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78년 옥계정(玉溪亭) 옥계정계안(玉溪亭契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Z.1978.4889-20100731.Y10426050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옥계정계
작성지역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고삼리
작성시기 1978
형태사항 크기: 25.2 X 16.4
판본: 복사본
수량: 1책(112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한글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1978년 옥계정(玉溪亭) 옥계정계안(玉溪亭契案)
현재 합천댐 건설로 수몰된 경상남도합천군옥계동(玉契洞) 일대에서 시행되었던 옥계정계(玉溪亭契)의 역대 계원 명부이다. 원래 옥계정계는 조선시대 때 이곳에 거주하던 양반들이 중심이 덕목을 서로 권하고 행하며,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이웃 간 상부상조(相扶相助)를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당시 계원들의 이름을 기재해 놓은 동안(洞案)이 지금 옥계정에 남아 있는데, 「옥계정계안」은 이때의 동안들을 집대성해서 1978년에 간행한 것이다. 한편, 옥계정계는 20세기를 전후해서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1954년에 다시 복구되었다. 본 자료에는 이 기간 동안의 계원 명단도 함께 정리하여 수록해 놓았다.
이광우

상세정보

지금의 경상남도합천군봉산면 일대에서 시행된 玉溪亭契의 역대 계원 명부로 1978년에 간행
卷之一, 卷之二
[내용 및 특징]
17세기 중엽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玉溪亭契의 계원 명부이다. 옥계정계는 지금의 경상남도합천군봉산면 일대에서 시행되었던 일종의 洞契이다. 동계는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이 향촌 지배질서 확립을 위한 수단으로 洞里 별로 널리 시행하였었다. 「玉溪亭契案」은 동계의 일종인 옥계정계에서 활동했던 계원들의 명단을 17세기 중엽부터 1978년까지 모두 망라하고 있는 자료이다.
옥계정계가 실시되었던 옥계동은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경상도三嘉縣에 속했으며, 1980년대 초반 합천댐이 건설되면서 이곳이 수몰되기 전까지는 합천군봉산면노파2구 일대에 속하던 지역이었다. 지금은 고삼리에 편입되어 있다. 옥계정계의 본래 이름은 동리의 이름을 따 옥계동계였다. 하지만 17세기 이곳에 玉溪亭이 설립되면서 정자의 이름을 따 동계의 이름을 옥계정계로 바꾸게 되었다. 현재 옥계정합천댐 건설 이후, 述谷里로 위치를 옮긴 상태이다. 옥계정에는 옥계정계 관련 자료로 「洞案 甲申二月十九日修正」(1704), 「洞案 己亥年修正」(1719), 「洞案」(1685~1701), 「洞案 新案」(1685~1766), 「洞案」(1735~1765), 「玉溪洞先案」(1786), 「玉溪洞先案」(1816), 「玉溪洞案」(1798), 「玉溪洞案」(1884), 「玉溪亭續契名案 乙未十一月」(1955~1980), 「玉溪洞內扶助節目」(1774)이 보존되어 있다.
옥계정계 자료 중 「옥계동내부절목」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는 모두 계원의 이름을 기록한 洞案인데, 「옥계정계안」은 이상의 역대 동안을 집대성해서 간행한 후 당시 계원들에게 배포한 것이다. 본 자료에는 앞선 동안에 나타나 있지 않은 역대 계원들의 본관과 생몰연대, 대략적인 계보와 이력이 기재되어 있어 옥계정계 구성원들의 성격을 파악 할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옥계정계안」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에는 玉溪洞案節目과 完議文, 그리고 역대 옥계정계의 계원 명단이 입록 시기 순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2권에는 옥계정계가 20세기 전후해서 중단되었다가 1954년에 복구되면서 만들어진 서문과 1978년까지의 계원 명단을 기재하고 있다.
먼저 1권의 옥계동안절목에는 중국北宋 때 呂氏형제에 의해 만들어진 藍田鄕約을 통해 옥계정계 실시의 명분을 찾고 있다. 『小學』과 『朱子大全』에 수록된 ‘朱子增損呂氏鄕約’의 내용을 바탕으로 동계 실시의 의의를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즉 향약의 4대 강령을 바탕으로 봄과 가을 講信禮 때 有司와 公事員, 그리고 계원들이 모여 讀約을 하고, 善籍과 惡籍을 만들어 서로의 행동을 규제하고 삼가자는 내용이다. 그러면서 계원에게 喪事와 같은 어려운 일이 생기면 相扶相助 할 것을 바라고 있다. 성리학적 생활 규범이 가미된 ‘주자증손여씨향약’을 동계 실시 명분에 접목시키는 것은 조선후기 이후, 각종 契의 실시에서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절목 마지막에는 옥계정계 운영과 관련된 두 가지의 간단한 조항이 기재되어 있다. 일정량의 곡식을 모아 喪事 때 부조하는데 사용할 것과 곡식이 남는다고 낭비하지 말 것을 규제하는 내용이다. 옥계동안절목의 작성시기와 찬자는 확인되지 않는다.
완의문에는 완의의 목적과 5개조의 운영 조항이 부기되어 있다. 완의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扶植洞風’과 ‘振起紀綱’에 있음을 밝히면서, 근래에 동내의 풍속과 기강이 해이해졌다며 동계 운영의 주체가 되는 士林들의 자기 규제를 당부하는 내용이다. 아울러 洞案에서 削去되는 잘못된 행동들을 열거해 놓았다. 1719년에 만들어진 「洞案 己亥年修正」에도 완의와 10개조의 조항이 부기되어 있는데, 본 완의문은 조항을 제외한 이때의 완의와 동일하다. 다만 뒤에 몇 구절을 추가한 정도이다.
완의문 뒤에는 동계의 운영 양상과 성격을 파악 할 수 있는 조항 5개조를 수록하고 있는데, 「洞案 新案」(1685~1766)에 기재되어 있는 5개 조항과 동일하다. 5개 조항의 대략적인 내용은 ‘하나, 봄과 가을 仲月에 講信禮를 열어 上下의 과실을 바로 잡을 것’, ‘하나, 初喪과 成殯 때는 일꾼을 20명씩 뽑아 쓰고, 造墓 때 동원하는 일꾼은 上喪에 100명, 中喪에 60명씩 뽑아 쓰며, 常人의 조묘 때는 30명을 뽑아 쓰되, 洞有司가 일일이 뽑아 동원에 불응하는 자는 각기 治罪 할 것’, ‘하나, 강신례 때 洞員이 아무런 이유 없이 한두 번 불참했을 경우에는 損徒하고 세 번 불참하면 削籍하되, 상인이 불참하면 笞 20대를 때리고 연이어 불참하면 科罪 할 것,’ ‘하나, 다른 동리에 거주하는 동원의 葬事가 있을 때, 장사지내는 곳이 본 동리에 있으면 본 동원의 예에 따라 100명의 일꾼을 뽑아 쓰게 하고, 장사지내는 곳이 다른 동리에 있으면 동원하는 일꾼을 반감할 것’, ‘하나, 다른 고을에서 본 동리로 이주해온 자가 다른 고을에서 장사를 지낼 경우, 거리가 먼 곳이면 일꾼들이 부역하기 어려우니 동원되는 일꾼 수만큼 每名에게 白米 1升씩 거두어 대신 지급할 것’이다.
이상 완의 5개 조항은 동계 운영상의 처벌 조항과 상장례 때의 부조 규정을 결의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옥계동계의 성격과 구성을 간접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이 중 주목할 것은 봄과 가을에 상인과 하인의 과실을 규정한다는 조항과 초상과 성빈 때 상인, 중인, 상민에 따라 동원되는 일꾼의 수가 다르다는 구절이다. 옥계동계가 一洞의 사족들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족과 중인, 상민들이 모두 참여하는 동계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은 향촌 내 지배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庶孼・常民・賤民 등 향촌 구성원 전원을 참가시키는 동계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였다. 당시 사족들은 향촌의 동계 조직을 이용하여, 향촌 내 하층민들을 통제하며 지배질서를 확고히 하려 했던 것이다.
옥계동안절목과 완의문 다음에는 역대 계원 명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갑인(1704)년에 修正한 동안을 시작으로, 庚寅(1710) 수정 동안, 乙丑(1685), 己亥(1719) 수정 동안, 丙寅(1686), 癸酉(1693), 庚辰(1700) 7월, 경진 8월, 辛巳(1701), 丁亥(1707), 辛卯(1711), 丁酉(1717), 戊辰(1748), 庚辰(1760), 乙未(1775), 辛丑(1721), 乙卯(1735), 丙辰(1736), 崇禎紀元後 百五十年 丙午(1776) 改修 동안, 戊辰(1748), 甲申(1764), 乙巳(1785), 聖上 二十年 丙辰(1796), 聖上 二十二年 戊午(1798), 甲申(1764), 崇禎紀元後 百八十年 丙子(1816) 개수 동안, 崇禎 五庚午(1870) 3월 先案 補遺 동안, 숭정 5경오 4월 時案 수정 동안, 崇禎 五甲申(1884) 3월 시안 수정 동안을 차례로 수록하고 있다.
이상은 조선시대 때 작성되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 8책의 동안을 집대성한 것이다. 따라서 당대에 새로운 계원을 추록한 것, 후대에 선대 동안을 수정한 것, 후대에 선대 동안을 보충한 것 등 기재 방식은 일관적이지 않다. 또한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동안처럼 당대의 契任과 그들의 手決은 없다. 그리고 이전의 동안에는 칼로 이름을 도려낸 削名의 흔적이 다수 발견되는데, 「옥계정계안」에는 당시 삭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모두 복원되어 있다. 당시 삭명은 향촌 내 갈등이 노정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여겨진다. 1권의 역대 계원 명단에는 총 715명이 기재되어 있다. 姓貫별로는 慶州崔氏 217명, 咸從魚氏 130명, 淸州慶氏 68명, 義城金氏 67명, 陜川李氏 32명, 그리고 昌寧曺氏와 恩津宋氏 순이다. 朴씨도 59명 확인되는데, 이중 高靈朴氏 21명, 密陽朴氏 14명으로 본관이 나타나 있지 않은 박씨의 대부분은 고령박씨로 추정된다. 그 외 安東權氏・晋州柳氏・星山全氏・八溪鄭氏・咸陽吳氏・軍威方氏・玄風郭氏・居昌劉氏・南平文氏・密陽孫氏 등이 나타난다.
