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76년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 간행 안의향안(安義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Z.1976.4887-20100731.Y10425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작성주체 함양 안의향교
작성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작성시기 1976
형태사항 크기: 30.5 X 19.5
판본: 석판본
장정: 선장
수량: 1책(129면)
판식: 四周雙邊, 有界, 8行字數不定, 上內向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함양 안의향교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146
현소장처: 함양 안의향교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146

안내정보

1976년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 간행 안의향안(安義鄕案)
1976년 지금의 경상남도함양군 소재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에서 간행한 것이다. 안의향안은 조선시대 안의현(安義縣) 지역 양반들의 지방자치 기구인 유향소(留鄕所) 및 향청(鄕廳)의 구성원 명부이다. 하지만 안의현에서의 향안 작성은 영조(英祖) 말기부터 사회적 혼란 때문에 더 이상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1976년 기존에 만들어졌던 향안을 정리하고, 영조 이후 200년 동안 함양 안의향교에서 활동했던 주요 인물들을 함께 수록하여 안의향안을 간행하게 된 것이다.
이광우

상세정보

지금의 慶尙南道咸陽郡安義面에 위치한 安義鄕校에서 1976년에 간행한 鄕案으로, 조선시대 安義縣 일대의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들의 인명을 기록해 놓은 자료
安義鄕案 全
序文 凡例 安義鄕校 沿革 鄕中立議 鄕中完議 鄕案 重刊任員錄 跋文
[내용 및 특징]
향안은 조선전기부터 지방자치 기구로 존재했던 留鄕所를 주도한 인물들의 명단이다. 향안이란 명칭은 서울 京在所에 비치된 京案에 대칭하여 불러진 것이다. 시기별로 비중과 성격상의 차이는 있지만, 향안에 등재된 인물은 당대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이라 볼 수 있다. 조선시대 慶尙道安義縣에서도 향권 주도 세력들에 의해 시기별로 鄕案이 여러 차례 간행되었었다. 본 자료는 조선시대 때 만들어진 安義鄕案에 등재된 인물들과 20세기 후반 증보 수록된 인물들의 명단을 함께 엮어 1976년에 安義鄕校에서 간행한 것이다.
留鄕所 또는 鄕廳은 조선시대 지방자치기구로 고을 중심지역에 별도의 기구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선말기 향청이 폐지되면서, 기존의 향청 기능과 보유 문서 등은 해당 고을의 鄕校로 넘어가게 되었다. 일제시대 이후, 향교 조직이 중심이 되어 향안을 간행한 까닭도 향청 폐지 이후 향안의 전통을 향교가 계승했기 때문이다. 20세기 후반 함양 안의향교에서 안의향안을 간행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본 자료는 ‘安義鄕案 全’이란 제목으로 간행되었으며, 1976년 8월 15일 서울의 南山印刷株式會社에서 인쇄되었다고 刊記에 나타나 있다. 구성은 序文, 凡例, 安義鄕校 沿革, 鄕中立議와 鄕中完議, 鄕案, 重刊任員錄, 跋文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은 ‘安義鄕案 全’이 간행되던 1976년 음력 6월, 향안 중수 시 都廳직을 맡았던 林喆熙가 작성하였다. 임철희의 서문에는 안의향안에 새롭게 간행된 경위가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안의 지역은 鄒魯之鄕이라 일컬어졌던 곳으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일찍이 鄕案을 만들어 賢人들의 성과 이름을 기재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英祖 말에 국정이 혼란해지면 선비들이 산골에 은거하게 됨으로써, 향안은 침체하여 200여년 동안 續案되지 못했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그 후예로써 선조들의 전통을 잇기 위하여, 조선시대 때 만들어졌던 舊鄕案과 仙案, 지금의 향교 經任案과 先生案을 합쳐 1책으로 만들어 안의향안을 새롭게 엮게 되었다고 한다. 서문을 통해 안의 지역에서 향안이 영조 말엽 이후부터는 작성되지 않았으며, 20세기 후반 重修는 조선시대 향안에 등재되었던 인물들의 후손들이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영조 말엽 이후 향안이 만들어지지 않은 것은 조선중기부터 향안 작성을 주도하던 기존의 사족들과 壬辰倭亂 이후 새롭게 등장한 세력 간의 갈등, 조선후기 지방자치 기구인 향청의 기능 약화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범례는 5개조로 되어 있는데 향안 입록 인물의 기재 방식에 대한 몇 가지 기준이 나타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재 인물은 크게 原案과 增補修錄으로 나눠진다. 원안은 1623년~1776년 사이에 작성된 향안으로, 작성당시 卒한 인물의 것은 仙案이라 했고 생존 했던 인물의 것은 鄕案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그런 구별이 무의미하니 이를 合編하여 原案이라 부른 것이다. 원안의 기재 방식은 과거 만들어진 향안의 방법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옮겼다고 나타나 있다. 본 자료에 수록된 戊午 10월의 향안과 崇禎紀元後再癸酉 5월의 향안이 원안에 해당된다. 增補修錄은 영조 말년 이후의 인물들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安義縣의 향안은 서문에서도 나타나듯이 영조 말년 이후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增補修錄의 기재 인물들은 18세기 중엽 이후의 鄕廳 구성원이 아닌 것이다. 凡例에 따르면 이들은 1976년 ‘安義鄕案 全’을 간행할 당시에 향교에 보존되어 있는 經任案 및 先生案을 참고하고 그 후손들이 올린 單子를 고증하고 정리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나 있다.
鄕中立議와 鄕中完議에는 조선시대 향안 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약이 기재되어 있어, 안의지역 재지사족들의 동향과 향안의 성격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먼저 鄕中立議는 모두 15개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나, 執綱이 立議를 不顧하고 허물을 자행하는 것이 크면 出鄕하고, 버금가면 削迹하고, 가벼우면 損徒할 것. 하나, 鄕所의 差役은 鄕中僉議로 卜定하되, 下吏들과 더불어 민간에서 濫徵할 경우 각별히 重罰을 내릴 것. 하나, 鄕中 연소자로 鄕老를 능멸하는 자는 무거운 벌로 다스리고, 官門에서 相詰하는 자는 모두 上罰로 다스릴 것. 하나, 봄과 가을 慶老宴 때 鄕員들은 각기 新參 1인을 추천하여 可否를 물어 許參토록 하는데, 반드시 三鄕을 갖추어야 하며 三鄕이 못되는 자는 뽑지 않되, 잘못 추천한 자는 損徒할 것. 하나, 향원 가운데 원통한자가 있으면 일제히 관청에 나아가 伸救할 것. 하나, 향원 가운데 몸을 가볍게 하여 鄕風을 더럽히는 자는 上罰로 다스릴 것. 하나, 損徒된 자가 衆會에 冒參하면 영원히 損徒하되, 損徒 기한이 차도 복구를 원하지 않는 자는 賤任을 3회 맞게 하며, 鄕所에서 사사로운 정으로 거행하지 않는 자가 있으면 벌을 내릴 것. 하나, 鄕參品官과 校中儒生은 監官으로 差定하지 않을 것. 하나, 鄕員의 齊會 때 참석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서 여러 핑계를 대는 자는 下罰로 다스릴 것. 하나, 향임은 1년마다 교체하나, 變亂 이후 저축된 고을의 곡식이 없는 관계로 寶上은 편의대로 마련하고 傳掌 후 교체할 것. 하나, 風憲有司는 公直한 사람 가운데 가려 뽑아 고을의 크고 작은 일을 주관케 하며, 폐단을 일으키는 자가 있으면 먼저 鄕所에 알리고 다음에 수령에게 알려 輕重에 따라 처벌할 것. 하나, 鄕會 때 아무 이유 없이 연달아 3회 불참하는 자는 損徒할 것. 하나, 향회 때 單子를 올리고 연달아 3회 불참한 자는 中罰로 다스릴 것. 하나, 損徒를 3회 당한 자는 영원히 損徒할 것.
이상 향중입의는 己亥 4월 21일 修正된 것이다. 變亂 이후에 고을에 저축된 곡식이 없다는 조항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해년은 壬辰倭亂 직후인 1599년으로 추정이 된다. 입의의 주된 내용으로는 鄕員으로서의 행동규범과 위반 시의 처벌 사항, 鄕員의 선발, 鄕任의 선출, 관권에 대한 공동 대응 등이 확인된다. 향원들을 규제하는 행동규범의 조목은 나타나 있지 않으나, 그 輕重에 따라 처벌이 上罰, 中罰, 下罰로 다스렸던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16세기 중반 이후 재지사족들에 의해 제정되던 鄕規의 일반적인 조목이다. 향원 선발에서 주목할 부분은 三鄕을 엄밀히 준수했다는 것이다. 三鄕을 갖추었다는 것은 父, 外祖, 妻父가 모두 해당 고을의 鄕案에 입록되어 있다는 의미로, 명문 재지사족의 잣대가 되었다. 이는 곧 재지사족들만으로 구성된 폐쇄된 향안 운영의 의미하며, 곧 향촌의 지방자치를 재지사족들이 주도했음을 의미한다. 향원 선발에 있어 三鄕의 조건이 가장 엄밀하게 준수된 시기는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중반 사이이다.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 내 질서가 흔들리고, 鄕任의 권한이 저하되던 17세기 중반 이후로는 그 조건이 二鄕 이하로 축소되어 갔으며, 재지사족들의 향안 참여도 점차 기피되어 갔다.
監官의 선임에 鄕參品官과 校中儒生을 제외한다는 부분도 주목된다. 주로 향촌의 조세 수령을 위임 받는 감관은 각 고을의 영향력 있는 자들로 선임하려 했다. 하지만 수령의 통제를 받아야 되는 만큼 명망 있는 사족일수록 감관은 기피 대상이었으며, 이를 둘러싼 관권과의 갈등이 일어나기도 하였었다. 향규에 이러한 규정이 만들어져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재지사족을 중심으로 한 향청 조직의 활동이 영향력 있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17세기 전후 제정된 여러 향규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규정이다. 향원에 원통한 일이 생겼을 때, 다른 향원들이 수령 앞에서 향원의 억울함을 일제히 伸救하는 것도 관권에 대한 재지사족들의 조직적인 대응 양상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鄕中完議는 9개 조항으로 되어 있으며, 조항 앞에는 서문 격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글에는 완의가 壬辰倭亂 이후 나타난 향촌 내 신분질서의 혼란상을 대응하기 위해 재지사족들에 의해 제정되었음이 나타난다. 이에 따르면 임진왜란 이후 고을의 기강이 板蕩해지고 풍속이 극악해져 元惡鄕吏와 用事書員들이 간악한 행동을 저지르고 백성을 침해하고 있으며, 鄕吏들 가운데는 納粟으로 職牒을 받아 외람되게 乘肥衣輕하고 있다며 당시의 향촌 분위기를 개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官物을 사사로이 사용하고 身役을 마음대로 면제해 주고 있다며 觀察使에게 알려 죄를 다스리게 하고, 이런 元惡鄕吏와 用事書員을 통제하기 위한 완의를 제정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부족한 財用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納粟을 장려하고, 그 대가로 職牒을 내려 주었다. 당시 많은 鄕吏와 富豪들이 職牒을 부여 받게 되는데, 이들은 職牒을 매개로 신분상승을 꾀했으며 향촌 운영의 참여를 도모하였다. 이는 곧 기존의 재지사족들 간의 마찰로 이어졌고, 사족들은 이들을 향촌 내 질서를 어지럽히는 간악한 무리로 규정하면서 새로운 향규 제정을 통해 이들의 활동을 통제하려했던 것이다.
