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Z.1950.4884-20100731.Y104280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남면향약계
작성지역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작성시기 1950
형태사항 크기: 31.6 X 20.8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55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남해 율곡사 /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 1473-1
현소장처: 남해 율곡사 /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 1473-1

안내정보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되고 있는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임원들의 명단이다. 1950년부터 1983년까지의 임원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남면향약계는 최초 1784년에 시행되었는데, 본 자료는 향약의 전통이 현대사회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광우

상세정보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面鄕約稧先生案 第貳冊
[내용 및 특징]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되고 있는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관련 자료이다. 남면에서의 향약 실시는 1784년부터이며, 지금까지 그 전통을 계승하여 매년 3월과 9월 중 15일에 남면당항리에 설립된 율곡사(栗谷祠)에서 계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율곡사1964년 계원들이 중심이 되어,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향약을 계승하고, 제례를 지내기 위해 건립된 사당으로 남면에서 실시된 향약과 관련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契先生案)」제2책(第貳冊)을 비롯하여,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契先生案)」제1책(第一冊), 「계규(契規)」,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등의 향약관련 자료가 전해지고 있다.
「면향약계선생안」제2책은 「면향약계선생안」제1책과 더불어 1784년 최초 남면향약계가 실시되었을 때부터 1983년까지의 임원 명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제2책은 1950년부터 1983년까지의 임원이 수록되어 있다. 임원은 1950년 9월부터 추록(追錄)되는 형식으로 기재되고 있다. 임원이 기재되는 날은 매년 계회가 개최되는 3월과 9월 15일이다. 1950년부터 1966년까지는 3월과 9월에 따로 임원을 기재해 놓았지만 1967년부터는 3월만 기재해 놓았다. 이는 이전까지 매년 3월과 9월의 임원 명단이 같았기 때문에,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 3월만 기재한 것이다.
남면향약계의 임원은 계장(稧長), 부계장(副稧長), 공원(公員), 유사(有司)이다. 이중 계장은 1명이 임명되며, 부계장의 경우 처음에는 1명이었다가 1955년부터는 2명, 1964년부터는 3명이 임명되고 있다. 공원과 유사는 각각 2명씩 임명되었다가 1965년부터는 각각 3명씩 임명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된다. 1934년에 제정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계규(契規)」에는 각 임원의 직임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계장의 경우 계를 대표하고 계무(契務)를 통할하며, 공원은 계장을 보좌하고 계무를 감찰한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유사는 계의 제반문안(諸般文案)과 재물을 관장처리(管掌處理)한다고 되어 있다. 한편 계장은 공원이 총회에서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고 나타나 있다. 1934년의 규정이 현대로 접어드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제정된 규정임을 감안 할 때, 1950년 이후의 남면향약계 역시 이때의 임원 직임규정을 따르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면향약계선생안」제2책에 기재된 향약계의 연도별 임원 누적 수는 397명이다. 중복된 이름을 제외하면, 197명으로 성씨별로는 김(金) 54명, 박(朴) 39명, 한(韓) 14명, 하(河) 12명, 조(曺) 9명, 강(姜)․양(梁)․이(李)․윤(尹)씨가 7명이며, 그 외 우(禹), 공(孔), 류(柳), 정(鄭), 탁(卓), 고(高), 송(宋), 동(董), 유(兪), 백(白), 서(徐), 신(申), 안(安), 최(崔)씨가 확인된다. 이 중 계장을 역임한 자는 모두 32명으로 성씨별로는 박씨와 김씨가 각각 10명, 7명이며, 나머지 성씨는 한두명만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성씨분포는 1984년 조사된 남면의 성씨별 인구수 비중과 유사한 편이다.
