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인년(庚寅年)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XB.0000.4713-20100731.Y1010106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임장, 손윤구, 남홍양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형태사항 크기: 132 X 113
재질: 한지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안내정보

경인년(庚寅年) 상서(上書)
향리에 사는 〈인명〉한규범〈/인명〉의 처〈인명〉이씨(李氏)〈/인명〉가 남편을 따라 순사(殉死)하였으므로 그 정절(貞節)을 기리고 포양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이 지역 유생들이 경주군에 올린 상서(上書).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상세정보

甲寅年에 儒生〈인명〉韓揆範〈/인명〉의 妻〈인명〉李氏〈/인명〉가 殉死한 일을 포양해 주기를 지역 유생들이 경주군에 청원하는 上書
내용 및 특징
庚寅年에 進士 〈인명〉任槳〈/인명〉․幼學〈인명〉孫綸九〈/인명〉․생원 〈인명〉南鴻陽〈/인명〉 등이 남편〈인명〉韓揆範〈/인명〉이 죽자 그를 따라 殉死한 烈女 〈인명〉李氏〈/인명〉에 대해 褒陽 해 주기를 청원하는 上書이다. 상서의 주요 내용을 보면, 〈인명〉韓揆範〈/인명〉이 9월 16일 사망하자, 〈인명〉李氏〈/인명〉는 시어머니 〈인명〉徐氏〈/인명〉를 돌보면서 전혀 내색이 없다가 冬至를 앞둔 날에 목을 매어 자살하였다. 이와 같이 남편을 따라 殉死하는 것은 매우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므로 특히 褒陽해 주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자료적 가치
유교사회였던 조선시대는 남성에게는 忠孝의 이념이, 여성에게는 貞節의 미덕이 강요되었다. 조선후기에는 정치․사회적변화가 심했기 때문에 더더욱 이러한 관념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생활자 자료의 하나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경인년(庚寅年) 상서(上書)
進士任槳幼學孫綸九生員南鴻陽等謹再拜上書于
城主大監閣下伏以徇節蹈烈士▣▣之所難而凡有秉彛者其不凜然起欽愕然興嗟古今之所同賢愚之無間者也民等因 聖殿還安之期聲會于校中時則士林成藪靑衿聯衽數百其麗而聞
鄕人韓揆範李氏死於烈節之報無老少無遠近擧皆酸鼻嘖舌至於呑聲出涕則豈非秉彛之惻隱所同而無間者耶士論峻發不拘其洞▣面報之次第思欲聞之 官家以爲楡楊樹風聲之計伏
乞憐而垂察焉惜乎韓揆範以水▣端雅之士不幸短命寃逝於九月十六日而▣▣掩土矣其妻李氏卽士人李在珩之女而晦齋先生之後也自幼得於家庭閨柵之間濡染之所著動有禮法誠孝之所發極盡永順
隣里若親戚之家聞之已熟丙戌年間斯于韓揆範之家而▣無絶異表出之行一言一動不失尺寸養尊姑以誠敬夫子以禮至於治産業御婢僕各當其道夫黨咸服歲年愈深矣及韓揆範之寃逝也李氏擗踊
號絶若不能自存而卽收淚慰姑以爲子婦之道自殯後惟姑是聽哭泣以時殆無迫切幾微之色葬日旣迫忽入殯室內鎖窓戶其姑徐氏覺而排戶興出馬李氏知其尊姑之德念旣湺守備且嚴同穴之▣已不可遂則
專革弛慮之方一日以權辭言于小姑曰尊姑在堂家無飢寒憂人間薄命此亦幸奚死者已矣吾死無益何但傷吾尊姑爲哉其姑間之錐不嚴備尙未釋慮晝夜與居坐則相守臥則頻撫常察其動靜矣今初八日冬至前一夕
告夢于其姑曰異哉夢已姑曰汝何夢矣李氏曰昨夜夢見夫壻在殯室中間開戶誚余曰婦人何哭泣之甚也余稍必而不止夫壻曰誠悶誠苦如欲見我以冬至月爲期云因問於姑曰何日足冬至姑▣而答曰冬至尙遠矣
是夜姑婦共寢姑乍眠旋覺以手搬之李氏不在乃驚起徧撫李氏坐於閤藏下坐臥處呼之不應發燭視之以成服時所結絞帶解而掛于藏門鎖環而縊其項衣裳端坐顔頒如生而已無及矣鳴呼夫死旬月之間
李氏之心何日不死而不欲顚倒妄擧候間秉時從容就義是豈與世之偏薔匹婦致命於蒼黃急遽之頃者比哉八鎖殯室盖欲同穴而不可則止血願發夢冬至是期而果如其言且揚而致絶自縊者之事而坐不離寸
縊不懸急容易殞命於瞬息之間苟非苦節卓烈出尋常萬萬者安能如是也此等烈節古來之所罕聞今世之所未見也今當式年搜話忠孝烈之時欲擧 旋褒之典則舍此而誰之求乎夫/與不褒無
所損益於李氏而其在澉頹俗慰寃魂之道寧不愈於終致泯滅而無傳于莊敢聯狀齊籲此是近日之事與久遠詳略之蹟有異惟閣下趂式例轉報 營門俾蒙 啓開旋褒之恩事無任祈▣澉
切之至謹冒昧以

庚寅十一月 日 幼學孫星灝 柳相翼 生員 崔祈永 幼學 鄭志道 崔世衡 權重鼎 孫鍾潑 生員李泰祥 幼學李根祥 崔思擎李公祥 金永錫 進士李博祥幼學 李述祥 崔思羽 崔思孝 南軾陽 南有麟 生員崔濟宅
金時魯金晶善徐學俊徐學淳徐克仁鄭潤玉李樹章李孝永金丹德徐德良李相朝 朱宗晦李棠祥李在近崔世永鄭增李魯元權鼎壹李亨黙孫鍾世孫鍾岳朱尙洙
鄭志鴻 曺心海 曺宇海 曺尙海 李得祥 李南祥 李在儆 李在儀 權致楨權致根 孫永驥鄭來翼 李大馹南必陽 李範祥 孫鍾澤 孫鍾淑 任致謙 崔必壽 琴益烈 曺有海
聞極嘉歎更該採詩也 十四日
幼學曺元海 李鼎學 李鼎文 李賢祥生員 李耆祥 幼學 崔世枰 南驥陽 南運陽 任致澤 崔世秉 權致吉 權致祐 李樹文 李觀永 白光袁 黃象五 朴震慶 孫鍾濟 孫鍾湜
朱陽鳳柳震龍柳在渭孫永成孫永澤崔思漢崔思萬鄭德浹鄭馹漢鄭來采任致亮任致永鄭柏儉鄭始儉李曾禧李在湜 李在漢李在淳孫永昊李尹祥南有玉南遇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