이어 수록된 향중완의 9개 조항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나, 元惡鄕吏와 用術書員을 법에 의거하여 벌을 주는 규약은 시행한지 오래되어 그들의 거리낌 없어짐이 더욱 심해지고 있으니, 지금 이후로 이러한 일이 벌어지면 一鄕에서 먼저 수령에게 고하고, 그리고 관찰사와 司憲府에 고해, 법으로 그 죄를 다스리게 할 것. 하나, 作廳의 아전과 官奴婢들이 校院을 陵侮할 경우 一鄕에서 일제히 일어나 무거운 벌로 다스릴 것. 하나, 下人輩로 民들을 과도하게 수탈하여 이들의 奠居를 방해하는 자들은 官에 牒報하여 처벌할 것. 하나, 善籍과 惡籍은 시행된지 오래되었으니 지금 이후로 향청에서 일일이 선행과 악행을 기록하여 매년 새해에 죄의 경중에 따라 처벌하며, 이때 老少가 다 모이는데 不參하는 자는 무거운 벌로 다스릴 것. 하나, 上司에서 分定한 물건은 모두 鄕吏들이 관리하면서 초과 磨鍊하고 있으니, 지금 이후로 초과 磨鍊하는 향리들은 鄕所에서 무거운 벌로 다스릴 것. 하나, 武科都目의 成貼 때 그간 鄕所에서 濫許하여 폐가 심하니, 지금 이후로 一鄕에서 通하지 않으면 許赴케 하지 말 것. 하나, 모두가 꺼려하는 鄕任에 望呈되는 경우 감당하지 못하고 기피하는 경우가 많으니, 앞으로 이를 감당할 수 있는 향원 중에 골라 望呈할 것. 하나, 鄕任을 望呈 할 때 참석하는 자들이 적어 圈點이 이루어지지 않으니 지금 이후로 回文을 돌려 齊會케 할 것. 하나, 鄕員의 新遷은 중요한 일이니 앞으로 모인 향원이 20인 이하이거나 新遷된 자가 30세 미만이면 거행하지 말 것.
이상 9개 조항의 향중완의가 제정된 것은 戊辰 4월로, 임진왜란 이후 신분질서가 혼란스러웠던 1628년 무렵으로 추정이 된다. 위 조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元惡鄕吏, 用術書員, 作廳의 여러 무리, 官奴婢 및 下人輩들에 대한 엄격한 규제이다. 임진왜란 직후 재지사족들에게 가장 시급했던 문제 중의 하나는 혼란스러워진 신분지배질서의 확립과 향촌 운영 주도권의 확립이었다. 특히 임진왜란 때 남발되었던 空名帖과 納粟策 등의 방법으로 신분상승을 꾀하는 鄕吏와 富豪들의 鄕權 도전은 기존의 재지사족들에 중대한 사안이었다. 위와 같이 하층민을 엄격히 규정하는 완의가 제정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안의향안의 명부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범례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먼저 舊來의 仙案과 鄕案을 합친 原案이 수록되어 있다. 원안은 戊午 10월의 것과 1693년인 崇禎紀元後再癸酉 5월의 것이다. 무오 10월의 향안은 郡守成允仝부터 僉知愼景逸까지 모두 257명이 기재되어 있다. 기재 인물의 활동 시기는 대략 16세기 전반에서 17세기 후반까지 대략 200년 정도로 확인된다. 무오 10월의 명부에 기재된 인물들은 명실상부한 16~17세기 安義縣 지역을 대표하던 재지사족이었다. 16세기 중엽부터 재지사족들은 향안 조직에 이름을 올림으로써 향촌 지배를 확고히 해 나갔다. 아울러 그 입록 조건을 까다롭게 규정함으로써 吏族들의 향안 참여를 배제시켜 나가며 폐쇄성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러한 경향은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중반까지의 향안 작성과정에서 확연하게 나타난다.
향안 입록자의 사회적 명망과 위치는 戊午 10월 명부에 기재된 해당 인물의 職役 등을 통해 짐작 할 수 있다. 이는 입록자 257명 중 184명에게서 확인된다. 가장 많은 것은 단연 幼學으로 모두 62명이다. 그 외 僉知 17명, 忠義衛 14명, 參奉 13명, 忠順衛 9명, 縣監 7명, 生員 6명, 直長 5명, 進士 4명, 訓導 4명 등이 있으며, 敎官, 郡守, 權管, 內禁衛, 同知, 社稷令, 萬戶, 文簡公, 別侍衛, 奉事, 部將, 司宰正, 宣務郞, 正郞, 正字, 族親衛, 從仕郞, 佐郞, 執義, 察訪, 僉正, 通德郞, 通仕郞, 判決事, 判官, 學諭, 護軍, 參議, 參判 등이 있다. 입록자의 姓名과 字 앞에 관직명, 諡號, 兵種, 官階 등을 기재함으로써 그들의 사회적 위치를 표시해 놓은 것이다. 18세기 이후 작성되는 대부분의 향안 입록자의 사회적 위치가 幼學으로 표시되던 것과는 달리 다양한 職役 등이 표시되어 있어 당시 향안 입록의 까다로움과 향안 입록자의 사회적 위신을 알게 해준다. 특히 戊午 10월의 향안에는 조선중기 慶尙右道 지역을 대표하던 安義縣 출신의 유학자들과 관료들이 망라되어 있는데, 鄭蘊을 비롯하여 林薰, 趙孝博, 鄭維明, 成彭年, 朴明榑, 林鎭懋, 鄭東望 등이 확인된다.
입록자의 성씨 분포는 鄭씨 51명, 愼씨 42명, 劉씨 23명, 林씨 25명, 慶씨 18명, 全씨 16명, 李씨 10명, 成씨 10명, 吳씨 9명, 尹씨 8명, 朴씨 7명, 趙씨 6명, 邊씨 5명, 金씨 5명, 郭씨 4명, 柳씨 4명, 曺씨 4명, 姜씨 3명, 權씨 3명, 禹씨 3명 순이다. 향안에 입록자들의 성씨 중 안의현 土姓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되어 있는 안의현 성씨 朴, 李, 劉, 林, 鄭, 邊, 愼, 曺, 權, 吳, 潘, 趙, 姜, 尹, 慶, 郭, 全, 禹, 金, 文, 成, 柳, 申, 宋, 洪, 溫씨 가운데서 특정 성씨가 안의향안에 입록되고 있음이 나타난다. 즉 안의현의 재지사족은 舊來의 토성들 가운데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麗末鮮初 率壻婚에 따른 外家 및 妻家로의 入鄕과 정착, 향촌 개발에 따른 卜居 등으로 이주한 他貫姓氏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1693년인 崇禎紀元後再癸酉 5월의 명부에는 모두 82명이 기재되어 있다. 戊午 10월의 명부와는 달리 입록자는 姓名과 출생 干支, 字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입록자들은 작성 당시 안의현에서 활동했던 재지사족들로 여겨진다. 凡例에는 原案이 향안 작성 당시 卒한 인물의 명부였던 仙案과 생존했던 인물의 명부인 鄕案을 합친 것이라 했는데, 이 명부는 생존 인물의 명부인 향안인 것이다. 그런데 기재 인물들의 이력을 살펴 볼 때, 戊午 10월의 것과 비교해서 1693년 명부에 입록된 인물의 사회적 지위가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앙 관직 역임자는 물론이고 生進試 합격자도 확인되지 않는다. 대부분이 幼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향안 입록자의 질적 저하는 17세기 중엽부터 나타나는 현상이다. 물론 지역에 따라 시기적 차이는 있지만, 鄕任의 사회적 지위가 크게 약화되는 17세기 중엽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재지사족들은 鄕任을 기피하며 점차 향안 조직에서 일탈해 갔으며, 반면 임진왜란 이후 사회적 신분상승을 이루었거나 도모하였던 新鄕들에 의해 향안이 장악되어 갔다. 이는 곧 향안 입록자의 사회적 지위의 질적 저하와 향안 권위의 약화로 이어졌다.
한편, 1693년 명부 입록자의 성씨 분포는 鄭씨 18명, 慶씨 10명, 權 9명, 曺씨 9명, 全씨 7명, 柳씨 6명, 劉씨 5명, 李씨 4명, 郭씨 2명, 朴씨 1명 순으로 나타난다. 戊午 10월의 명부와 비교했을 때 참여 성씨가 상당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17세기 중엽이후 향안 조직의 권위가 약화되고 기피의 대상이 되자 상당수의 재지사족들이 향안 입록을 기피하며 일탈해 갔는데, 戊午 10월 명부 입록 재지사족 중 일부가 17세기 후반 향안 조직에서 일탈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이 된다.
1976년 음력 10월, 본 安義鄕案이 간행될 당시에 작성된 명부는 기존 鄕案과는 성격이 완전히 다른 것이다. 凡例에 따르면 英祖 말년 이후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향안이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옛적 향교 經任案과 先生案을 참고하여 만든 명부임을 밝히고 있다. 즉 20세기 후반 舊 安義縣에 연고를 가지고 있던 후손들이 安義鄕校 소장 기록들을 참고하여 지역 구성원들 간의 결속력 강화와 각 가문들의 유구성 과시, 그리고 향안 전통의 계승이라는 목적 하에 만들었던 것이다. 입록자들은 姓名, 字, 출생 干支, 本貫, 顯祖, 거주지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입록된 인물은 모두 511명인데, 18세기에 활동했던 인물부터 확인된다. 姓貫별 분포는 居昌愼氏 72명, 恩津林氏 70명, 居昌劉氏 34명, 草溪鄭氏 34명, 淸州慶氏 28명, 河濱李氏 28명, 密陽朴氏 27명, 丹陽禹氏 26명 晋州姜氏 19명, 東萊鄭氏 19명, 旌善全氏 18명, 漢陽趙氏 17명, 坡州廉氏 16명, 安東權氏 15명, 坡平尹氏 15명, 晋陽鄭氏 11명, 文化柳氏 10명, 昌寧成氏 8명, 海州吳氏 8명, 淸州郭氏 7명, 昌寧曺氏 7명, 陜川李氏 5명, 恩津宋氏 5명, 礪山宋氏 2명, 咸陽吳氏 2명, 慶州李氏 1명, 夫餘白氏 1명 순이다. 原案과 비교했을 경우 훨씬 다양한 姓貫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후대에 안의현으로 이주한 가문으로 여겨진다.
명부의 본관 다음에는 顯祖 누구의 后임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난 顯祖 중 鄭玉堅, 劉瓘, 全轍, 趙謔, 郭賓, 林薰, 愼權, 鄭夢瑞, 鄭澣, 朴德聰, 鄭輳, 趙孝博. 鄭維明, 成彭年, 全珩, 全瑀, 朴明榑, 尹應錫, 鄭蘊, 全時彦은 原案, 특히 戊午 10월의 명부에서 확인되는 이름이며 당대 안의현을 대표하던 명망 있던 사족이었다. 이러한 현조의 기재는 안의향안 간행 주도자들의 일족 간 결속력 강화와 가문의 유구성 과시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명부 마지막에는 입록자들의 거주지가 기재되어 있는데, 현재까지 그 후손들이 世居하고 있는 지역이 많다. 거주지 기재는 안의향안 간행 당시 그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는 법정 동명을 기준으로 했으며, 1914년 이후 居昌郡에 편입된 지역에 거주하거나 다른 市郡으로 이주했을 경우에는 해당 市郡의 이름도 함께 기재해 놓았다. 한편, 1976년 음력 10월의 명부 작성에는 향교 소장 자료와 안의향안 간행에 참여한 각 가문 소장 자료가 주로 참고가 되었다. 따라서 본 명부 입록자를 18세기 이후 安義 지역을 대표하던 사족들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입록자들의 수적 비중은 1976년 당시 舊 안의현 지역에 거주하던 후손들의 지역 내 위세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명부 다음에는 1976년 8월 15일 안의향안 간행 시 참여했던 任員들을 기재한 重刊任員錄 및 李泰雄鄭寅淳의 跋文이 기재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慶尙道安義縣 재지사족들의 향촌 지배 양상과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향안은 지방자치 기구인 留鄕所 및 鄕廳 구성원들의 명부로, 입록자의 성격은 시기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대체로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질서가 확립되던 17세기 전후에는 당대 지역을 대표하던 재지사족들이 입록되던 것이 일반적이었다. 안의향안에 기재된 17세기 전후 인물 역시 고위 관료를 역임하거나 당대 慶尙右道를 대표하던 학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17세기 중엽, 營將事目의 실시로 인한 鄕任의 지위 약화, 임진왜란 이후 새롭게 성장한 新鄕 세력의 鄕權 도전으로 기존의 재지사족들은 향안 조직에서 점차 일탈해 갔다. 이는 곧 향안 구성원들의 사회적 지위 저하로 나타났으며, 조선후기 향촌지배질서의 재편으로 이어졌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安義邑誌』,
『安義鄕案 全』, 安義鄕校, 1976
『咸陽郡誌』, 咸陽郡誌編纂委員會, 咸陽郡, 1981
『大邱史學』26, 申正熙, 大邱史學會, 198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申正熙,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76년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 간행 안의향안(安義鄕案)
安義鄕案全
序文
夫鄕之有案也者本鄕之賢人登案也惟我安陰之鄕地勢
極美賢人輩出繼往開來隣鄕之稱眞可謂鄒魯之鄕也而
余今奉審越昔先人之初起鄕案則但賢人姓諱而已不見
凡人登案至于英宗之末國政亂麻鄕俗頹廢唐詩顯達之
士隱於林壑之中接無續案沈滯于今二百餘年之久矣噫
嘻痛哉豈爲後裔者想其先父老之遺蹟坐視安在哉惟願
僉尊奉審先父之校宮經任案以續鄕案之事如何咸曰諾
主爲重役李泰雄鄭寅淳全炳銖三人也勤勤攷攷先爲舊
鄕案及仙案爲頭次以前校宮經任與先生案倂合一卷惟
我起敬追慕披閱覺習廣其傳世則豈不美哉其於後生敎
養之方亦無不小補焉今此余之不文樗鈍之才妄自爲書
如右
丙辰流火之節
德恩林喆熙謹序
凡例
一,仙案一編及鄕案二編合編原案而始自仁祖初(檀紀三九五
六年)至英祖末而(檀紀四一○九年)當時旣沒諸賢曰仙案生存
諸賢曰鄕案今次增補重刊則不必區分故總稱之以鄕案焉
二,原案依舊案而不敢改書焉
三,今次增補修錄攷徵信文籍而鄕校保存經任案先生案登錄
諸賢中依後孫呈單釐正修錄事
四,原案只書姓諱官爵則恐涉太畧故今次增補編則攷徵該門
諱史畧書姓諱字生貫先代系譜後孫居所等依單修錄焉
五,重刊序次則先次原案編增補編則經任案先生案修錄順次
依據編纂焉
安義鄕校沿革(咸陽郡安義面校北里一四八番地)
檀紀三八○六年成宗四年癸巳【縣舊無學校生徒僑寓於縣司新羅朽岩寺舊址縣監
創建聖廟