대체로 옥계정계는 경주최씨와 함종어씨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까지 누적 인원수에서는 경주최씨가 함종어씨보다 거의 두 배 정도 많은데, 18세기 중반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양상이다. 실제로 「옥계정계안」에서 확인되는 양 가문의 계원 수를 18세 중반인 무진(1748) 10월 초7일 講信 때의 추록 동안을 기점으로 살펴보면, 1748년 이전까지 양 가문의 계원 수는 경주최씨 35명, 함종어씨 36명으로 오히려 함종어씨가 1명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후부터 1884년까지 양 가문의 계원 수는 경주최씨 182명, 함종어씨 94명으로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동안의 입록시기를 연도 별로 살펴보면 후대로 갈수록 두 가문의 격차는 더욱 급격하게 나타남이 확인되는데, 18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옥계정계 운영에 있어 경주최씨들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옥계정계안」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추록 당시의 계임 분포를 조선시대 때 작성된 동안을 통해 살펴봐도 경주최씨의 비중이 좀 더 높아짐이 확인 된다.
한편, 1권에 수록된 인물의 이름 아래에는 細註로 해당 인물의 본관, 字, 생몰연대, 간단한 이력, 계보 등이 기재되어 있는데 일률적이지는 않다. 본 책이 작성될 당시 가문별로 선조들의 업적을 族譜나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계보가 끊긴 인물이나 자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부족한대로 기재하거나 비워두었다.
「옥계정계안」 2권은 20세기를 전후해서 중단된 옥계정계를 1954년에 복구하면서 만든 「玉溪亭續契名案 乙未十一月」(1955~1980)과 동일한 내용이다. 「옥계정속계명안 을미11월」은 옥계정계가 복구된 이듬해 만들어진 계원 명부로 1980년까지 계원을 추록한 것인데, 「옥계정계안」 2권에는 1978년 추록 인물까지만 수록하여 간행하였다. 2권은 1958년에 작성된 金永善의 서문과 계원 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서문에는 옥계정이 새롭게 복구되는 과정이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합천을 지나는 香江옥계 사이에 8~9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옥계의 서쪽 언덕에 정자가 있으니, 하천의 이름을 따 옥계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 옥계정에는 存養齋 宋挺濂이 記文을 작성했으나, 지금은 허물어져 그 터조차 모르는 상황이라 하고 있다. 현재의 옥계정1959년에 중건된 것으로, 합천댐 건설로 술곡리에 移建되었다. 이어 옛적 마을의 현자들이 옥계정蘭亭에서처럼 시를 읊고, 藍田의 향약으로 서로 권장하고 부조했었다고 언급하고 있어, 이곳에서 옥계정계가 결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마침 근래에 玉溪洞案 9책이 魚씨 집안에서 발견되었고, 옛 전통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1954년에 崔基煥이 중심이 되어 옥계정계를 부활시켰다고 한다. 서문을 작성한 김영선은 옥계동안에 이름이 수록된 金極敏의 후손이며, 최기환과 당시 옥계정계를 부활시킨 마을사람들도 역시 동안에 나오는 역대 계원들의 후손이다. 한편, 서문에서 김영선은 마을 故老로부터 옛적 마을에 洞規와 동안이 있어 사람들이 함부로 不義를 행하지 못했으며, 그 條例가 매우 엄밀했다는 말을 젊은 시절에 들었다고 회상하는 부분이 나온다. 김영선1894년생이고, 조선시대 동안 중 가장 근래 것이 1884년에 만들어진 「옥계동안」임을 감안할 때, 20세기 전후해서 옥계정계가 중단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서문에는 속계가 이루어질 때,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많고, 기존 동안에 수록되어 있는 선조의 계보를 명확히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 속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서문 다음에는 1954년 속계 당시의 계원 명단이 본인 성명, 字, 생년 干支, 本貫, 해당 인물의 顯祖, 아들의 성명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명단은 1954년 속계 당시의 인원을 기재하고, 이후 추록된 인원을 기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1954년 속계 당시의 인원은 모두 171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성씨별로는 慶州崔氏 43명, 淸州慶氏 21명, 義城金氏 21명, 咸從魚氏 19명, 昌寧曺氏 14명, 恩津宋氏 14명, 高靈朴氏 12명, 安東權氏 11명, 晋陽柳氏 7명, 星山全氏 5명, 咸陽吳氏 4명이다. 성씨별 분포를 보았을 때, 당시 옥계정계를 경주최씨・청주경씨・의성김씨・함종어씨 등의 가문이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시대 때 작성된 동안에서도 확인된다. 계원의 수는 「옥계정속계명안 을미11월」과 약간 차이가 나는데, 새롭게 간행되면서 입록 시기에 조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계원들은 연령순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최고령자는 1954년 입록 당시 75세였으며, 20세 전후의 청년층도 다수 이름을 올리고 있다. 계원들의 거주지는 魯坡, 社倉, 述谷, 竹竹, 磻溪 등으로 모두 옥계정계가 실시되었던 옥계동과 그 일대의 마을 이름이다.
옥계정계 복구 당시의 계원 명단 다음에는 1956년부터 1년 또는 최대 4년 간격으로 추록된 계원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1978년까지 모두 100명이 추록되어 있다. 그런데 추록 계원 중에는 옥계정계 복구 당시 계원 명단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南平文氏・密陽朴氏・軍威方氏・陜川李氏 등이 다수 나타난다. 이들 성씨는 조선시대 때 작성된 동안에서 다수 확인되는 성씨로 복구 당시 누락되었다가 나중에 추록된 것으로 여겨진다. 명단의 기재방식은 복구 당시의 것과 동일하며, 외지로 이주한 계원의 경우 외지 거주지를 기재해 놓았다. 대체로 후대로 내려갈수록 추록 인원은 줄어드는데, 대도시로의 인구유출에 따른 농촌 인구 감소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옥계정계안」 편찬에서 가장 큰 특징은 어느 현조의 후손임을 명시해 놓았다는 것이다. 경주최씨는 崔慶文, 함종어씨는 魚化鯤, 청주경씨는 慶發, 昌寧曹氏는 曹敬德, 安東權氏는 權克纘, 恩津宋氏는 宋挺濂을 현조로 삼고 그 후손임을 기재해 놓았으며, 나머지 가문들도 각기 어떤 현조의 후손임을 명기해 놓았다. 「옥계정계안」 편찬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같은 현조를 공유하는 일족 간의 결속력 강화에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洞里 별로 널리 결성되었던 洞契의 시행 추이와 현대사회에 있어서 동계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는지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후기에 접어들면 재지사족들은 향촌의 효율적인 지배를 위해 상・하인이 모두 참여하는 동계를 실시하게 되는데 옥계정계도 그러한 목적 하에 시행되었다. 「옥계정계안」에는 현재 남아 있는 동안을 총 망라하고 있어 17세기 중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입록된 계원들이 모두 나타난다. 이들의 입록 양상은 조선후기 옥계정계 실시의 추이를 알 수 있게 해준다. 한편, 해방 이후 한동안 중단되었던 옥계정계가 복구되고, 당시의 계원과 서문이 「옥계정계안」에 수록되어 있다. 이때의 동계는 조선시대 때 재지사족들의 향촌지배와는 관련은 없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옥계정계 운영의 주된 목적은 선조들의 전통문화 및 정신계승, 향촌 내 결속력 강화, 일족 간의 친목 도모에서 찾을 수 있다.
『鳳山鄕誌』, 박문목, 慶尙南道 陜川郡 鳳山面, 1982
『大邱史學』26, 申正熙, 大邱史學會, 198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陜川댐水沒誌』, 慶尙南道, 慶尙南道, 1988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78년 옥계정(玉溪亭) 옥계정계안(玉溪亭契案)
玉溪亭契案
玉溪洞案節目
噫라藍田呂氏鄕約之規―其來己久而盖其本意는正風俗興
禮義也라世降俗末하야遵之者鮮矣라然이나昔我先父老―
慨其風俗之頹敗하야與一洞上下老少로結爲鄕約而―吊死
問生과患難相救을一遵條例하고春秋講信時에는上下가分
等設席하야整齊座定後에公事員有司가別席座中하야以鄕
約節目之義로曉喩上下然後에善善惡惡을摘伏無隱하고賞
罰輕重을終始不渝者―百有年所라挽近以來로人心이不古
하야日漸降殺하야名分이紊亂하고紀綱이解弛하야將至於
無謂之境하리니可勝惜哉며可勝歎哉아繼自今으로另加惕
念하야嚴守舊規하야不拘私情하고唯行公道하야善者을賞
之하고惡者을罰之하며春秋講信時에標而出之하라至於錢
穀則兩有司가主之而確議善處나然이나勿循私淸하고且洞
案托名之員은勿論外內喪而이正租一石式扶助하야以補葬
用之萬一者넌原其傅來節自中葬時顧助는米太条也라一定
規目之後에永爲互式施行이千萬幸甚이라
一夏牟秋租을撙節儲積하야深藏不費하야務助喪葬事라
一秋收後에意謂洞中之穀을無用而―無限浪費하고酗酒團
欒하며濫食無節하고是非多端하야平地起鬧하고滿
座紛紜하야不省敬丈之道하고不知名分之正하니士風民習
이由是而毁焉이라浪費會飮을一切禁斷事라
完議文
右完議는爲扶植洞風하고振起紀綱事라惟我洞風이素稱純
厚而―近年以來로禮壞俗薄하야人各其心하야少不知長하
고賤不知貴하며至於論議之際에도妄自尊大하야或以位卑
而言高하며或以年少而橫議하야不以長老로爲長老하고不
以執綱으로爲執綱하야壞亂洞風하고任意自行하니揆諸風
俗에誠可寒心이요視諸軆面에亦可痛焉이라自今以後로如
有濫越之人이橫議洞論과及言辭暴慢者을不同鄕井하고削
去洞案事
風俗之美와禮讓之習이出自士林而―所謂士林이先失其儀
하야或凌忽長者而不遵其敎하고或造言搆虛하야以害同類
하고或揚臂戟目하야歐打人之子弟하고或在醜相爭하야以
杖相加하고或不顧廉恥하야貪求賂物而―汚毁士風하고或
高聲叱辱하야恣行無忌而至使人人으로效則而―爲下流而
―實自此人이리豈不痛惜而―寒心乎아其源이淸則其流가
無有不淸하니自今以後로如有亂源混流之人則一一削去洞
案하야切勿許付事
凡干公事에洞內則付之於公事員及洞有司而―公事員이如
有失次之過則開釋義理하야竢其改하고自餘는年少及未可
執論洞議之人이妄自喧嘩하야紊亂是非者則削去洞案事
一春秋仲月設行講信糾正上下過失事
一初喪成殯軍二十名式抄給事造墓軍則上喪則百名中喪
則六十名常人則三十名洞有司一一抄給如有不立者各
別治罪事
一講信時洞員無緣不叅則嚴正問責事
一他里洞員葬事時葬地在於本里則一依本洞員例抄給百
名葬地若在他里遠處則半減事
一自他關來居入洞之員營葬於他關遠地則軍丁之赴役爲
難一依軍丁數每名白米一升式收捧代給事
玉溪洞先案
魚化鯤【咸從人字千里樂安敎授護軍公諱孟渾五世孫

