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0년 英陽鄕校의 10명이 향교공사에 있어 이미 결정된 각 門中의 비용부담을 독촉해 줄 것을 初4日에 이어 또다시 縣官에게 요청한 牒呈
[내용 및 특징]
1880년 英陽鄕校의 趙,吳,韓,鄭,南,琴,權,朴,李,尹 10人이 初4日의 牒呈에 이어 또다시 英陽縣官에게 올린 牒呈이다. 지난 初4日 英陽鄕校는 각 門中이 鄕校重修 비용을 부담하기로 하였으나 제대로 시행되지 않으니 처분을 바란다는 牒呈을 올렸으며 이에 대해 縣官은 납부의 지연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고 또다시 지연한다면 다시 보고하라는 題音을 내린바 있다. 初9일의 牒呈은 初4日의 牒呈에 대한 縣官의 題音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門中의 비용납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고을의 큰 근심거리가 되는 일이므로 이에 대한 독촉을 요청하고 있다. 初9日의 題音 또한 初4日과 마찬가지로 배분한대로 다시 독촉하여 거두라는 결정을 내리고 있다.
조선후기의 鄕校는 단순한 교육기관이 아닌 鄕中 在地勢力이 집결하고 公論을 형성하던 鄕村機構의 하나였다. 따라서 향교의 祭禮나 重修,移建 등의 큰 일이 있을 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러한 참여를 통해 鄕村사회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었다. 英陽鄕校의 첩정에서도 門中이 향교의 중건에 일정한 부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門中을 중심으로 한 제지세력이 향교의 운영에 깊이 관여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어떠한 門中인지, 또 어떠한 연유로 비용부담에 소극적이었고 그로인해 비용독촉을 받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英陽의 門中이 향교의 운영에 관여하고 있었음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初4日의 牒呈과 연관된 것으로 두 牒呈 모두 조선후기 英陽鄕校의 운영 및 鄕校와 당시의 在地勢力이라 할 수 있는 門中과의 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어떠한 門中이 어떠한 연유로 향교의 중수비용부담을 회피하고 그에 대한 독촉을 받게 되었는지 상세히 알 수는 없으나 향교의 운영에 官 뿐만 아니라 門中, 즉 당시 鄕村의 在地勢力이 깊이 관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1.
조선후기 향교연구, 윤희면, 일조각, 1990
유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