檀紀三八○七年成宗五年甲午縣監申允造十二位牌板奉安訓導金宗佑率儒生落
成式其第佔畢齋金宗直撰記文

檀紀三九三○年宣祖三○年丁酉【校宮灰於兵燹

檀紀三九四○年宣祖四○年丁未縣監梁讚更構明倫堂化雨出谷兩齋

檀紀三九四八年光海主七年乙卯縣監鄭思竑校宮重修

檀紀四○○九年肅宗二○年丙辰縣監呂翼濟不煩民力重修

檀紀四○二八年肅宗二一年乙亥縣監李萬程改修聖廟

檀紀四○六一年英祖四年戊申【邑士鄭希亮叛陷本縣官軍討平之翌年己酉廢縣分
咸陽居昌故文廟亦隨之撤廢諸位神板盡位埋安

檀紀四○六九年英祖十二年丙辰【邑士河濱李聖擇與其族叔萬寬萬宏邑士慶州崔參
諸氏上疏陳邑廢府領事金在魯筵達其由上命
復邑後當時縣監李縣良重修文廟新造諸位神板奉
安依舊

鄕中立議己亥四月二十一日修定
一執綱不顧立議恣行胷臆無所忌憚大則出鄕次則削
迹輕則損徒事
一一應差役鄕所與鄕中僉議卜定爲乎矣符同下吏濫
懲民間者各別重罰事
一鄕所改望時年少儒生篤志擧業者擬望安徐事
一鄕中年少之人凌慢鄕老庸言罵辱者則在下者從重
致罰爲乎矣官門相詰者兩員並從上罰事
一春秋慶老宴大會時鄕員各薦新參一人通可否許參
爲乎矣薦者必察三鄕三不以上許參安徐爲遣其中
謬擧者損徒事
一鄕員如有寃在者一鄕齊進申救事
一凡鄕參人員自賤其身汚穢鄕風者從上罰事
一被損之人不有鄕法冒參衆會者永永損徒爲乎矣如
準期而不願解損者賤任三度定行爲㫆其峕鄕所牽
私用情趁不擧行者以其罪罰之事
一鄕參品官及校中儒生乙凡百監官差定安徐事
一鄕員齊會峕安然在家稱頉呈狀者從下罰事
一鄕所乙一年相遆爲乎矣變亂以來鄕無儲穀爲昆寶
上乙隨便准備傳掌後遆任事
一風憲有司乙公直人以擇差爲乎矣一鄕大小公事乙
一日主掌爲㫆鄕所作弊者先告一鄕次告邑宰從輕
重定罰事
一鄕會峕連三度無緣不參者損從事
一鄕會時呈單子連三度不參者中罰事
一被損之人至三度則永不解損事
一鄕爲完議事變亂之後鄕綱板蕩風俗極惡爲鄕所
者庇護亢惡鄕吏用事書員隱匿不發致令奸吏恣行
無忌侵嚇殘民使不得存接極爲寒心爲沙余良有一
二鄕吏依憑上使營吏或以軍功或以納粟旨受職牒
至於乘肥衣輕凌轢一鄕叱分不喩大小官物乙敎誘
援引圖出告身俾免身役將使官物殆盡無餘極爲痛
憤乙仍于將欲呈書巡相必重治後已爲去乎
上項元惡鄕吏用事書員冒受職這這括出爲矣
冒受職牒事段自有國典爲在果元惡鄕吏用事書員
段專家寶邊亦國法申明爲有昆朝家美意十分
奉行爲置鄕所段置循私用情除良依完議擧行事
鄕中完議戊辰四月修
一頑惡鄕吏用術書員依法定罪之規不行久矣故恣行
胷臆小無忌憚自今以後如有犯罪者一鄕齊起告于
官前又呈方伯及司憲府依律治罪事
一作廳及官奴婢等不有校院陵侮自恣者一不致罰是
長其惡也自今以後如有如前之習者一鄕齊起重罪

