월 15일자로 문예구락부에서는 설립 5주년을 맞아 한문전문 강습과 서적편찬에 힘쓸 계획을 세워 전국의 향교로 통장(通章)을 보내었다. 여기에는 조선의 학문을 일으키기 위하여 시문권을 수집, 인쇄하여 전국에 배포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문학을 장려하려는 취지를 관철하기 위하여 4가지 명제를 보내왔는데, 경주향교에서는 다시 보내온 4가지 명제 외에 4가지 시행지침을 첨부하여 관내의 선비들에게 통고하였다. 4가지 명제는 주로 논어, 맹자와 비문, 시문에 韻을 달거나, 賦를 짓는 것으로, 이 명제에 따라 작성된 문권은 기한 내에 향교로 보내도록 하였다. 아울러 4가지 시행지침을 부기하였는데, 보내온 시문권 중 1등에서 5등까지를 선정하여서 상품을 보낸 다는 것과 이들 문권을 수합, 인쇄하여서 다시 보내온 사람들과 타 지역에 배포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시문권을 보낼 때 인쇄비를 첨부하여 보내도록 했으며, 이를 어길 시 인쇄 때 해당 문건은 빼도록 하였다. 이러한 문건을 모아서 보내는 사람은 각 郡面里統戶와 자신의 성명을 상세히 기록하여 보내도록 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이병훈

상세정보

1915년경주향교에서 문예구락부의 통장을 받아서 그 내용을 관내에 전달한 통고(通告)
내용 및 특징
경주향교에서는 1915년 11월 15일에 경성에 있는 문예구락부의 통장(通章)을 받았다. 문예구락부에서는 설립 5주년을 맞이하여 창덕궁전하조선총독부에서 경비를 받았기에 한문전문강습과 서적편찬에 이를 사용하고자 한다고 했다. 당시의 문학이 쇠퇴한 시기로 접어들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하여 장려하여 고무치 않기에 문예구락부에서는 이 뜻을 받아서 조선 전체의 학문을 일으키기 위하여 글과 시의 문권을 수집하여 인쇄 배포하고, 그리해서 문학을 숭상하고 장려하는 도리를 관철하려는 취지로 名題가 내려왔다. 이에 각지에 띄워 배포하고, 책임경내의 各里와 각 학교에 돌려서 배포하고, 선비들로 하여금 빠짐없이 응시 토록해서 제목에 의거하여 글을 지어서 향교로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4가지 시문의 명제와 4가지 시행지침을 내렸는데, 첫째 15행으로 한정하여 맹자에 나오는 문구를 논하고 해제토록 하였다. 둘째, 율시에 韻하도록 했다. 셋째, 解潮洲韓文公廟碑의 시제에 압운토록 했다. 넷째, 논어에 나오는 제명에 賦를 지었다. 이들 네 가지 名題를 저술하여서 1915년 음력 11월 초5일내에 경주향교로 보내라고 하였다. 또한 각 제목의 시문고를 심사하여서 1등에서 5등까지는 상품을 부쳐주며, 보내온 시문의 원고를 수합하여 인쇄하여서 각각 부쳐 보내온 자들에게 1편씩 증정하고, 다른 각지에 배포한다고 했다. 아울러 詩文卷을 지어서 보내오는 사람은 매 1편에 인쇄비로 50전을 첨부하여 보낼 것이며, 50전을 보내지 않은 자의 원고는 인쇄시에 넣지 않는다고 하였다. 시문고를 모아서 보내는 자는 원고 아래에 郡面里統戶와 본인 성명을 상세히 기록하여 보내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경주향교 직원 김창우는 11월 20일자로 경주관내의 모든 동리에 알리기 위해 보낸 통고이다.
자료적 가치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김상환,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5년 경주향교에서 보낸 통고(通告)
敎啓卽本月十五日付京城文藝俱樂部의通章을接準이온바文藝俱
樂部之設立五週年에
昌德宮殿下의 殊恩과 總督閣下의 隆眷을蒙야經費를按月下賜
심으로漢文專門講習과書籍編纂의方在努尤中이온바迨此文學
을 ▣頹之時야不實不獎勵鼓▣야以副當局之此意옵고且全
鮮入學을興起기爲야▣詩文卷蒐集야印刷廣布야文學
崇獎의道를貫徹趣旨로左記와如히名題가來▣얏기玆泛仰布
으니 責境內各里及各學校에轉諸輪佈시와使文學之士로無
漏應試야依題裝送于本校심을▣要

一.古文題 得天下英才而敎育之三樂 論 解孟子 限十五行
一.律詩韻 菊花(香黃▣▣長)
一.科體詩題 文起八代之衰 (押文) 解潮洲韓文公廟碑
一.科▣賦題 講於藝 (解論語)
右▣▣를著作야限本年陰曆十一月初五 內에本校로寄送할事
一.各題詩文稿를考▣야自一等서五等지▣▣▣寄贈할事
一.寄送한詩文稿▣蒐合印刷야各該寄送諸氏의게 一▣式
送呈고 又▣各邑에 廣布할 事
一. 詩文卷著作寄送는 人는 每一扁에 印刷費▣▣▣을添
付寄送할事 但五十餘卷不送는▣稿▣印刷▣不入할 事
一. 詩文稿募送는人은稿下에郡面里統戶及本人姓名을詳細錄送할 事
大正四年 十一月 二十日
慶州鄕校直員金昌宇
義 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