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영양향교(英陽鄕校) 이통(移通)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C.1897.4776-20100731.Y10113099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치통
내용분류: 정치/행정-보고-치통
작성주체 영양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21 X 2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안내정보

영양현의 예방에서 영양 영양향교에 발급한 이통
영양현의 예방에서 영양 영양향교에 발급한 이통이다. 이통은 일종의 통고문으로 알성행차를 소홀히 준비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알성행차는 성균관의 문묘에 있는 공자의 신위에 참배하는 것으로 임금 뿐만 아니라 지방의 명문양반이 참가하는 제례였다. 보통 공신의 후손나 명문학자의 후손, 또는 명문양반들이 참여하였는데 영양에서도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자격에 해당하는 인원들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알성행차가 관의 관리하에 향교에서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유기선

상세정보

謁聖行次와 관련하여 英陽縣의 禮房에서 英陽鄕校에 발급한 移通
내용 및 특징
英陽郡의 禮房에서 英陽鄕校에 발급한 移通, 즉 일종의 통고문이다. 이통의 내용은 明日 謁聖行次가 있으므로 미리 통지를 받아 의례를 거행할 것이며, 東西儒生들도 미리 의례를 준비하여 급박하고 군색하지 않게 거행하라는 내용이다. 謁聖行次는 임금이 成均館 文廟의 孔子 神位에 참배하는 것으로 지방의 儒林들도 謁聖에 참여하였다. 당시 알성의 참여는 功臣의 후손이나 名望이 두터운 학자의 후손, 또는 名門兩班이 주로 참여하였다. 영양의 경우 누가 참여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으나 영양의 명문양반이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고의 내용 중에 향교에서 의례를 거행하고 준비를 철저히 하라는 지시로 보아 향교에서 알성행차의 의례가 행하여 졌으며 당시 東西의 유생들이 모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영양 영양향교에서 시행되었던 알성행차의 모습을 단편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유기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