一下人輩聚歛民間作弊窮使生民未得奠居者牒報官
前定罪事
一善惡籍設立已久未有聞旌善懲惡之擧此乃鄕所之
過一善一惡幷書留置正朝歲謁旹隨輕重定罪此乃
節目中大擧老少咸集而如有淳沉不參者重罰事
一上司分定之物委諸下吏過數磨鍊極其痛駭自今以
後加敎磨鍊鄕所重罰事
一武科都目成貼旹鄕所任意濫許故後弊無窮自今以
後一鄕齊會通可不許赴事
一此旹鄕所人皆厭避望呈旹或以不堪之員苟充其數
故以致鄕綱解弛不成體貌自今以後擇其可堪之員望
呈事
一鄕任望呈時無一人來會未成捧圏之規鄕法廢弛於
此尤甚自今以後出回文即爲齊會事
一鄕中新薦一鄕之大擧措繼自今會員未滿二十則擧
行安徐爲乎矣新薦之人段置䄵未滿三十則亦爲薦擧
安徐事
鄕案
郡守成允仝公信
執義鄭玉堅不磷
進士全軾希瞻
別侍衛李勣唐卿
進士林得蕃衍卿
族親衛愼友孟景醇
縣監李守震春卿
通仕郞吳士良善叔
參奉劉瓘瓘之
別侍衛全轍子由
部將慶祉綏之
忠順衛全軼善由
忠義趙謔敬仲
忠順衛成漢俊俊卿
幼學郭賓國光
僉知鄭湛平仲
幼學李夢暾應瑞
忠順衛成漢良子房
判決事林薰仲成
訓導愼權彦中
司宰正金禧年慶老
直長李齊楊子華
僉正鄭夢瑞孝應
忠順衛鄭淑淸夫
參奉尹鸞祥卿
忠順衛鄭澣瀚之
訓導愼準彦直
忠順衛劉友閔孝叔
縣監李元慶善吉
幼學劉友顔希賢
縣監李亨慶嘉吉
忠順衛劉友參魯叔
參奉韓晃明遠
慶大臨賀元
鄭連宗元緖
生員金德年得老
訓導朴德薰仲郁
幼學鄭元補直卿
全士英良佐
訓導朴德聰子敏
朴德裕寬甫
參議全士雄國輔
縣監鄭輳大興
參奉林芸彦成
僉知郭懷誠希剛
幼學慶大振起元
忠順衛慶震伯起
直長吳雲汝雨
幼學慶霽仲浩
忠順衛邊士亨仲嘉
參奉愼復亨亨之
李海潮卿
僉知曺凱佑公輔
權管鄭惟新勉夫
幼學愼復興興之
幼學權汝訥叔魯
鄭洪福仲綏
生員鄭惟精擇仲
縣監金信玉公瑞
幼學鄭廉子淸
正字劉德盖施晋
幼學林承祚可延
內禁衛鄭庸子常
忠義柳世漢大源
幼學柳世泓深源
幼學鄭惟文顯甫
幼學鄭惟立楊仲
幼學林承錫可膺
幼學劉功盖濟普
忠義趙孝博行源
進士鄭惟明克允
生員成彭年頤翁
幼學愼復顯顯之
參奉鄭大益彦謙
幼學朴瀠長源
幼學劉名盖顯普
幼學金儀鳳舜瑞
幼學愼復立立之
幼學鄭大有彦休
幼學尹琡可獻
判官慶紳華國
幼學吳德源而浚
奉事尹琿汝獻
僉知李景福士安
尹湯佑華叟
愼復行盛之
忠義尹劼子固
幼學愼復振仲之
愼復始元之
同知林承慶可遠
僉知全珩伯玉
參奉愼復起起之
幼學全琮伯珍
僉知鄭洪祐李綏
幼學權湕淸之
林承信可立
愼証而格
劉誠甲健初
參奉愼譡而協
直長邊讓文禮
萬戶趙孝悅誠源
僉知慶緝伯胤
鄭惟善元仲
幼學全瑀仲玉
全琛仲珍
愼復揚揚之
僉知全琚叔玉
直長全璜幼玉
幼學郭訒景敏
鄭縝密甫
忠義趙尙德景适
僉知鄭大任思重
從仕郞劉信甲立初
直長鄭相周平甫
生員成効奎景旭
幼學吳德溢而泳
參判朴明榑汝昇
忠義趙敏德景懋
幼學慶道純彦一
幼學愼詠而與
劉義甲制初
忠義柳復美甫
參奉朴明桂汝桓
郡守曺崑壽頤叟
佐郞鄭仁慶榮甫
幼學邊尙節子吉
忠義尹應錫而受
僉正劉光道克謙
幼學鄭昌後繼周
文簡公鄭蘊輝遠
參奉吳德泓而混
進士劉敬甲一初
幼學林眞慜達甫
林眞懋德甫
鄭絍彦章
幼學鄭䋖思遠
宣務郞鄭昌訓鳴殷
宣務郞鄭昌模鳴夏
鄭昌弼天賚
慶道立彦行
愼譍而述
生員吳佺壽伯
幼學吳倫君敍
全時望景霖
愼景暹晦元
察訪鄭以龍士確
幼學鄭以虎士炳
成爾昌勉而
奉事鄭思悔汝復
幼學愼諾而重
劉智甲樂初
正郞鄭昌詩鳴周
幼學劉行道履之
鄭宗周賛甫
愼誡而警
金定胤孝彦
慶晟晦甫
姜尙胤友古
忠義鄭師古之聖
判官慶維持國
幼學成震奎覲明
鄭緗光甫
成道昌坦而
忠義鄭周藩翰卿
幼學李晛汝明
愼{忄+卓}而任
劉弘甲毅初
奉事鄭絔功遠
幼學林眞惠義甫
縣監禹汝楙大伯
幼學愼景乾健甫
曺益晅子貞
劉繼道述之
察訪成繼昌述夫
幼學林眞戇直甫
忠義鄭以怗子安
幼學吳偲君直
姜昌胤伯聖
邊瑨伯獻
忠義尹洪幼川
幼學愼諯而節
愼訒而悟
權克信任伯
幼學愼說而厚
愼景義汝弘
愼景彬學林
愼景暉晦馬
禹錫一子行
姜士胤汝俊
吳佖文伯
愼景昈晦中
忠義趙宙達哉
幼學林汝柱士擎
同知鄭約汝博
幼學愼景曄晦翁
敎官郭希益受余
幼學劉羾龍文卿
鄭昌賓子相
察訪曺益暉子文
同知李重榮克和
幼學邊璇季獻
慶之泰士亨
禹錫五子實
林汝梧士鳴
林東秀子九
學諭鄭東望一老
幼學愼修公敏
僉知林眞忍百甫
幼學全孝明行叔
慶時泰士中
愼耉克昌
林東尹大而
忠義柳德新汝潤
生員愼景稷相卿
幼學慶榮男仁伯
慶怡泰而
同知林汝楗幹哉
全時叙景三
僉知劉有道子晦
愼景昇晦伯
全時彦景美
通德郞朴爾點子興
幼學愼處愚學顔
愼景全完卿
林汝柟必榮
僉知鄭光胤孝然
幼學林汝桓武仲
鄭東亮寅仲
劉潤禧汝亨
尹深幼淸
同知林汝材士養
僉知林汝樞士膽
幼學全益祚維仲
同知林汝樟士章
幼學劉任道立之
僉知鄭以彪士文
幼學劉潤祖仲昌
愼光盛茂叔
愼景祉子綏
愼景祐子將
慶悅繹甫
僉知慶忻懼而
幼學愼景曾汝魯
慶恬處默
愼景行壽卿
林汝植必中
社稷令鄭岐壽宗耉
林汝相必聞
劉松齡克壽
成有隣德彦
僉知愼宇量巨容
幼學鄭岐鳳游聖
護軍劉潤祺汝膺
參奉鄭岐憲景則
縣監鄭岐胤錫卿
幼學林汝梅必馨
僉知愼景逸處君

戊午十月日
權斗審丁巳君執
鄭周卿甲子廷老
劉坦道甲子子由
慶國泰丁卯士元
鄭周冕丁卯萬瞻
鄭周憲庚午景式
鄭周望癸酉萬景
柳墉乙亥子高
鄭周臣丙子隣哉
曺漢雄戊寅敵萬
劉潤孝己卯行元
邊碩勛庚辰鴻輔
劉潤悌辛巳行仲
李蕾壬午君實
曺漢賓壬午雲卿
權萬規壬午肅而
慶來章癸未子絅
鄭杺乙酉汝直
鄭梃丙戌春長
曺漢元丙戌元老
曺漢卿戊子卿老
李蕃己丑君彦
邊碩潤己丑汝霖
慶來遂己丑子薦
鄭㰒庚寅伯榮
朴世基壬辰處元
慶來延壬辰仲長
權萬榘壬辰器而
鄭楷甲午仲榮
全必建甲午文克
權萬中乙未和而
鄭棨丙申季榮
權萬準丙申子準
鄭梡丁酉榟伯
尹斗山丁酉士仰
愼道成丁酉子修
權萬度戊戌度而
鄭{木+奕}己亥季亨
權萬直己亥子衡
全必達庚子德行
曺世震庚子祥遠
全必進辛丑進夫
邊碩安辛丑汝亨
鄭槮壬寅成仲
全悟壬寅行五
柳文璧癸卯章甫
劉潤世癸卯晬夫
愼成天癸卯子順
權萬亮癸卯子明
慶來千甲辰善徵
鄭楙乙巳茂伯
鄭樑乙巳任重
曺夏震丙午憲叔
慶萬進丙午伯升
邊鐸丁未道汝
郭後欽戊申時卿
慶來萬戊申君萬
柳文井己酉輝卿
鄭玄升己酉聞伯
柳文奎壬子會卿
柳文軫壬子燦卿
愼錫孝癸丑源百
曺昌震甲寅盛叔
劉以正甲寅平甫
柳文斗乙卯斗卿
權點丁巳聖典
曺時震戊午時哉
慶萬益戊午汝謙
慶萬基庚申伯溫
全萬和庚申浩元
愼錫履辛酉德基
鄭玄泰壬戌來而
愼錫疇癸亥德叙
鄭玄祚甲子祐而
邊鎣乙丑明遠
李聖擇丙寅執中
全萬祥丙寅德徵
全萬龜戊辰汝徵
李萬宏癸酉美甫
慶益會癸酉仲初
郭漢徵甲戌宗甫
曺應海己卯汝大