曺敬德【昌寧人字得而號葆溪生嘉靖丙辰仁廟癸未歷將仕郞安陰敎授以學行文章
爲世所宗李蘆坡屹稱三古先生許文正公穆稱隱德君子林林谷眞怤作傳見文集

權克纘【安東人字述夫太師公諱辛二十四世孫入三嘉監正公諱執德八世孫戶曺佐郞

朴昌龍【密陽人字號篁岩十世居喪如老成有文學遊鄭桐溪李蘆坡

金克敏【義城人字士行號磻谷麗朝奉翊大夫純誠保理功臣兵部判書義城君南坡先生諱
光富八世孫孝子贈宗簿寺主簿德灘先生諱斗南長子生宣廟辛卯顯廟庚
以孝行肅廟丙戌復戶有實記

權銓【安東人字佐郞公諱克纘子卒

曺爀【昌寧人字孔道葆溪公諱敬德長子生萬歷辛丑孝廟庚寅

安光遠
魚昇級【咸從人字子雲敎授公諱化鯤長子生戊子

金八諧【義城人字休伯號蘆湖磻谷公諱克敏長子生光海庚戌顯廟庚戌有孝行

曺亨彦
宋挺濂【恩津人字繼孟號存養齋生光海四年通政大夫司憲府執義司諫肅廟十一年
古岩祠新川祠有文集

崔英立【慶州人字卓天生萬歷戊申崇禎庚戌

崔俊立【慶州人字汝秀號肯守堂通德郞遊蘆坡李屹門生癸丑丁卯

魚尙級【咸從人字子瞻敎授公諱化鯤第二子

曺炫【昌寧人改名夏尹字孔學葆溪公諱敬德次子生萬曆庚申肅廟甲子

宋挺漢【恩津人字成叔通政大夫生辛酉丁亥雙淸堂諱愉

宋挺謙【恩津人字恭叔號梅淸生天啓壬戌仁廟壬申雙淸堂諱愉

魚翰級【咸從人字子一贈通訓大夫軍資監正敎授公三子生庚申

慶發【淸州人贈通政大夫掌樂院政

魚雲級【咸從人字子雲敎授公四子生戊寅

魚光漢【咸從人字君平敎授公孫生己丑壬申

魚昭漢【咸從人字君中敎授公孫生戊辰戊寅

金八和【義城人字成彦號蘆村磻谷公諱克敏次子生仁廟癸酉肅廟戊寅以孝行
肅廟丙戌復戶有實記

李馦【陝川人字子聞生顯廟庚戌肅廟己未公州牧使諱洽八世孫

崔慶久
崔慶章【慶州人字善則

魚振漢【咸從人字雲中敎授公孫生乙未

崔慶文【慶州人字顯哉號澗谷齋公壽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生仁廟己卯英廟乙亥有文集

宋之望【恩津人字望之生仁廟癸未肅廟丁丑

宋之楷
宋之昌【恩津人字昌之生仁廟丙戌肅廟壬午


宋之泰
宋之橚【恩津人字汝肅生仁廟丁亥肅廟壬午

朴天生【密陽人字聖生號講齋密城君諱彦忱其上祖吏曺叅判拙堂諱聰其五代祖也壬亂
有功階嘉善大夫中樞府事

權仁龍
全大生【星山人九世孫宗國

全元【世孫致順

文弘立
文成立
朴起善【密城人字善承號雲松講齋公諱天生子才氣超凡四書三經如誦己言

朴起新【密城人字和中號松岡講齋公次子

全寬【星山人十一世孫炳淳

全雲立【星山人九世孫宗燮

權士發
金英發
朴起業【密城人字孔甫號雲菴講齋公三子有儒行

甲寅二月二十九日修正
全寶
洪之甲
全次吉【星山人十一世孫德根

金得宗
劉騎龍
庚寅三月日修正
李由禮
李由根
全江吉【星山人十一世孫炳珍

曺克昌【昌寧人字士章生孝廟甲午肅廟庚寅

金泰鳴【義城人字達夫號香溪蘆村公諱八和子生顯廟辛丑景廟辛丑以文學孝行
爲世推重有文集

安尙履
魚起漢【咸從人字起輔敎授公孫生己亥

魚達漢【咸從人字達彦敎授公

乙丑三月二十三日講信
全成元
柳彭年【晋州人字處和壽資叅判甲午庚子

全時元
宋之栻【恩津人字敬修號松風齋生仁廟十四年從仕郞卒肅廟某年存養齋諱挻濂長子
有文集

己亥二月日修正
慶有禧【淸州人掌樂院政諱發子

魚翼漢【咸從人字士中敎授公孫生肅廟己巳辛巳

崔慶餘【慶州人字善叔號無是翁生仁廟壬午景廟辛丑

安垕
崔慶輝【慶州人字章司宰主簿仁廟甲申肅廟丁亥

崔慶碩【慶州人字述生仁廟丁亥肅廟丁亥

魚明漢【咸從人字漢甫行禮賓主簿贈通政大夫工曺叅議敎授公孫生辛卯辛卯

魚順道【咸從人字順卿敎授公後生壬辰戊戌

崔慶新【慶州人字子成號五竹軒承先齊家律身警後生孝廟壬辰英廟乙巳

宋之相【恩津人字汝修通德郞生戊子己丑雙淸堂

魚直道
魚益道【咸從人字益卿敎授公後生癸卯甲子

慶有新【淸州人贈通政大夫刑曺叅議掌樂院政諱發

慶有祥【淸州人掌樂公

丙寅十二月二十日講信
曺賜昌【昌寧人字士介生顯廟壬寅肅廟壬辰

魚在溟【咸從人字在卿敎授公後生卯卒

崔應泰【慶州人字叔瞻陞通訓大夫孝事二親樂宜三棣生肅廟乙巳英廟壬戌

癸酉十二月二十日講信
韓信翼
鄭文周【八溪人字君聖生戊寅己卯

柳晋晶
李榮業
柳晋源
慶有楨
慶延泰【淸州人字聖之嘉善大夫工曺叅判掌樂公

慶延怕
崔慶華【慶州人字善之

魚澈漢
慶延績
崔應華【慶州人字季瞻以孝行鳴于世有文集生
顯廟辛亥英廟癸丑

崔應星【慶州人字仲明生顯廟辛亥英廟癸酉

宋挻泰【恩津人字泰叟號雙棣軒生天啓戊辰肅廟癸未

宋之瑞【恩津人字汝信生孝廟丙申肅廟丙申

宋之{忄+百}【恩津人字悅夫生孝廟戊戌肅廟甲申

安性堯
魚遇漢【咸從人字汝大生己酉壬辰敎授公

魚弼道【咸從人字道卿生肅廟甲寅壬子

慶延益【淸州人掌樂院政發

崔應世
全儀達
朴順初
朴時興【密城人字敬叔號月菴拙堂諱聰後聰明正直勤儉純厚鄕里所稱

金孝賢
文震章
朴震興【密城人字震甫號月溪拙堂公後賦性寬厚多有救急

權萬鎰
全有望【星山人十一世孫石大

權萬泰
朴東興【密城人字敬文號月岡拙堂公後孝與壽階通政

朴東震
朴世達
庚辰七月二十九日講信
林東遇【恩津人成均生員村谷諱眞○後

宋時徵【恩津人字天休號逸志軒司馬生肅廟丁未癸未

宋夏徵【恩津人字士亭生肅廟己酉丁酉

崔應漢【慶州人字善甫

崔南擎【慶州人字汝柱號止定菴生肅廟丙戌正廟癸卯

朴弘發
李榮弼
郭元振
朴尙建
庚辰八月二十二日講信
鄭昌周
慶延緖【淸州人字允之生顯廟乙巳掌樂院政諱發

慶延紀【淸州人字應之生顯廟甲寅掌樂院政諱發

慶延鼎
朴重興【密城人字敬千拙堂公後孝于兩親睦于宗族

魚得溟【咸從人敎授公

崔應斗【慶州人字爾仲壽階通政大夫生顯廟辛亥英廟甲子

慶時建
辛巳三月十九日講信
朴元興【密城人字敬敏拙堂公後學以爲巳不求人知

宋壽徵【恩津人字仁甫生癸丑卒辛酉雙淸堂諱愉

宋麟徵【恩津人字明甫生肅廟壬戌英廟己巳雙淸堂

曺順昌
崔應崙【慶州人字大瞻號德菴溫恭慈仁學問有餘生肅廟己未英廟戊申五竹軒

魚水道【咸從人字水卿敎授公後生戊午癸丑

魚弼星【咸從人字汝卿敎授公後生庚申壬子

安世雄
李震弼
文三錫
方以正【軍威人字以世號講菴贈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兵曺判書无欺堂諱有寧六世孫