[자료적 가치]
전근대 사회에서는 일면(一面)의 향약이 관의 주도하에 향촌 내 기강확립, 환난상휼, 면을 다스리는 향리와 관속의 규제 등이 주된 실시 목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축소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외지로의 인구유출과 관권의 영향력 강화로 인해, 이 시기 면약은 선조들의 전통문화 및 정신계승, 향촌 내 결속력 강화와 친목 도모가 주된 운영 목적이 된다. 따라서 1950년 향약계 임원을 기록한 본 선생안은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契先生案)」제1책에 기재된 인물과 비교 할 때, 향촌 내 주도세력을 반영한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현대사회에 있어 향약의 전통 계승 양상과 추이를 전근대의 자료와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활용 할 수가 있다.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南海郡鄕土誌』, 南海郡敎育會 編, 景仁文化社, 1990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南海郡誌』, 南海郡誌編纂委員會, 南海郡誌編纂委員會, 1994
『鄕約의 大綱』, 南海文化院, 南海文化院, 2001
『지방사와 지방문화』10권 2호, 김희태, 역사문화학회, 2007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面鄕約稧先生案
庚寅九月十五日
稧長尹致云
副稧長朴秉轍
公員金澓玟
金載學
有司朴仁寔
韓文奎
辛卯三月十五日
稧長尹致云
副稧長曺基灝
公員金澓玟
金載學
有司朴仁寔
韓文奎
辛卯九月十五日
稧長朴任銓
副稧長曺基灝
公員金載學
孔益東
有司金德五
韓聖五
壬辰三月十五日
稧長朴任銓
副稧長金在祚
公員金載學
孔益東
有司金德五
韓聖五
壬辰九月十五日
稧長姜大淵
副稧長金在祚
公員韓國鉉
李洪周
有司鄭生文
韓熺相
癸巳三月十五日
稧長姜大淵
副稧長金漢祚
公員韓國鉉
李洪周
有司鄭生文
韓熺相
癸巳九月十五日
稧長朴準贊
副稧長金漢祚
公員金顯勗
金亨實
有司鄭漢基
趙鍾洙
甲午三月十五日
稧長朴準贊
副稧長韓碩周
公員金顯勗
金亨實
有司鄭漢基
趙鍾洙
甲午九月十五日
稧長朴致行
副稧長韓碩周
公員韓熺柱
曺斗仲
有司尹斗寬
高秉完
乙未三月十五日
稧長朴致行
副稧長河萬學
金任枓
公員韓熺柱
曺斗仲
有司尹斗寬
高秉完
乙未九月十五日
稧長朴奎鎭
副稧長白駿基
曺秉權
公員金允吉
尹聖眞
有司朴漢龍
朴啓文
丙申三月十五日
稧長朴奎鎭
副稧長白駿基
曺秉權
公員金允吉
尹聖眞
有司朴漢龍
朴啓文
丙申九月十五日
稧長朴天銓
副稧長金載學
禹基仁
公員朴宗植
姜致文
有司梁周元
金太榮
丁酉三月十五日
稧長朴天銓
副稧長金載學
禹基仁
公員朴宗植