崇禎紀元後再癸酉五月日
朴之爀字元方乙酉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愼性淵字命五戊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上川
林尙權字師伯己酉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愼應璧字隆之甲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上川
朴東朝字士震甲戌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錦川
柳必和字必萬壬戌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尹文欽字宅三戊辰生坡平人西潭齋應錫安義新安
劉瑚己巳生居昌人瀯溪懽安義
林振升字彦高庚午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林尙玄字命伯丙辰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愼性僴字毅仲壬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朴以春字慶仁戊子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慶履健字康伯甲子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成師岳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郭鎔字士章戊子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鄭民淳字敦甫丁酉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黃谷
林光宅字士安乙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成源夏字行能己巳生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鄭光澤甲戌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朴耆朝字聖弼癸未生密陽人三五亭德聰安義馬洞
李邦衡字直卿乙卯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愼性天字汝浩丁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愼昌儉字能甫丁巳生居昌人樂水權西下梧峴
林光瞻字士雲辛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學天字德能癸酉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慶履章字元測甲申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姜赫字汝文己卯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司馬
林尙桂字榮伯己未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鄭有源字奉孝戊辰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禹精傅字學初癸丑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朴之訥字君誠辛未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愼必侃字子行甲申生居昌人樂水權渭川上川
林光恩字士雲辛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尹元欽字文伯癸丑生坡平人西潭齋應錫安義新安
李龜銓字元老甲戌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林碩晋字元初辛巳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劉尙龍辛未生居昌人瀯溪懽渭川金谷
朴潤東字德而戊寅生密陽人知足堂明榑西下茶谷
愼泰明字吉仲癸亥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趙琇字彩玉乙亥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
柳挻和字碩之己未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愼性穆字熙遠甲戌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潜字孔怡戊寅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上源
劉克龍癸巳生居昌人瀯溪懽晋陽金谷德溪
權潤宅字明汝辛酉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李宗漢字子東壬戌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林之雨字君則壬午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姜周欽字再雅壬午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柳霖字明遠丙寅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全應漢字倬之壬申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慶必祿乙亥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鄭民儉字子厚壬午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石盤
禹徵洛字河潤丙戌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朴潤光字德天乙丑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林之鳳字義休乙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吳克烈字光能丙寅生海州人典書光廷安義宿林
愼性道字善之辛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陽學字聖悅丙戌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鄭烈字光範丙子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林內
李龍漢字而見辛卯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權{金+禹}字聲振乙亥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林之玉字君琢壬戌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全宅聖字聖伯辛酉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朴潤根字權夫壬申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林之億字君直甲辰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必熺字梅叔辛卯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李天漢字子章乙丑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林之穆字君敬壬申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性恒字若天庚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尹得濟字可善庚寅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鄭有弼字見五壬午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柳瀰字光遠辛未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朴台濟字允叔己巳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薪田
劉克文壬辰生居昌人瀯溪懽全北長水
李相徵字台之乙酉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趙玹字成玉庚辰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眠洞
柳{氵+成}字成遠庚寅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林碩馨字遠卿辛未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權尙範字洪機庚戌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朴之甲字啓初庚辰生密陽人知足堂明榑馬利臯鶴
慶履衡字子平乙酉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李相五字舜元丁未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愼必履字士興壬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全致華字幼安甲申生旌善人僉知珩馬利迎勝
姜赫字士平甲申生晋陽人博約齋渭龍馬利迎勝
柳㵯字千擧辛卯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曺成澤字燦卿癸巳生昌寧人竹軒淑渭川黃山
鄭炯庚寅生草溪人蠖溪玉堅渭川薑洞
林碩新字公又丙子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李匡漢字立之戊寅生河濱人月潭挻期馬利月華
慶履權字子中丁亥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權秉機字君連丙午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林致鳳字而儀辛卯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鄭陽世字乃承乙酉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禹象洛字文潤庚寅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鄭師光字乃臣庚戌生草溪人巨濟府使芝榮安義安心
鄭陽宅字兼安庚辰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鄭民瞻字周伯辛丑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石盤
愼必鼎字士鉉乙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瑬字輝振庚戌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尹殷濟字君用辛丑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李相元字舜五壬寅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林致翰字乃良辛丑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姜鵬會字聖輔丁未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愼必觀字士光庚辰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民俊字景欽丁未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石盤
愼必稷字景勛庚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致中字乃執庚子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全致善字而慶庚子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林致龍字乃見乙未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鄭陽驥字乃兼癸卯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禹夏仁字夢汝戊申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林纘源字文顯丁未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性宣字尼彦丙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龍會字雲瑞乙卯生晋陽人博約齋渭龍西上蘆店
李珍爕字善汝癸丑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趙錫洪字士範庚子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珉洞
鄭玭丙辰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愼必喆字吉彦壬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朴宗箕字聖範辛酉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尹莘濟字景安丙子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趙錫龜字士瞻甲辰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珉洞
林長源字顯瑞丁未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必式字殷擧戊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之榘字規己酉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李瑞漢字鳳汝己丑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愼大圭字六汝乙卯生居昌人樂水權居昌邑加旨
劉允欽丁丑生居昌人瀯溪懽西上龜坪
鄭陽健字景輝甲辰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愼必祐字子有丁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愼必祖字執汝壬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正源字聖觀乙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李相斗字兼五乙巳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鄭八熙壬子生草溪人嶧陽惟明渭川薑洞
林之命字性汝癸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尹秉鼎字象三癸丑生坡平人西潭齋應錫安義新安
鄭止寅字亨伯己未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黃谷
愼必珏字國賓丙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瓛字主振戊午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林之永字淸汝辛亥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成光烈字休彦己未生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全致懋字景道辛酉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愼必璨字景實甲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漢源字景一丁亥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禹墉字國膽癸未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岱
鄭民表字季俊乙丑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鳳山
禹希斗字永和辛丑生丹陽人湅川汝楙渭川金谷
朴以九字致極丙寅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愼在正字德弼庚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馥源字行叟壬申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趙泰永字聖來丁丑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眠洞
愼必寧字道汝甲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朴應箕字聖述乙卯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李相度字處中丁巳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鄭陽震字景起庚申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林成源字大有丁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劉在睦辛巳生居昌人瀯溪懽渭川南山
郭林爀字乃文庚寅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慶燻字萬瞻甲戌生淸州人順節公儀大邱市
權秉瓚字聖一庚申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愼在翼字致鴻乙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秀學字景緝戊辰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愼在新字德民辛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朴潤祐字致和甲子生密陽人知足堂明榑西下茶谷
禹夏準字平汝丁巳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泥田
林斗源字文瑞乙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姜奎會字淸瑞辛酉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鄭玹相字敬七丁亥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愼在奭字希叔辛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尹秉直字士能丙子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林慶源字禮可己未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朴潤甲密陽人三五亭德聰安義馬洞
愼在誠字可一乙亥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秀甲字景天丁亥生東萊人九柳齋輳水東上栢
林秀晦字穉晦壬申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李箕爕字璇弼丁丑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鄭璣相字敬在乙酉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吳致奎字寬汝辛未生海州人典書光廷山淸郡生比良面上能里
成邦烈字業汝庚午生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鄭秀一字洛濱丁丑生東萊人九柳齋輳水東上栢
鄭之相字東珉庚寅生草溪人嶧陽惟明渭川薑洞
姜趾淳字伯仁丁丑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尹秉琦字乃珍丙戌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林秀泰字景熙戊辰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權應執字武兼庚寅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李慶爕字靑立戊辰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全政能字國一壬申生旌善人僉知珩馬利迎勝
趙致永字文汝壬申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眠洞
愼式九字文汝丁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永善癸未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朴以植字文仲己丑生密陽人知足堂明榑馬利臯鶴
全錫允字聖祚丁丑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愼在弘字光之甲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成重杰字致道辛卯生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林秀魯字元叔己丑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鄭珪相字殷老壬辰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慶煌字瑞七己巳生淸州人順節公儀大田市
愼益九字德弼庚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愼鶴九字致峻戊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柱彬字華景甲午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林眞源字芳洙丁亥生恩津人葛川薰北上葛溪
鄭龜善丙申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鄭泰善戊寅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愼炳道字貫一丁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秀甲字元弼己亥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李斗燮字應七辛巳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曺翼振字乃鴻癸巳生昌寧人竹軒淑渭川黃山