丁亥三月二十七日講信
崔應天【慶州人字君彦生仁廟庚辰乙亥

崔應奎
崔慶大
崔應鳳【慶州人字仕祥

魚北溟【咸從人字溟益敎授公後生肅廟戊午景廟戊午

鄭始彬
慶時來【淸州人字義甫

魚遨溟【咸從人字子欣壽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敎授公後生肅廟辛酉卒英廟丙子

柳虎文
金燧
崔應明【慶州人字明守生肅廟丁巳英廟丁巳

崔應巘
柳壽玉
崔應翼【慶州人字益之生肅廟壬戌英廟丙子

李秀明
崔鳴大
魚弼河【咸從人字允卿敎授公後生戊戌丙午

慶大來【淸州人字道長

魚弼海
魚好淵【咸從人字盛大贈司憲府持平事載三嘉邑誌敎授公

全以中【星山人十一世孫命判

全性
全以章【星山人十一世孫甲龍

權萬安
朴泰英【密城人字文善拙堂公後孝友睦族人多欽仰生

權萬觀
金泰萬
柳再郁【晋州人字叔卿壬戌丙子

朴泰建【密城人字文玉拙堂公後生乙丑辛卯

朴玉成
鄭始相
鄭始彩【八溪人字彩卿生庚寅壬辰

辛卯九月二十九日講信
崔應徵【慶州人字聖瞻號蘆溪博學多聞士友推重生肅廟癸未英廟壬戌五竹軒子

曹以性【昌寧人字誠仲生肅廟戊辰英廟丙子

曹以寬【昌寧人字希仲生肅廟己巳英廟癸丑

崔元大【慶州人字元甫生肅廟庚午英廟庚寅

魚有演【咸從人字汝徵敎授公後生肅廟己巳

魚躍演【咸生從人字汝于敎授公後肅廟某年卒乙巳

金昌胤【義城人字宗遠號臥軒香溪公卒諱泰鳴子坐肅廟庚午英廟壬午有孝行不屑
擧業屛居林泉講明道義有文集

崔南老【慶州人字遠伯生肅廟丁酉卒正廟某年主簿

丁酉十二月二十六日講信
崔應參【慶州人字漢俊生顯廟甲辰純廟乙酉

崔貞大【慶州人字貞甫生肅廟壬午正廟丁酉

崔南斗【慶州人字士仰號茅蘆生肅廟正廟有文集配享玉溪書院主簿公

魚錫仁【咸從人字台瑞敎授公後生英廟辛酉辛酉卒

魚泰演
李世大
魚長演
崔虎大
魚錫麒
鄭天僑
魚從演
魚錫點
金元五
柳命煒
崔垕【慶州人字季用生英廟癸未正廟己酉主簿公

魚錫鳳
崔日柱【慶州人字春和生景廟辛丑

戊辰十月初七日講信
魚錫龍
魚成演
魚重演
魚用華【咸生從人字汝夏敎授公英廟己未乙未

崔宗柱
柳命樞
金秀元
李世春
魚世演
柳命燦【晋州人字性仁老職通政生戊子丙午

李世根
崔廷柱
庚辰十月二十四日講信
鄭元僑
金興甲
曺姬周【昌寧人字肅廟戊戌卒文甫生正廟壬子

魚錫泳
魚錫凰
魚用南【咸從人字士爲敎授公後生丁卯庚子

朴致斗【高靈人字大叔通政大夫工曺叅議英廟己卯癸未

曺澤周
魚得演
曺學周【昌寧人字士彦生英廟戊午純廟丁卯

崔元柱
金尙郁
崔任大
柳陽一
金尙鎔
乙未十月四日改修正
權泰得【定東人字得中佐郞公諱克纘曾孫

權泰興【安東人字直哉佐郞公德岩公諱克經曾孫

權泰胄【安東人字用甫號三老堂佐郞公出系曾孫

柳壽彬
崔應嵂【慶州人字士瞻號德軒溫恭慈仁津身以儉生肅廟辛未英廟辛未五竹軒諱慶


魚弼龍【咸從人字大卿敎授公

魚遇淵【咸從人字台彦敎授公

柳壽斗
李秀輝
魚九淵【後咸從人字汝初敎授公

曺以亨
崔應嶷【慶州人字斗瞻號而瑞敦行孝友知名士友生肅廟甲戌英廟庚辰五竹軒

魚秀溟
魚大淵
慶重來【淸州人字吉甫嘉善大夫副護軍掌樂公

慶淸來【淸州人字仲甫掌樂公

辛丑十二月初二日講信
權泰衡
李世英
崔應箕【慶州人字貴大生英廟辛卯戊子五竹軒

崔致大【慶州人字亨五生肅廟甲戌

慶必來【淸州人字賢甫掌樂公

柳再弘
崔亨大【慶州人字亨甫生肅廟癸酉英廟乙亥

曺以誠【昌寧人字仁仲生肅廟戊寅英廟癸巳

崔利大【慶州人字能甫生肅廟丁丑英廟己未

慶處演
崔秀大
魚守演【咸從人字汝瞻生肅廟壬午己卯

慶會萬【淸州人字元滲掌樂公

金光一
崔顯大【慶州人字德夫壽階資憲大夫生肅廟庚辰正廟辛丑

魚喜淵
金光三
柳再輔
乙卯三月初三日講信
柳堈【晋州人字仲卿望日齋諱泳後生顯廟癸丑英廟辛未

鄭始成
崔垕大【慶州人生肅廟壬午英廟庚午

魚厚演
鄭始杰
曺以貞
崔彦錫
金萬錠【義城人字重汝號香川臥軒公諱昌胤長子肅廟壬辰英廟壬午至誠孝友人多
畏敬

崔永錫
慶碩來
崔處大【慶州人字聖甫生肅廟庚寅英廟丙申

魚錫龜【咸從人字樂中生肅廟乙酉癸未敎授公

崔鳳大【慶州人字鳳一生肅廟辛卯景廟戊辰

柳命煥
柳海明
曺以勲
丙辰四月初三日講信
朴時賢
安尙參
魚善溟【咸從人字爾欽生己丑甲申敎授公

魚錫鵬
崔致德
崔聲大【慶州人字昌甫生肅廟壬辰正廟壬寅

曺弼周【昌寧人字文汝生肅廟乙未英廟丙申

慶會一【淸州人字愼滲掌樂公

崔經錫
慶會億【淸州人字壽卿掌樂公

崔東大
慶德咸
朴承賢
朴成賢
崇禎紀元後一百五十年丙午十一月初六日改修正
崔南垕【慶州人子厚伯號睡軒生肅廟丁酉正廟己未五竹軒

金萬光【義城人字華汝臥軒公諱昌胤第二子生肅廟庚子正廟戊午壽階折衝將軍
僉知中樞府事有孝行

慶會郁
金萬鐸【義城人字潤汝號慕軒臥軒公諱昌胤第三子生景廟癸卯正廟丁未有孝行

慶會仁
慶會文
慶會復【淸州人字復初掌樂公

慶會元【淸州人字順添掌樂公

戊辰十月初七日講信
崔圭【慶州人字復三壽階中樞府事肅廟癸卯正廟己未

慶會運【淸州人字子仁掌樂公

金萬鏐【義城人字美汝號香窩臥軒公諱昌胤第四子生英廟庚戌純廟己巳有學行

曺姬謨【昌寧人子丕彦壽階僉樞英廟甲寅正廟戊午

權琳【安東人字大奎佐郞公後生英廟某年

崔涵
崔天柱【慶州人字天徵生英廟己未純廟癸未

崔增【慶州人字君益號林溪生英廟乙卯純廟壬戌

崔國柱【慶州人字元老生英廟戊午正廟甲午

金尙國
崔城
曺宅周
甲申十月二十二日講信
慶會明【淸州人字子淸生英廟壬子掌樂公

崔塧【慶州人字君遠生英廟丁巳純廟辛酉

崔必柱【慶州人字擎甫生英廟辛酉純廟壬午

慶坰【慶州人字而遠號平安齋生英廟乙丑純廟己巳

成光夏
李春光【陜川人字春玉牧使公諱洽十世孫

崔載大
崔漢柱
崔啓柱【慶州人字平汝生英廟辛未純廟辛巳

崔敬欽【慶州人字汝道生英廟戊寅純廟庚寅

崔碩柱【慶州人字致吉通德郞

金宗漢
乙巳十月初九日講信
孫孝徵
孫孝義
金宇晟
魚在南【咸從人字大汝敎授公

魚用澤【咸從人字會汝敎授公

柳陽來【晋州人字光允生辛未卒乙未

朴雨禎
魚錫鯉【咸從人字大興敎授公

魚錫江
魚錫武【咸從人字光彦敎授公

魚在成【咸從人字大允敎授公

魚在鵬
魚在翼【從咸從人字大一生英廟戊寅己未敎授公

金光岳
聖上二十年丙辰十月二十四日修正
慶會星【淸州人字台卿生英廟丙辰掌樂公

崔墺【慶州人字亨重生肅廟辛卯肅廟乙未五竹軒

鄭仁宗
崔{土+玉}【慶州人字汝重生英廟乙亥純廟辛未五竹軒

崔堉【慶州人字敏仲生英廟丁卯純廟戊辰五竹軒

金顯奎【義城人初諱勲字士元香溪公諱泰鳴玄孫生英廟庚辰純廟甲午

朴致明【高靈人字大元生英廟丁丑己未判書公後

崔有欽【慶州人字信兼生英廟庚辰純廟乙亥

崔{土+岌}【慶州人字而最號養菴生英廟庚午純廟庚午

慶履光【淸州人字光弼生英廟戊寅

崔百欽【慶州人字錫琪生英廟壬申

崔尙欽【慶州人字用謙生英廟壬午正廟庚申

崔必欽【慶州人字用明隱居修齊不求聞達生英廟甲申憲廟丁酉

崔石欽【慶州人字汝盤生英廟乙酉純廟戊寅

崔益欽
慶履東【淸州人字通仲生英廟丙寅重來孫

崔喆【慶州人字亨中號玉軒溫而正直人多推仰生英廟乙酉純廟辛巳五竹軒

崔喆欽【慶州人字賢中生英廟丁亥純廟癸亥

崔道欽【慶州人字而貫生英廟壬午純廟乙亥

崔鳴九
李國星【陝川人字成玉諱馦玄孫

成載周
朴致楨
柳起漢【晋州人字復汝生正廟癸丑哲廟甲寅

