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6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C.1896.4776-20100731.Y10113092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첩
내용분류: 정치/행정-명령-첩
작성주체 영양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크기: 57 X 25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안내정보

1896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1896년에 영양군수(英陽郡守)영양향교(英陽鄕校)에 보낸 하첩(下帖)으로 학부(學部)의 훈령(訓令)에 따라 향교의 교육행정이 변천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본 문서의 내용에 의하면, 학부의 지시에 의해 대구광역시부(大邱府)에서 작성한 장정(章程)을 추후 향교의 교육장정에 준용하고, 우선 도훈장(都訓長) 1인과 면훈장(面訓長) 8인의 인선선정과 연관된 사항을 성책(成冊)으로 만들어 올리라고 지시하고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상세정보

1896년에 英陽郡守가 앞으로는 英陽鄕校學部에서 제정한 章程에 따라 운영할 것을 지시하는 下帖
내용 및 특징
1896년에 英陽郡守學部에서 보낸 訓令과 大邱府의 訓令을 참고하여 章程을 만들어 鄕校에서도 앞으로 새로 제정된 章程에 맞추어 교육을 시행하도록 지시하는 下帖을 英陽鄕校에 내려보냈다. 이 下帖에 의하면 英陽鄕校都訓長 1人, 面訓長 8人을 별도로 선정하여 천망하고, 大邱府에서 파견한 유생 2명이 齋任 후보자들의 인적사항 등을 기록하여 成冊으로 만들고, 이러한 사항을 監營에 보고하도록 했다.
자료적가치
1894년의 甲午更張을 계기로 하여 朝鮮의 각종 제도는 서구 근대국가들의 제도를 본떠서 近代化의 길을 걷게 되었다. 敎育界에는 學部가 설립되어 교육의 전반적 사항을 관장하였으며 이 때문에 각 지역의 鄕校는 행정편제상 學部에 소속되었고, 鄕校所有의 財政은 新式學校 설립자본금으로 전용되는 등, 여러 가지 변화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본 문서는 이처럼 近代化의 물결과 더불어 변화해가는 향교의 변천과정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경상북도,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6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하첩(下帖)

行郡守爲帖諭事卽到付
訓令據大邱府訓令內具爲
章程左開訓令卽速擧行無至
生梗警責之至向事而擧行已經
程限萬分時急故同章程冊子
玆以帖諭迅送詳究裏許
一一遵行是矣爲先自校中
都訓長一人面訓長八人另擇
薦望後各其姓名及齋任姓
名與大邱府起送儒生二人
依定式罔夜修成冊報來以
爲及公報營是㫆後錄條款
一遵無滯俾免生梗之地爲
宜向事合下仰照驗施行須至
帖者
右帖下 校中
丙申十月十四日
此亦中章程冊子騰
寫後元冊則無滯
行郡守 〔手決〕還上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