愼炳祥字汝文癸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愼炳義字允和壬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禹希周字周則丁巳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李昌燮字應瑞乙酉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鄭然學字聖攸癸卯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鄭八漢字聖章丁丑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林秀震字繼天乙未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愼炳魯字聖瑞辛卯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全舜大字舜弼庚子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柳錫龍字致雲丁亥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愼斗晠字德三壬寅生居昌人樂水權西上東坮
姜致淳字潤身庚寅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鄭轔字子玉丁卯生草溪人嶧陽惟明渭川薑洞
林秀萬字奎瑞乙酉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李琮燮字致瑞癸巳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朴尙箕字道明甲辰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權錫耆字純一辛申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禹夏祚字玉汝己丑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林炳熙初名光熙字象七壬子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鄭基榮字明仲丙辰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李龍義字義見辛亥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愼炳齊字子華丁酉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文赫字明會己未生東萊人九柳齋輳水東上栢
趙鍾炫字聲振己未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茅東
姜寶馨字德祚癸卯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全奭大字周輔癸丑生旌善人四樂亭轍渭川金寺洞
愼宗希字君一庚申生居昌人樂水權渭川上川
朴膺煥字景善戊午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城北
慶憲重字汝文甲子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林時熙字元明甲午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鄭煥周字致文壬辰生草溪人巨濟府使芝榮安義安心
姜芳會字時彦戊戌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司馬
趙元植字英秀癸未生漢陽人守吾齋謔全北長水
全榮大字會伯丁未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愼炳周字岐老乙丑生居昌人樂水權居昌正莊中山
劉在煥己卯生居昌人瀯溪懽后河東岳陽
朴以淳字文益密陽人知足堂明榑馬利臯鶴
姜芸馨字君弼辛丑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鄭佑弼字德汝丙子生草溪人蠖溪玉堅渭川薑洞
禹輔鉉字敬仲癸卯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愼炳龍字三池甲辰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慶雲興字殷瑞丁未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林秀顯字而謙戊午生恩津人葛川薰北上葛溪
鄭相爀字應奎戊午生東萊人九柳齋輳水東上栢
愼炳復字汝章戊戌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龜永字洛見辛亥生晋陽人博約齋渭龍馬利豐溪
林秀杞字光彦丁酉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朴善箕字性集丙寅生密陽人知足堂明榑馬利臯鶴
趙眞敎字景燦戊申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江南
林光源字國明甲辰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慶燮字元瑞甲戌生淸州人順節公儀全北茂朱
全甲大字聖甫甲寅生旌善人僉知珩馬利迎勝
愼炳章字舜敎己未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鳳會字錫仲戊申生晋陽人博約齋渭龍馬利豐溪
尹顯在字大賢癸亥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林載學改名基台字應三乙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曺錫夏字賛禹乙卯生昌寧人竹軒淑渭川黃山
愼寧胤字永祚乙卯生居昌人樂水權馬利未屹
禹允鉉字士仲辛亥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林台源字元一庚寅生恩津人葛川薰北上葛溪
鄭然奭字聖一庚戌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愼洛九字致舜丙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秀璜字子誠甲寅生恩津人葛川薰北上葛溪
尹周煥譜名淋煥字明國辛亥生坡平人西潭齋應錫安義新安
李基鴻字國鳴甲寅生河濱人月潭挻期馬利月華
鄭八珏字重執己酉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全永賢字周允庚申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鄭昌宇草溪人判官懷雅渭川薑洞
鄭昌弼庚辰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永豐
曺雲載昌寧人忠翊公文澤渭川黃山
曺昌右昌寧人忠翊公文澤渭川黃山
林光來恩津人
李萬寬字輝甫丁卯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郭遂績字成之癸巳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劉彦德壬子生居昌人瀯溪懽安義
慶澤徵字善五辛卯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慶履復字德初丙戌生淸州人順節公儀馬利臯鶴
愼昌億字元甫戊戌生居昌人樂水權西下梧峴
姜烱東字挻一癸亥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尹益欽字謙之辛未生坡平人西潭齋應錫西上孟洞
慶重來字吉甫己未生淸州人順節公儀后陝川鳳山
劉致睦丙辰生居昌人瀯溪懽馬利回洞
慶善最字樂甫戊戌生淸州人順節公儀大邱市
朴台瑞譜名仲瑞字文守辛酉生密陽人糾正鉉安義馬音
慶恒徵己丑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慶麒徵庚寅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愼守徵字汝要癸卯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禹洪俞字應叟己丑生丹陽人湅川汝楙山淸今西芳谷
劉彦仁乙卯生居昌人瀯溪懽安義
成德夏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尹垕復字汝初辛丑生坡平人西潭齋應錫西上孟洞
禹秉鼎字尙九己酉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劉弘遠壬午生居昌人瀯溪懽渭川
權致經字元五辛亥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芳東
愼克八字仁擧丙辰生居昌人樂水權西上東坮
鄭光又癸亥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劉處睦丙寅生居昌人瀯溪懽山淸生草
鄭載弘壬辰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司馬
愼學明字敬天辛丑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郭景績字大勲己亥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李聖和字惠仲辛卯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林應台字相五丙申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慶鵬徵庚寅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劉克泰丙辰生居昌人瀯溪懽渭川
林光漢字士宗己未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禹鼎九字象三己丑生丹陽人湅川汝楙山淸今西芳谷
慶履泰字通伯乙丑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劉彦參辛酉生居昌人瀯溪懽渭川金谷
權載經字士均己巳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吳尙億字大年丁酉生海州人典書光廷馬利回洞
劉丕遠壬寅生居昌人瀯溪懽山淸生草
愼道明字擴初癸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塾字汝學乙丑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鄭{火+吉}字光普己巳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
權鍉字必元壬子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慶復天字汝能戊午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上川
劉彦一乙巳生居昌人瀯溪懽安義
愼性綱字統萬丁卯生居昌人樂水權西下梧峴
愼復明字達卿甲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慶善應字普運己未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吳克恒字士能己酉生海州人典書光廷馬利回洞
慶光表丙辰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眠洞
林宇健字剛叟丁酉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郭太績字常之庚戌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吳克時字達能戊辰生海州人典書光廷安義
郭鎭朝字德中乙卯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慶光輔字補卿庚申生淸州人順節公儀釜山市
郭鎭原字平中丁巳生淸州人梅竹軒賓渭川南山
尹誠欽字一能辛未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李衡銓字叔明戊午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慶必仁甲戌生淸州人順節公儀晋州市
愼性約字剛彦己卯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熾字明叔壬戌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石盤
姜烱天字安受甲子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棠山
慶光五字補永辛酉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
林碩成字公守甲戌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愼性德字伯閏乙卯生居昌人樂水權西下梧峴
愼大英字景實丁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愼性良字裕彦甲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友成恩津人
林柏秀恩津人
劉啓運丁西生居昌人瀯溪權山淸生草
鄭瑗庚辰生草溪人彰信校尉澣居昌南山靑林
尹垕商字弼甫丁酉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鄭有章字奉一庚午生晋陽人八玩堂夢瑞北上農山
劉彦軫戊辰生居昌人瀯溪懽渭川南山
林應龍字見叔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朴慶朝字君則庚申生密陽人知足堂明榑馬利臯鶴
愼必謙字益甫丙子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之昇字允章甲申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劉彦賢庚午生居昌人瀯溪懽西上
林之漢字益章辛卯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慶翰星字士七己丑生淸州人順節公儀大邱市
趙珩字乃玉丙戌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
柳霖字明遠丙寅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慶必有字敬有癸巳生淸州人順節公儀全北金堤
愼必榮字子興丁酉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鄭潤字季伯辛亥生東萊人九柳齋輳安義
禹河洛字義潤乙酉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新堂
禹益傳字益初乙卯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朴孟朝字聖老乙未生密陽人三五亭德聰安義馬洞
禹哲傳字義初辛卯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柳誠字成遠庚寅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李羽漢字士星壬寅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禹夏聖字逸汝癸卯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林碩五字敬汝乙酉生恩津人道溪英北上葛溪
尹勉欽字强之丁卯生坡平人西潭齋應錫馬利迎勝
林錫五恩津人
愼必純字允一丙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柳載榮字義泊己酉生文化人盤谷績安義鳳山
全宜中字宜伯乙丑生旌善人僉知珩馬利迎勝
禹希範字和淑甲子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劉琬乙巳生居昌人瀯溪懽安義
鄭師天字乃健乙卯生草溪人巨濟府使芝榮安義下肥
愼必憲字大一丙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舞月
全致鼎字大鉉丙午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李相正字心一丙寅生河濱人月潭挻期馬利月華
禹夏伯字俊汝癸丑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鄭弼周字致俊辛丑生草溪人巨濟府使芝榮安義安心
宋廷顯字景儒辛亥生礪山人凍溪瑛安義里門
全致仁字聖安壬子生旌善人迃叟齋時彦馬利學洞
朴之瓉字成玉丁巳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長子
林秀彦字邦叔戊辰生恩津人瞻慕堂芸北上葛溪
劉珣壬寅生居昌人瀯溪懽渭川
趙基永字德汝丁卯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
愼必琦字瑗汝壬戌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李慶漢字麟汝庚申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朴之濠字允玉丁卯生密陽人三五亭德聰安義馬洞
禹夏元字汝亨辛丑生丹陽人湅川汝楙后渡日
趙植永字仁汝癸酉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
愼必輝字國憲庚午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齊欽字渭伯丙午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司馬
愼在夏字明允乙亥生居昌人樂水權渭川舞月
成佑烈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鄭承後字元汝庚子生東萊人僉正應辰安義馬利高昌貢田
禹希泰庚辰生丹陽人湅川汝楙山淸梧釜於西
禹希舜字仁吉辛巳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愼榮國字寬瑞丁巳生居昌人樂水權西上東坮
禹達河字聖元庚寅生丹陽人湅川汝楙渭川金谷
劉文奎辛卯生居昌人瀯溪懽渭川眠洞
李相裕字德若丙寅生河濱人月潭挻期馬利月華
鄭衡相壬辰生草溪人文簡公桐溪蘊渭川薑洞
鄭綽草溪人蠖溪玉堅渭川永豐
全時旭字景輝己丑生旌善人別檢瑀安義馬昔
鄭承緖字元甫癸卯生東萊人僉正應辰安義貢田馬利長白
林克樑恩津人赫蕃
全時陽字景範庚寅生旌善人僉知珩馬利迎勝
愼炳璜字乃俊壬寅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權克信字任伯癸未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劉世甲己卯生居昌人瀯溪懽黃海道延安郡
趙大德字敬修乙酉生漢陽人守吾齋謔渭川眠洞
李義謙字文淑丙子生陝川人文質公芮居昌主尙南山
愼諧字而和丙子生居昌人樂水權全羅道靈岩
劉智甲辛丑生居昌人瀯溪懽金海郡綠山面
全時若字景五辛丑生旌善人四樂亭轍渭川金寺洞
慶再蕃字善余癸未生淸州人順節公儀渭川茅東
宋廷信字允和己卯生恩津人雙淸堂愉西下黃山
林楗恩津人
愼景乾字健甫甲辰生居昌人樂水權西上東坮
鄭師喆字貫一辛卯生草溪人巨濟府使芝榮安義安心
慶再隆字德余丙戌生淸州人順節公儀咸陽栢田
劉光道己丑生居昌人瀯溪懽西上龜坪
李時馨字子榮庚午生陝川人副正事居敏渭川眠洞
成景昌昌寧人石谷彭年渭川上川
朴明迪字晦甫庚亥生密陽人知足堂明榑安義薪田
趙憲漢陽人弧山孝博渭川
鄭時俊字字重東萊人九柳齋輳靈岩都浦鶴松
劉悅道癸卯生居昌人瀯溪懽서울市
趙寅漢陽人弧山孝博渭川眠洞
劉羾龍乙卯生居昌人瀯溪懽渭川眠洞
鄭昌禮癸卯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永豐
劉行道辛丑生居昌人瀯溪懽安義
吳英震字氣伯乙亥生咸陽人成均進士崇夏渭川茅東
愼景儁字士推庚戌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姜昱字明淑辛酉生晋陽人博約齋渭龍渭川堂山
曺益晅字子貢昌寧人竹軒淑渭川黃山
林養賢恩津人赫蕃
鄭昌佐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永豐
劉讚道壬辰生居昌人瀯溪懽渭川金谷
劉味道甲午生居昌人瀯溪懽馬利星洛
李培字子培甲午生陝川人文質公芮居昌主尙興石
李相虎字舜文戊子生河濱人月潭挺期馬利月華
愼景暉字晦焉乙巳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趙定漢陽人守吾齋謔渭川茅東
禹汝儉戊申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劉潤祖辛酉生居昌人瀯溪懽西上龜坪
權得平字均甫庚午生安東人三槐堂時敏咸陽水東道北
鄭岐發壬戌生草溪人彰信校尉澣渭川永豐
吳震亮字臥龍甲辰生海州人典書光廷馬利回洞
劉就道戊午生居昌人瀯溪懽咸陽邑校洞
林禮賢恩津人赫蕃
林之允恩津人
愼景逸字處君辛亥生居昌人樂水權渭川黃山
林養高恩津人赫蕃
吳善徹甲子生咸陽人成均進士崇夏渭川茅東
吳震章字綱叔戊辰生海州人典書光廷馬利回洞
鄭煥字晦汝戊辰生東萊人九柳齋輳水東上栢
廉聖裕字景三癸巳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宋希文字希之戊子生恩津人雙淸堂愉西下黃山
宋浩瑞字乃俊乙卯生恩津人雙淸堂愉西下黃山
林時遇字相元己丑生恩津人葛川薰北上葛溪
廉漢彬字致成癸酉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權昌老字致仁戊子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宋之瑞字國瑞甲寅生恩津人雙淸堂愉西下黃山
林光馥恩津人
劉德恒壬子生居昌人瀯溪懽咸陽池谷
禹戒道甲寅生丹陽人湅川汝楙安義黃垈
李遇瑞字士有己巳生陝川人文質公芮渭川馬項
李雲瑞字達彦庚午生陝川人文質公芮渭川馬項
廉漢傑字允宇甲寅生坡州人忠敬公悌臣馬利高昌
劉起漢癸五生居昌人瀯溪懽渭川珉洞
廉漢宗字振化丙寅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李導朝初名光璧字光導甲子生慶州人益齋齊賢馬利臯鶴
廉大川字淳五丁亥生坡州人忠敬公悌臣馬利高昌
廉漢得字致善癸未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吳峯甲字鶴來乙亥生海州人泰安郡事士雲馬利臯鶴
廉明春字達澤甲寅生坡州人忠敬公悌臣馬利高昌
宋廷祿字顯伯癸亥生礪山人湅溪瑛安義里門
廉達得字重顯乙卯生坡州人忠敬公悌臣西下下坪
朴光元譜名之溫字德隱辛亥生密陽人糾正鉉安義馬音
白受繪字汝彬甲戌生扶餘人中郞將昌稷梁山郡
林基壽恩津人
廉采榮字致雲辛巳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斗坪
廉采得字德來丙辰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林洪恩津人
廉漢應字士彦戊子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權就得字春元丙申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廉振鳳字士重癸丑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廉采鳳字士元丁亥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廉尙鳳字士永辛丑生坡州人忠敬公悌臣安義鳳山
林鎭履改名文白恩津人
曺文哲字聖律己丑生昌寧人竹軒淑渭川黃山
林景喜恩津人
權斗里字君執丁巳生安東人三槐堂時敏渭川茅東
廉垕星字正澤丙辰生坡州人忠敬公悌臣居昌南上月坪
廉達永字成五庚寅生坡州人忠敬公悌臣西上金塘
宋一弘字寬而己卯生恩津人雙淸堂愉西下黃山