朴致根【高靈人字仁卿生純廟戊辰己巳判書公後

柳安國
金宗道
柳安宅【晋州人字義之生正廟庚子甲寅

聖上二十二年戊午七月十三日講信
魚在九【咸從人字子億敎授公

魚用浦
魚在東【咸從人字震初敎授公

魚在洛【咸從人字得之敎授公

慶履相【淸州人字義兼

慶宜昌
魚在江【咸從人字圓叔敎授公

慶履濟
崔東柱【慶州人字元亨生英廟乙亥正廟辛卯五竹軒

魚用源
魚用祚【咸從人字君學生英廟辛巳壬午敎授公

魚在一【咸從人字子玉生英廟己卯乙未敎授公

魚石柱
魚在玉【咸從人字儒執敎授公

魚在雲
魚用義【咸從人字聖能敎授公

柳陽玉
魚在談
李喆元
曺有喆【昌寧人字喆甫生正廟壬寅丙午

李國濱
聖上二十二年戊午十二月三十日講信
崔禧錫
崔南守【慶州人字瑞三號松上恭而有和和而不柔生英廟甲午正廟壬午五竹軒

朴雨行
權泰彦
崔璿
曺憲周
崔琥【慶州人字君玉生英廟壬子純廟甲戌

崔麟大【慶州人字聖彦生戊戌

崔胤大【慶州人字汝允生辛卯

魚錫文【咸從人字光伯生英廟戊辰敎授公

金秀元
崔南翼
金胃甲
魚錫海【咸從人字汝華生庚子丙戌敎授公

金龍九【義城人字會之號魯溪臥軒公孫生景廟癸卯正廟丁巳有孝行

甲申十月二十二日講信
朴雨林【高靈人字明元生景廟癸卯卒丑丑判書公後

魚用鱗
崔塾【慶州人字仲用生英廟戊辰純廟戊子主簿公

金象九【義城人字亨之臥軒公孫生英廟甲戌純廟己丑

崔坵【慶州人字而重生英廟戊辰純廟壬午

朴致柱【高靈人字大老生英廟庚午庚辰判書公後

崔載欽【慶州人字天汝生英廟丁卯純廟壬午

慶履義【淸州人字義卿號志道齋生英廟己卯

魚在澮【咸從人字潤中生英廟戊寅辛卯敎授公

朴致斗
崔邦柱【慶州人字國瞻生英廟甲戌純廟乙卯

金鎭九【義城人字應之號芦洲香窩公子生英廟癸未純廟壬辰

金収九【義城人字履之號魯厓慕軒公子生英廟庚辰純廟癸巳有遺稿

慶宜國【淸州人字興執生庚申

崔㙫【慶州人字厚用生英廟庚辰憲廟乙未主簿公

金有九【義城人字大之磻谷公後生英廟癸未純廟癸巳

金正奎【義城人字景昇臥軒公曾孫文章夙就丁卯中成均生員中試二策藏于家生英廟
丙申純廟己巳

魚在三【咸從人字道一生卒護軍公後

魚在元【咸從人字而善生英廟丁亥卒護軍公後

崔擎岳
魚用遇【咸從人字君潤生英廟乙酉癸丑護軍公后

慶履華【淸州人字華日生英廟己亥延泰

魚用昌
慶履積
金勉九
金宗文
魚在八
崔奇欽
魚在升
魚用漢
崔學欽【慶州人字而敬生英廟丁亥憲廟辛丑

金呂九
慶煥【淸州人字汝欽生甲午

崔福欽
魚用文【咸從人字汝玉生正廟壬寅卒護軍公後

吳鎰【咸陽人字汝積琴溪公后生壬午己卯

李國輔【陝川人字桂明春光

崔命欽【慶州人字美謙生英廟辛卒純廟庚辰

崔勉欽【慶州人字學源生英廟乙未正廟庚寅五竹軒

魚致龜【咸從人字聖直生正廟乙亥卒護軍公後

崔擎泰【慶州人字若文生正廟癸卯純廟壬辰

崔萬欽【慶州人字羽若生英廟丁丑正廟丁未五竹軒

崔秀欽
金基華
金樂奎【義城人字景天磻谷公後生正廟丙申純廟壬辰

金尙奎【義城人字景五號弄山磻谷公後生正廟壬寅哲廟辛亥

崔德欽【慶州人字德悅生正廟癸丑憲廟乙未

慶燁【淸州人字汝政生壬子延緖

魚在觀【咸從人字寬執護軍公後生正廟己

崔奎欽【慶州人字文瑞號自閒齋生廟庚哲廟庚申

金敏奎【義城人字景訥磻谷公後生正廟己酉憲廟己酉

朴東奎
崔思欽【慶州人字克老生正廟乙未憲廟戊戌

金東奎【義城人字翼中磻谷公後生正廟乙巳憲廟丙申

崔翊欽【慶州人字鵬擧天性閒雅談論有餘生正廟甲寅高宗甲子

魚在臨【咸從人字正緝護軍公後生正廟壬子辛亥

崔維鳳【慶州人字鳳卿生正廟丙午純廟壬午

魚致行【咸從人字聖則護軍公後生英廟甲寅卒某年

慶華國
朴泰奎
崔擎日
金五九
李七百
魚致華【咸從人字致文護軍公後生純廟癸未

崔鎰欽
崔德潤
朴大仁
崔義欽【慶州人字叔謙生英廟丙戌純廟丙申

朴應奎
金宗武
崔擎九【慶州人字敬式生正廟丁丑哲廟己未

金南奎【義城人字景老磻谷公後生正廟乙卯高宗戊辰

崔維漢
金奎睦
崔天欽
崔漢欽
崔擎昇
慶履喆【淸州人字五兼生英廟辛巳

崔擎天
鄭學宗
崔錫漢
崔維鸞
崔維鶴【慶州人字雲老生正廟甲寅哲廟壬寅

崔擎翰
李克昌
崔光睦
崔致福
瓉【慶州人生辛丑己卯

崔成羽
崔道柱
朴南奎【淸州人字君余生

慶履賛英廟辛卯延紀

魚致雨
李悅
成益
魚鶴孫
魚冨用
崇禎紀元後一百八十年丙子五月十五日改修正
許行
金薦宗
崔致欽【慶州人字用一號稼書軒生英廟甲午憲廟乙酉

崔惟精【慶州人字士眞生正廟己亥純廟壬午澗谷齋公

崔欽
金仁奎【義城人字孟博號魯陽芦洲公諱鎭九長子與性齋許文憲公道義相磨爲南州聞達
正廟丁未高宗丙寅

金基鎭【義城人字正八磻谷公後生正廟戊申純廟甲戌

崔惟岡【慶州人字士俊生正廟戊申憲廟戊申

崔惟淇【慶州人字允賢生正廟辛亥憲廟辛丑

崔龍欽【慶州人字見之生正廟甲寅哲廟辛酉主簿

魚致豊【咸從人字裕之生正廟甲寅辛酉護軍公後

慶文國【淸州人字文若生正廟辛丑

崔擎峻【慶州人字君碩生正廟甲寅哲廟壬寅

崔惟仁【慶州人字孝則生正廟甲寅憲廟丙午

金在奎【義城人字啓心芦洲公諱鎭九次子生正廟丁巳哲廟壬子

崔章翰【慶州人字孔憲生正廟乙卯純廟甲午

崔惟弘【慶州人字士一生正廟丙辰純廟庚子訓導公後

魚在禮【咸從人字云敬生正廟丁巳戊辰護軍公後

崔國欽【慶州人字忠輔生正廟丙戌主簿公

崔鳳欽【慶州人字聖瑞生正廟己未哲廟丁未主簿公

慶泰國【淸州人字有若生正廟丙辰

崔挻欽【慶州人字裕安生正廟己未壬寅

崔惟綱【慶州人字康彦生正廟己未哲廟甲子主簿公

崔惟福【慶州人字尙彦生純廟壬戌

李正東【陝川人字汝敬生正廟辛亥哲廟乙卯

金廷鳳【義城人字伯淵號魯邱磻谷公後生純廟戊辰哲廟辛亥有文集

朴命奎【高靈人字景興生正廟甲辰己卯判書公後

李增源
朴相奎【高靈人字相五生正廟戊午己未判書公后

崔家欽【慶州人字正甫生純廟己丑哲廟壬戌

崔惟泰
慶仁國【淸州人字能若生純廟癸亥

慶蓍國【淸州人字龜瑞生純廟丙寅延泰

崔惟洪
慶忠國【淸州人字士順生純廟戊辰

許翊
崔惟聖【慶州人字魯叔生純廟己巳憲廟己巳

崔擎碩【慶州人生正廟癸亥

朴仁淳【高靈人字義汝生純廟辛未庚午判書公後

慶思國
魚致五
朴章奎
朴成奎【高靈人字道興生正廟己酉庚午判書公後

魚致泳
李增喆【陜川人牧使公

李增賛
崔惟龍
金在{氵+奎}
李成林
李正林【陝川人字君敬天姿穎悟知名士友生正廟戊午憲廟丙申牧使公

崇禎五庚午三月三十日先案補遺
魚致龍
崔太欽【慶州人字子行號永慕軒生正廟乙卯哲廟癸酉

金基一【義城人初諱基澤字德能號蘆隱壽階通政大夫龍驤衛副護軍進士公子生正廟
丙辰高宗丙子

魚在義【咸從人字尙敬護軍公後

崔祉欽【慶州人字東魯生正廟戊午高宗己卯

魚在湘
崔惟岳【慶州人字士允生純廟辛酉憲廟甲辰

慶安國【淸州人字士卿生癸亥卒某年叅議公後

魚在洪【咸從人字士範護軍公後

崔惟善
崔惟允【慶州人字誠進號夢關生純廟己巳

崔惟行
魚丙愚【咸從人字海成生純廟壬申壬午護軍公後

慶源泰
金基沃【義城人字啓彦磻谷公後生純廟甲戌高宗甲申

崔奎翰【慶州人字五吉生純廟乙亥

朴琛奎【高靈人字景守嘉善大夫漢城府尹哲廟丙辰壬申判書公後卒

慶源千
朴台淳【高靈人字浩汝生純廟丙寅庚午判書公後

崔斗國
吳膺伯【咸陽人字聲吉琴溪公後生純廟壬戊甲戌

吳膺仲【咸陽人字養吉琴溪公後生純廟辛未戊寅

崔秉南
魚守愚【咸從人字士綱號後亭生純廟戊寅高宗戊戌護軍公後

崔德翰【慶州人字君周生純廟戊寅高宗丙戌

崔惟珏【慶州人字光進生純廟丁丑哲廟己未

崔基翰【慶州人字基一生卒

金基成【義城人字宅中生純廟辛巳高宗癸酉磻谷公

崔惟元【慶州人字成彦生純廟庚辰高宗甲申

魚致吉
崔景洙【慶州人字士龍生純廟己卯高宗乙丑五竹軒

魚致成【咸從人字周若生純廟己酉卒其年護軍公後

朴之淳【高靈人字道汝生高宗壬申丁丑判書公後

慶聖重
崔啓洙【慶州人字汝元生純廟壬午高宗乙丑

魚在沅【咸從人字德輔生癸卯甲午護軍公後

金基鉉
崔惟國【慶州人字光吉生正廟癸未高宗甲申

朴正淳【高靈人字和汝敦行好學見稱鄕里生純廟丁丑丙戌判書公後

崔惟弼
慶周國【淸州人字茂若生純廟癸未卒某年掌樂公

崔惟峻
慶源基
金廷佑【義城人字聲會成均生員諱正奎孫生純廟甲寅高宗甲午

崔致翰
崔尙優
魚泳愚【咸從人字處深生純廟甲申丙戌護軍公後

崔宗翰【慶州人字正則生純廟甲申高宗乙未澗谷齋公

崔在洙【慶州人字魯源號蘆洲生純廟丙戌高宗戊子

金基誠【義城人字器遠磻谷公後生純廟乙酉高宗庚午

魚致泓【咸從人字汝若生純廟乙酉丙辰護軍公後

崔惟虎【慶州人字錫汝生癸未卒主簿公後

魚性愚【咸從人字君賢生純廟乙酉卒護軍公後

金基範【義城人字德潤磻谷公後生純廟戊子高宗乙亥

崔明翰【慶州人字光汝生純廟丁亥高宗己亥五竹軒

魚尙愚【咸從人字聖汝號聾菴生純廟丁亥辛巳護軍公後

金基瑛【義城人字致郁磻谷公後生純廟己丑高宗乙酉

慶源大
崔鳳翰【慶州人字孔建生純廟庚寅高宗乙未

慶源採
崔秉祿【慶州人字明玉生純廟庚寅高宗甲午主簿公

李斗榮【陝川人字和汝號晩山性孝親疽三年烹蛇先甞生純廟戊子高宗丁酉

朴任淳【高靈人字祺汝生純廟丁亥辛丑判書公後

魚致寶
崔任洙【慶州人字聖應生純廟壬辰高宗甲申

朴敏淳【高靈人字士純生純廟癸酉丙子判書公後

朴章淳【高靈人字章汝生純廟辛巳丙戌判書公後

崔元洙【慶州人字仁源生純廟壬辰高宗壬午

魚洙愚
金振國【義城人字明汝號竹潭磻谷公後生純廟壬辰高宗辛巳

崔學洙【慶州人字濬明號藪谷五竹軒後生憲廟丙申卒上元丙辰

金基潤【義城人字極汝磻谷公後生純廟辛酉高宗丙戌

崔慶翰【慶州人字善汝生純廟辛卯憲廟己未

慶源之
魚洲愚
金基周【義城人字文賢磻谷公後生憲廟內申高宗丙戌

崔惟得【慶州人字化善生正廟甲寅

朴處源
崔惟洙【慶州人生己丑卒某年

吳膺季【咸陽人字順吉琴溪公後生甲子丁卯

崔鴒翰
金廷武
崔惟穆
慶致重【淸州人字文賢生丁酉卒叅議公後

崔尙遠【慶州人字處仁生憲廟庚子

崔文翰
朴震源【高靈人字德允生壬寅庚午判書公後

崔惟麒【慶州人字孔瑞生憲廟辛丑高宗壬寅

崔圭洙【慶州人字可源生憲廟癸卯高宗丙申

崔鏘翰【慶州人字士玉號艮窩遊任鼓山門博學諸經尤深於易生憲廟癸卯卒某年有文


金俊國
崔惟駿【慶州人字躍遠生憲廟甲辰甲寅

崔秉仁【慶州人字君晋生丙午丁未

崔孔翰【慶州人字應雷生憲廟辛丑

李敬八
崔鵬翰【慶州人字南擧生憲廟癸卯乙卯

崔秉愚
崔壽翰
崔尙沃【慶州人字潤汝生純廟申卒甲子澗谷齋公

崔德洙
慶來重【淸州人字自善生憲廟庚子卒某年叅議公後

魚致水
魚允浩【咸從人字慶中生憲廟己酉卒護軍公後

崔擎福【慶州人生純廟壬申

魚允壽【咸從人字惟中生憲廟己酉卒護軍公後

李時泰
慶源震
魚致伯【咸從人字仲仁生丁亥己亥護軍公後

柳成洛【晋州人字處中生戊辰己巳

崔永翰【慶州人字俊若生壬午

崔益洙【慶州人字致明生純廟壬午

魚在澤【咸從人生庚申護軍公后

李東洛
魚命海【咸從人字子光生純廟癸亥己巳護軍公後

崔惟浩【慶州人字允從生憲廟辛丑卒某年

魚晩愚【咸從人生癸未卒某年

慶源在
李鎭民
魚變愚【咸從人生哲廟戊午卒某年護軍公後

魚日愚【咸從人生哲廟癸丑卒某年護軍公后

金在一
成瑞信
柳井奎【晋州人字景見生純廟辛酉乙未望日齋公諱泳

成大坤
朴碩根
李宜昌
魚龍愚
崇禎五庚午四月初八日時案修正
崔瑞翰【慶州人字鳳祚生純廟丁亥庚子

宋致明【恩津人字處心生正廟戊子卒某年

朴文淳
崔惟魯【慶州人字泰吉生憲廟己亥高宗戊申

崔秉憲【慶州人字仲斌生哲廟壬子高宗丁亥茅廬公後

朴永祚
崔秉源【慶州人字可一生哲廟癸丑高宗丙午五竹軒

朴琮源
柳震漢【晋州人字景春生哲廟丁未純廟戊午

崔秉憙【慶州人字叔斌生哲廟丙辰甲子茅廬公後

崔尙鶴【慶州人字致九生哲廟乙卯高宗乙丑五竹軒

朴東吉
魚甲愚【咸從人當廳戊生護軍公後

朴仕源
朴重權【高靈人字應執生哲廟己未

崔德煥【慶州人字敬晦號强齋生高宗丙寅己酉有文集

魚允瑞
崔儀翰【慶州人字南俊生憲廟丙午高宗丁未

朴泳源【高靈人字聖元生憲廟乙巳甲子判書公後

朴在淳【高靈人字汝寬生高宗丁亥庚辰判書公後

許{土+犮}
崔孝采【慶州人字允一生哲廟戊午壬戌

宋奎秀
許墉
魚允極【咸從人字處中生哲廟戊午卒某年護軍公後

崔尙浩【慶州人字致順生戊辰戊辰澗谷齋公

崔錫翰【學州人字孝仲生哲廟庚戌戊午

慶觀重【淸州人字善南生哲廟庚戌

崔尙學【慶州人字致道生哲廟戊午壬戌澗谷齋公

崔尙鳳【慶州人字致相生哲廟丁巳甲辰澗谷齋公

朴昌源【高靈人字士元號甁默齋生哲廟庚申己卯判書公後

崔尙熙【慶州人字文叔號心溪生哲廟丙寅乙酉

崔正翰【慶州人字應瑞生高宗甲子乙巳

慶彦重【淸州人字致明生哲廟己未

崇禎五甲申四月初八日時案修正
玉溪亭先案卷之一
玉溪亭續案卷之二

水出大德山하야東流四十里하야入于香江者曰玉溪라有
坊於香玉兩水之際에爲里八九요又有一亭이在於溪之西涯
하야亭與坊이俱以溪名으로得名이라鄕之儒賢存養齋宋先
이甞寓是坊而―記其亭曰玉溪之人이共立亭榭於溪邊할
세三間八礎가不侈不陋하고盖因舊其爲之라하니旣曰因舊
基則―亭之剏이未詳在於何時而―時屬重建을可想也라嗣
後數百年間에陵谷이變遷하야亭爲水嚙而―至於無墟可尋
하니此豈非―玆坊識者之―所共齎恨哉아惟是重建以後로
同坊諸賢之―於斯亭에徵逐觴詠을如蘭亭하고勸規交恤을
如藍約하야遵守保護之美蹟이有所謂玉溪洞案九冊이藏在
魚氏之家하다氏넌自先世로最近亭而―居者也라余年弱冠
에聞故老所傳하니方洞規之行也에居民이惴惴하야不敢作
一不義라하더니及後披玩是案에案有先後之分而―叙錄에
多著顯하고約有原續之目而―條例가極嚴密하니所以로陶
鑄一坊風猷가固非頹世之得有而―所聞故老之言을於是에
果驗이로다是不可以一時之陳蹟으로視之온而況―我先祖
磻谷公이自陜으로始擇處玆坊하사諱居先案第五而―自
後로連世有案하야子孫이世承之하니爲後孫者―尤豈敢不
撫卷而―起敬哉아思欲詢謀坊人하야以復前修之遺風而―
世變이岡極하고人事가未遑하야有志而―莫就者―久矣러
니頃歲甲午中에崔君琪煥이奮然圖之하야倡諸賢―後承曰
―先人之蹟을不可終泯而―興復之策은不可以無貲也라하
니衆曰諾다하야於是에會于玉溪之上하야以修契事할세會
者十餘家라此外에도尙多不會之家라盖以舊時同坊之家
―或搬移隣坊하고或不知其子孫之有無하니與有之而―居
於何處隣坊者는猶可得以聲應而―同焉이언이와其不知者
던惡可得以偕之리요案旣成에署曰玉溪亭契案이라하다亭
今不在而―加之亭號者는將以追循其舊也오且欲因是以賡
하야徵逐觴詠과勸規交恤을如諸先輩之所爲也러니然則斯契
也―其義不輕而―重較然矣리라凡我同契之人은各自―以
祖先之心으로爲心하고善始善終하야使廢壞之亭與約으로
俱得其復則―祖先之靈이其不曰予有後焉爾乎아僉同人이
責余爲序어날余不能辭則遂書之如此하야以冠于卷端하노