檀紀四千三百九年丙辰十月日
重刊任員錄(無順)
都廳林喆熙恩津人北上葛溪
副都廳愼龍晟居昌人渭川黃山
副都廳朴以順密陽人安義錦川
總務兼幹事長鄭寅淳草溪人渭川薑川
財經全炳銖旌善人馬利迎勝
校正柳正玉文化人安義石盤
校正林基福恩津人北上葛溪
校正愼鏞震居昌人西下茶谷
校正劉{王+斤}煥居昌人西上龜平
幹事林永奎恩津人北上葛溪
幹事林載弘恩津人北上中山
幹事林鍾岳恩津人北上葛溪
幹事鄭永才晋陽人北上農山
幹事愼玉晟居昌人渭川黃山
幹事劉炳淑居昌人渭川佳峴
幹事愼奇晟居昌人渭川黃山
幹事李亨基陜川人渭川馬項
幹事姜尙馨晋陽人渭川堂山
幹事權潤錫安東人渭川茅東
幹事趙炳一昌寧人渭川上川
幹事全潤植旌善人馬利學洞
幹事李泰熹河濱人馬利月華
幹事尹錫永坡平人馬利迎勝
幹事吳春泳海州人馬利池洞
幹事朴奎操密陽人安義城北
幹事廉相{鎭/大}坡州人安義鳳山
幹事鄭萬錫東萊人安義石盤
幹事鄭然昌草溪人安義下肥
幹事朴相瑾密陽人西下茶谷
幹事禹炳五丹陽人安義黃岱
幹事吳春根海州人加北龍山
顧問李泰雄河濱人儒道會慶尙南道本郡委員長兼財團法人
慶尙南道鄕校財團理事長
顧問白祐鍾水原人成均館典學兼安義鄕校典校
監査禹詳植丹陽人安義黃岱
監査鄭千弼草溪人渭川司馬