國復後十四年戊戌嘉平節同契人義城金永善
甲午
宋鎬玩【恩津人字叔亨生戊寅叅議公後子準永下金

金長植【義城人字士益生己卯磻谷公子炳彦魯坡

全在和【星山人字致順生己卯採微軒公後子道碩上川

權永華【安東人字聖寬生己卯佐郞公子哲鉉雙岩

慶達重【淸州人字允明生庚辰叅議公後孫性浩洗川

慶鍾琪【淸州人字仲彦生庚辰叅議公後孫箕光洗川

金熙哲【義城人字聲叔生壬午磻谷公子正均魯坡

魚洵善【咸從人字達游生癸夫敎授公子龍伊社倉

崔曾煥【慶州人字順瑞生癸未主簿公子点萬林泉

宋陽洛【恩津人字秉元生癸未雙淸堂公子乙用柳田

金永龜【義城人字聖洛生甲申磻谷公子燁東魯坡

權錫銖【安東人字汝衡生甲申佐郞公子寧珍雙岩

權文熙【安東人字武章生甲申佐郞公子載德傅岩

曺慶基【昌寧人字相五生甲申葆溪公子鎬亨大田

宋鎬式【恩津人字箕見生丁亥存養齋公孫鍾台柳田

崔尙敬【慶州人字順一生丁亥澗谷齋公子孝洵社倉

宋蓍永【恩津人字士一生丁亥存養齋公子大植柳田

魚敬善【咸從人字文伯生戊子敎授公孫哲秀洗川

曺鼎基【昌寧人字益瑞生戊子葆溪公後字鎭居大田

崔朱煥【慶州人字晦之生己丑主簿公孫鉉用魯坡

宋亨求【恩津人字亨叔生己丑存養齋公子柱海柳田

朴琠煥【高靈人字明珍生己丑判書公後子祥圭磻溪

宋國永【恩津人字泰叔生己丑存養齋公子庚然柳田

金周植【義城人字聖益生己丑磻谷公子熙埈魯坡

魚壹善【咸從人字先游生庚寅敎授公子在浩社倉

金喜鏞【義城人字順明生庚寅磻谷公子永八魯坡

崔疇煥【慶州人字永亨生庚寅五竹軒公子世鉉述谷

崔允煥【慶州人字奇珍生庚寅五竹軒公孫樞鉉述谷

崔尙均【慶州人字孔文生庚寅澗谷齋公子孝洵述谷

慶鍾琦【淸州人字相道生辛卯參議公後居洗川

崔孝益【慶州人字益夫生辛卯澗谷齋公子遠鉉林泉

崔尙億【慶州人字雲五生辛卯訓導公後孫普鉉述谷

宋鍾秀【恩津人字致明生辛卯參議公後子以然下金

曺命基【昌寧人字章玉生壬辰溪公葆後子鎬日大田

柳海鉉【晋州人字孟善生壬辰望日齋公後居倉洞

崔孝信【慶州人字君實生壬辰訓導公後居述谷

全宗國【星山人字士益生壬辰採薇軒公後子炳祐上川

金郁根【義城人字昌彦生壬辰磻谷公子熙星魯坡

全宗燮【星山人字文吉生癸巳採薇軒公後子炳浩上川

朴琪煥【高靈人字敬珍生癸巳判書公後曾孫在浩磻溪

宋憙永【恩津人字允叔生癸巳存養齋公子賛植柳田

金丙植【義城人字性玉生癸巳磻谷公子龍德魯坡

曺鎬直【昌寧人字士元生甲午葆溪公子康源大田

金永善【義城人字學夫生甲午磻谷公子禹東魯坡

金熙東【義城人字子緝生甲午磻谷公子鎔均魯坡

崔孝立【慶州人字昌元生乙未澗谷齋公子鍾鉉林泉

朴述權【高靈人字明俊生乙未判書公後子九煥磻溪

慶鍾壹【淸州人字聲振生乙未參議公後孫長秀洗川

朴哲權【高靈人字明仲生乙未判書公後子道煥磻溪

慶尙俊【淸州人字泰浩生乙未參議公後孫德鉉洗川

慶鍾憲【淸州人字善明生乙未參議公後孫元秀洗州

崔孝琪【慶州人字平執生丙申主簿公子元鉉述谷

金永濤【義城人字孔賢生丙申磻谷公子東植魯坡

宋仕永【恩津人字季叔生丙申存養齋公子柱奉魯坡

金宗植【義城人字晦夫生丙申磻谷公孫東載魯坡

魚海善【咸從人字文吉生丁酉敎授公子泳潤社倉

崔琪煥【慶州人字敬執生丁酉茅廬公後孫正錫南隱

曺克基【昌寧人字仲瑞生丁酉葆溪公子鎬祚大田

崔秉昌【慶州人字在元生丁酉五竹軒公子丁煥南隱

宋鎭永【恩津人字君實生丁酉存養齋公子文植柳田

曺鳳基【昌寧人字翼重生丁酉葆溪公子鎬喆大田

宋泰永【恩津人字仁玉生丁酉存養齋公子相鳳柳田

魚鳳善【咸從人字君一生丁酉敎授公子在洙魯坡

曺漢基【昌寧人字寧一生戊戌葆溪公子鎬鉉大田

柳海鎭【晋州人字仲善生戊戌望日齋公後子居倉洞

宋鎬允【恩津人字性化生戊戌存養齋公子武永柳田

金熙堅【義城人字仲淑生戊戌磻谷公子仁均魯坡

柳衡秀【晋州人字平彦生己亥望日齋公後子居倉洞

崔孝順【慶州人字敬一生庚子澗谷齋公子郁鉉林泉

柳春植【晋州人字敬守生庚子望日齋公子遠甫柳田

慶鍾善【淸州人字子建生庚子參議公後子觀浩洗川

曺鴻基【昌寧人字益善生庚子葆溪公子鎬文大田

金永澤【義城人字四萬生庚子磻谷公子敬植魯坡

崔秉度【慶州人字性元生辛丑五竹軒公子雲煥南隱

慶萬重【淸州人字仲執生辛丑參議公後子鍾植洗川

柳海龍【晋州人字雲卿生辛丑望日齋公後子居倉洞

金永淑【義城人字文直生辛丑磻谷公后卒子洪植

崔孝禮【慶州人字明夫生壬寅澗谷齋公子文鉉林泉

吳相煥【咸從人字泰善生壬寅琴溪公後子碩柄社倉

朴仁權【高靈人字應範生壬寅判書公後孫鳳基磻溪

崔琇煥【慶州人字敬一生癸卯主簿公孫漢哲南隱

宋斗永【恩津人字永運生癸卯存養齋公子鍾元柳田

魚泳春【咸從人字子三生癸卯敎授公子昌秀社倉

崔孝日【慶州人字聖在生甲辰主簿公孫永進述谷

金永徹【義城人字德夫生甲辰磻谷公子起東魯坡

朴玉煥【高靈人字潤一生甲辰判書公後子浩圭磻溪

曺鸞基【昌寧人字益三生乙巳葆溪公子鎬純大田

宋点述【恩津人字生乙巳雙淸堂公後子居安間

魚点善【咸從人字君善生乙巳敎授公子秀萬魯坡

崔孝萬【慶州人字敬夫生丙午澗谷齋公子寶鉉林泉

朴泰圭【高靈人字益夫生丙午判書公後孫光浩磻溪

金述榮【義城人字一瑞生丙午磻谷公子炅碩魯坡

魚泳德【咸從人字德水生丁未敎授公子浩秀社倉

柳晟漢【晋州人字致甫生丁未望日齋公後子居柳田

慶鍾參【淸州人字聲見生丁未參議公後子浩出洗川

權永文【安東人字祥珍生戊申佐郞公子允鉉雙岩

朴昌煥【高靈人字乃淑生戊申判書公後子容圭磻溪

柳遠俊【晋州人字性順生戊申望日齋公子榮秀柳田

崔孝璘【慶州人字成植生己酉主簿公子東錫南隱

曺赫基【昌寧人字明善生乙酉葆溪公子鎬用大田

權琪鉉【安東人字眞若生辛丑佐郞公子海柱陽里

曺鎬中【昌寧人字其彦生己酉葆溪公子德星丹城

權泳模【安東人字仁善生己酉佐郞公子邱鉉雙岩

金永和【義城人字汝惠生己酉磻谷公子凡植魯坡

魚浩善【咸從人字元伯生庚戌敎授公子洪昌大峴

崔孝英【慶州人字善執生辛亥主簿公子五錫述谷

權永瓛【安東人字仁伯生辛亥佐郞公子宗鉉陽里

魚泳一【咸從人字榮海生辛亥敎授公子秀湧社倉

曺大基【昌寧人字任之生辛亥葆溪公子鎬慶大田

慶鍾鎬【淸州人字學求生辛亥參議公後子在源洗川

金永祚【義城人字君瑞生辛亥磻谷公子弘壽魯坡

崔孝夢【慶州人字正夫生辛亥澗谷齋公子揚鉉林泉

崔鍾學【淸州人字且雲生壬子參議公後子源浩洗川

崔尙伯【慶州人字於雲生壬子澗谷齋公子孝德社倉

魚泳八【咸從人字尙玉生壬子敎授公子秀麟社倉

朴德煥【高靈人字明善生壬子判書公後子元基磻溪

朴用煥【高靈人字琪一生壬子判書公後子永祚磻溪

崔容煥【慶州人字敬奎生癸丑茅廬公後子孝吉南隱

權永琪【安東人字聖賛生癸丑佐郞公子淑鉉雙岩

金永祥【義城人字汝敏生癸丑磻谷公子喆東魯坡

崔孝用【慶州人字士用生癸丑澗谷齋公子陽鉉社倉

金聖東【義城人字而見生癸丑磻谷公子熙仁魯坡

慶箕壽【淸州人字德夫生乙卯參議公後子德顯洗川

崔翼煥【慶州人字文景生乙卯五竹軒公子孝民述谷

權永祚【安東人字貞佑生丙辰佐郞公子九鉉雙岩

慶敬浩【淸州人字聖一生丙辰參議公後孫有明洗川

權永佑【安東人字相善生丙辰佐郞公子尙鉉雙岩

崔光鉉【慶州人字士淑生丙辰主簿公子永敦南隱

崔孝準【慶州人字成一生丁巳訓導公後子宗鉉述谷

魚永善【咸從人字炳善生丁巳敎授公子龍大社倉

慶箕壹【淸州人字鍾洛生丁巳參議公後子南浩洗川

金熙圭【義城人字賢執生丁巳磻谷公子泰均魯坡

慶鍾大【淸州人字善長生戊午參議公後子伸浩洗川

朴文圭【高靈人字武洪生戊子判書公後子鍾南磻溪

吳振煥【咸陽人字正玉生戊午琴溪公後子在洙南隱

曺鎬文【昌寧人字純卿生戊午葆溪公子福源大田