鄕之有案是當時入校之座目也究其義則其意盖
深且遠何哉一則勸人之善行也一則懲人之惡事
也非孝子忠臣賢人善士而能入乎違乎倫常乖於
理性者不敢入也然則前人之一事一行無非扶植
世道之至意也無非勸獎後人之善事也不其欽感
乎哉吾鄕之有此案久矣悠悠二百餘載納兀閣冊
有名而不續者非無其人也亦不欲永廢也但事繫
愼重不能輕擧故愈遠愈邈且恐惟愼而永負鄕議
所同乃擧一隅非敢續修也以此而或免後人不足
徵之資也耶是爲跋
丙辰流火節河濱李泰雄謹識

安義之鄕案與鄕任錄久遠之圖實出
於慕先祖敬諸賢之心其亦賢矣然而
前後案錄之名單謄稿者各殊異冊亡
以攷衆美之華而覩一統爲玆者大界
淪陷綱彛崩頹大懼先蹟之散失無傳
於是詢謀僉同集而序之編得一冊乃
付諸印刷以圖壽傳吾一鄕之文獻足
徵于來世而後之覽者必曰是吾之某
親某戚孝悌之心油然而生矣亦可謂
有開於世敎云爾
丙辰流火月下澣
後學鄭寅淳謹跋
非賣品
檀紀四千三百九年八月十五日刊行
慶南咸陽郡安義面校北里一四八番地
刊行所安義鄕校
서울特別市中區中林洞二四四番地
印刷處南山印刷株式會社
電話23四二八一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