吳相立【咸陽人字泰文生己未琴溪公後子進煥社倉

魚春善【咸從人字石文生己未敎授公子虎龍林泉

魚泳俊【咸從人字永伊生庚申敎授公後子居大峴

崔台鉉【慶州人字汝亨生庚申澗谷齋公子榮遘林泉

魚泳龍【咸從人字成龍生庚申敎授公子秀永社倉

崔孝鍾【慶州人字孝萬生庚申簿公後子賛鉉南隱主

慶箕康【淸州人字生庚申參議公後子在顯洗川

崔孝權【慶州人字子益生庚申澗谷齋公子金鉉林泉

慶箕德【淸州人字生辛酉參議公後子光顯洗川

崔光鉉【慶州人字周仲生辛酉主簿公子永泰社倉

崔在鉉【慶州人字在文生辛酉五竹軒公子永哲述谷

魚允龍【咸從人字乃眞生壬戌敎授公子相善居昌邑

慶箕命【淸州人字生癸亥參議公後子斗顯洗川

崔景鉉【慶州人字元秀生甲子澗谷齋後子永泰林泉

慶德浩【淸州人字生甲子參議公後子健洗川

吳琮煥【咸陽人字順玉生甲子琴溪公後子在成南隱

魚泳龜【咸從人字判仁生乙丑敎授公子秀相社倉

權萬秀【安東人字仁則生乙丑佐郞公子東鉉陽里

崔孝哲【慶州人字生丙寅訓導公後子居述谷

魚泳泰【咸從人字子晦生丙寅敎授公後子居大峴

崔孝任【慶州人字鳳周生丁卯主簿公子佑錫南隱

曺鎬琪【昌寧人字榮五生戊辰葆溪公子聖洙大田

全炳淳【星山人字生戊辰採薇軒公後子洪圭上川

崔晶鉉【慶州人字德正生戊辰澗谷齋公子永奉林泉

魚泳奫【咸從人字二泰生庚午敎授公子大秀洗川

朴絢煥【高靈人字文夫生庚午判書公後子勝基磻溪

崔元錫【慶州人字元善生庚午主簿公子永珠南隱

慶奇浩【淸州人字元植生庚午參議公後子英秀洗川

崔益瑄【慶州人字周汝生辛未主簿公子順哲社倉

崔孝國【慶州人字生辛未五竹軒公後子居竹竹

慶明浩【淸州人字生辛未參議公後子寅秀洗川

慶俊浩【淸州人字生辛未參議公後子彦秀洗川

崔孝鎭【慶州人字子聿生甲戌五竹軒公子命鉉南隱

崔鍾學【慶州人字生甲戌訓導公後子居述谷

全命判【星山人字生己卯採薇軒公後子錫俊上川

丙申
方奎源【軍威人字成七生乙未无欺堂公子好楨苧浦

方八源【軍威人字佑若生戊戌无欺堂公子國植苧浦

朴泳在【密城人字應洙生戊戌拙堂公孫鍾相橋項

曺相基【昌寧人字琪善生戊戌葆溪公子鎬栗吾谷

方友楨【軍威人字聲振生庚子无欺堂公子熇仁苧浦

朴鍾璨【密城人字聲振生庚子講齋公孫東烈橋項

方鳳楨【軍威人字瑞生丁未无欺堂公子熇述苧浦

朴仁和【密城人字玉汝生戊申講齋公子熙福橋項

方海源【軍威人字千一生辛丑无欺堂公子東楨苧浦

宋鎬貞【恩津人字子元生辛未通德郞公後子球永傅岩

方奎楨【軍威人字守益生癸丑无欺堂公子仁爀苧浦

方大楨【軍威人字善一生乙未无欺堂公子熇九苧浦

朴鍾振【密城人字永聲生戊寅講齋公子文洙橋項

戊戌
柳宜亢【晋州人字道敏生甲午晋陽水谷樂山

柳漢祚【晋州人字泰見生己亥晋陽水谷樂山

柳遠泰【晋州人字光見生己亥晋陽水谷樂山

柳遠在【晋州人字生壬戌晋陽水谷樂山

辛丑
朴煥守【高靈人字春植生庚戌愚村公後子明圭林泉

朴煥益【高靈人字春元生丙辰愚村公後子坤林泉

朴煥泰【高靈人字春京生壬申愚村公後子琦榮林泉

崔任東【慶州人字士賢生辛亥澗齋公後子外文社倉

壬寅
文洪遠【南平人字致兼生丙申安樂堂公後子孝兆長湍

崔忠煥【慶州人字國一生庚子澗谷齋公子鎭鉉社倉

崔孝俊【慶州人字生丁巳主簿公子鎭鉉社倉

甲辰
慶七景【淸州人字生辛亥參議公後子宗秀洗川

崔孝金【慶州人字聖哲生戊辰澗谷齋公子章鉉社倉

乙巳
郭貴榮【淸州人字聖直生己亥子魯太柳田

郭德榮【淸州人字敬道生丙午子魯時柳田

宋壽用【恩津人字子建生戊申敬慕齋公後子孝植傅岩

宋鎬潤【恩津人字德夫生戊申僉正公後子傅岩

魚昌吉【咸從人字生壬申敎授公子龍台社倉

成先璞【昌寧人字泰潤生戊申子居柳田

丙午
柳遠昭【晋州人字賛汝生壬辰望日齋公子德秀傅岩

文相魯【南平人字應章生甲午湖陰公後子致煥嶧坪

文相周【南坪人字致俱生戊戌湖陰公後子仁煥嶧坪

文明浩【南平人字禧善生辛丑湖陰公後子相瑾嶧坪

文相道【南平人字敬達生辛亥湖陰公後子泰熙嶧坪

李世基【陝川人字泰永生乙丑牧使公子鎬洙回陽

李点基【陝川人字点龍生庚午牧使公子鎬根松旨

李仕燮【陝川人字禹善生甲申牧使公後子居長湍

崔孝景【慶州人字在洪生辛丑訓導公後子周鉉述谷

方準源【軍威人字依伯生乙巳无欺堂公子任楨苧浦

金熙洙【義城人字孔淑生己酉磻谷公子琪埈魯坡

魚泳淇【咸從人字榮和生戊辰敎授公子判秀大枝

己酉
崔東鉉【慶州人字和聖生丙午五竹軒公子永昌述谷

方士楨【軍威人字聲哉生壬子无欺堂公子熇明苧浦

庚戌
李泰在【陝川人字景烈生戊寅牧使公子鎬國回陽

辛亥
方順楨【軍威人字成國生內午无欺堂公子熇載苧浦

壬子
崔且述【慶州人字聖和生戊午澗谷齋公子承鉉社倉

癸丑
崔孝麟【慶州人字應宗生己酉訓導公後子德鉉述谷

崔孝東【慶州人字性寬生丁巳主簿公子元錫述谷

崔成鉉【慶州人字甲守生甲戌澗谷齋公子永穆林泉

甲寅
柳相國【晋州人字元弼生癸卯僻隱公後子遠琪洗川

乙卯
柳甲秀【晋州人字珍守生己未僻隱公後子居述谷

慶政浩【淸州人字生甲申參議公後子美秀洗川

慶進浩【淸州人字生丁亥參議公後子明秀洗川

魚命岩【咸從人字允植生丙午司直公後子南秀洗川

慶千浩【淸州人字生丁巳參議公後子漢秀洗川

丙辰
金定根【義城人字仲彦生癸卯磻谷公子熙契魯坡

方桂源【軍威人字乃善生丙午无欺堂公子景楨苧浦

崔渭文【慶州人字乃成生辛亥澗谷齋公子永五述谷

崔孝忠【慶州人字生丁巳訓導公後子聖鉉述谷

慶錫源【淸州人字生乙酉參議公後子佶秀洗川

林基庸【恩津人字圭烈生甲寅林谷公子有鍾社倉

金熙允【義城人字允執生壬戌磻谷公子東均魯坡

朴重煥【高靈人字乃謙生癸丑判書公後子昌圭磻溪

崔柏鉉【慶州人字榮華生庚辰澗谷齋公子永根社倉

柳潤先【晋州人字潤秀生辛亥僻隱公後子居述谷

崔昌鉉【慶州人字允碩生癸酉主簿公子永泰南隱

吳琪煥【咸陽人字生壬申琴溪公後子在祥南隱

慶潤俊【淸州人字允鉉生乙未參議公後子居洗川

戊午
崔孝定【慶州人字性珍生癸卯五竹軒公子玉鉉梧林

崔乙鉉【慶州人字乙奉生乙巳五竹軒公子永得居昌南下加川

崔準煥【慶州人字士景生庚午五竹軒公子在永述谷

崔永學【慶州人字學鳳生戊寅五竹軒公子在相神院苽亭

崔在鉉【慶州人字生辛西五竹軒公子永哲述谷

崔永一【慶州人字永珍生丁亥五竹軒公後子居述谷

權丙祚【安東人字在萬生庚戌校理公諱近中後子居雙岩

金永佑【義城人字季瑞生己未磻谷公子德權魯坡

金熙璇【義城人字衡哉生己巳磻谷公子範均魯坡

金海柱【義城人字尙根生甲戌磻谷公子熙模魯坡

金昌祿【義城人字正寬生丙子磻谷公子衡均魯坡

崔永圭【慶州人字達秀生壬戌五竹軒公子三道淵洞

崔孝仁【慶州人字判大生丁巳五竹軒公子渭鉉서을

崔敬述【慶州人字鎭浩生戊辰主簿公子賛佑釜山

崔仁錫【慶州人字尙麟生辛巳茅廬公後子永賛南隱

朴光在【密城人字定彦生辛未拙堂公子鍾泰橋項

朴丁在【密城人字成甫生丁丑拙堂公子鍾德橋項

文燦圭【南平人字景夫生壬子湖陰公後子紅石嶧坪

權尙植【安東人字可元生癸酉佐郞公子熹台三嘉斗毛

慶正浩【淸州人字致文生丙辰參議公後子方秀柳田

慶舜浩【淸州人字生戊辰參議公後子文秀柳田

慶載浩【淸州人字判汝生辛未參議公後子明秀咸安郡北月村

慶箕烈【淸州人字生癸未參議公後子仁顯洗川

全德根【星山人字生採薇軒公後子居上川

全石大【星山人字生採薇軒公後子居上川

全甲龍【星山人字生採薇軒公後子居上川

方甲信【軍威人字正學生甲子无欺堂公子榮澤苧浦

魚明善【咸從人字明極生戊子敎授公子泳商居昌邑

林鍾烈【恩津人字成根生癸亥林谷公子永祚佳會面大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