姜致文
有司梁周元
金太榮
丁酉九月十五日
稧長河萬根
副稧長朴準玟
宋太俊
公員朴命五
鄭生文
有司金聖柱
朴準元
戊戌三月十五日
稧長河萬根
副稧長朴準玟
宋太俊
公員朴命五
鄭生文
有司金聖柱
朴準元
戊戌九月十五日
稧長金在祚
副稧長韓國鉉
金泳在
公員卓漢善
金顯相
有司金亨奎
姜汀煥
己亥三月十五日
稧長金在祚
副稧長韓國鉉
金泳在
公員卓漢善
金顯相
有司金亨奎
姜汀煥
己亥九月十五日
稧長朴秉轍
副稧長金載烋
曺順祚
公員河萬祚
梁周原
有司朴幸植
金玟根
庚子三月十五日
稧長朴秉轍
副稧長金載烋
曺順祚
公員河萬祚
梁周原
有司朴幸植
金玟根
庚子九月十五日
稧長白駿基
副稧長梁寬燮
柳鍾億
公員金在祚
朴仁寔
有司尹保殷
朴準壬
辛丑三月十五日
稧長白駿基
副稧長梁寬燮
柳鍾億
公員金在祚
朴仁寔
有司尹保殷
朴準壬
辛丑九月十五日
稧長韓碩周
副稧長韓熺柱
金允吉
公員尹正信
朴準培
有司朴達洙
曺奉春
壬寅三月十五日
稧長韓碩周
副稧長韓熺柱
金允吉
公員尹正信
朴準培
有司朴達洙
曺奉春
壬寅九月十五日
稧長崔泳珪
副稧長卓漢善
朴相五
公員鄭漢基
河上九
有司俞示穆
金松稚
癸卯三月十五日
稧長韓國鉉
副稧長河萬祚
河龍圖
公員金致圭
金太榮
有司徐尙遠
張啓煥
癸卯九月十五日
稧長韓國鉉
副稧長河萬祚
河龍圖
公員金致圭
金太榮
有司徐尙遠
張啓煥
甲辰三月十五日
稧長金載烋
副稧長梁杓金
韓彩庚
朴準顯
公員朴洙鳳
金鼎鉉
有司河祥順
金相益
甲辰九月十五日
稧長金載烋
副稧長梁杓金
韓彩庚
朴準顯
公員朴洙鳳
金鼎鉉
有司河祥順
金相益
乙巳三月十五日
稧長尹聖眞
副稧長金載璹
金顯相
河在涉
公員金德五
柳小豐年
卓仁善
有司金得實
韓聖基
金龍浩
乙巳九月十五日
稧長尹聖眞
副稧長金載璹
金顯相
河在涉
公員金德五
柳小豐年
卓仁善
有司金龍浩
金得實
韓聖基
丙午三月十五日
稧長宋秉元
副稧長金載璹
金顯相
河在涉
公員金德五
柳小豐年
卓仁善
有司金智守
柳洛實
朴琫柱
丙午九月十五日
稧長宋秉元
副稧長金載璹
金顯相
河在涉
公員金德五
柳小豐年
卓仁善
有司金智守
柳洛實
朴琫柱
丁未三月十五日
稧長姜玟洪
副稧長朴珍鎔
曺斗仲
卓仁善
公員董在善
柳洛寶
朴琫柱
有司李龍斗
朴桂鍾
金壯完
戊申三月十五日
稧長李洪周
副稧長尹正信
朴珍鎔
公員金亨奎
金智守
金且玉
有司姜桂實
申台涉
卓益洙
己酉年三月十五日
稧長曺斗仲
副稧長金汝金
鄭生文
朴珍鎔
公員金在水
柳聖千
有司金萃祚
柳常靑
韓允釘
庚戌年三月十五日
稧長朴晋祚
副稧長金亨奎
鄭漢基
韓熺相
公員徐尙遠
金相斗
朴德鍾
有司金智洪
高世根
朴在植
辛亥年三月十五日
稧長韓熺柱
副稧長柳小豐年
高壯根
徐尙遠
公員姜桂實
金平璣
金聖根
有司李逢春
朴太玉
禹漢旭
壬子年三月十五日
稧長梁元燮
副稧長朴龍植
禹極舜
韓文奎
公員朴道淑
朴炫順
金錧澔
有司李逢春
董在洙
癸丑年三月十五日
稧長金德五
副稧長董在善
河祥順
柳洛實
公員韓文古
金正五
韓基沃
有司韓熺權
梁泰云
禹鎭榮
甲寅年三月十五日
稧長金顯相
副稧長朴準涪
金宗基
俞在煥
公員卓小仁善
柳千洪
金光壎
有司安信永
金貞玉
姜箕在
乙卯年三月十五日
稧長朴旻琪
副稧長金昌洙
朴仁九
公員金載修
禹仁中
金洛元
有司金周元
尹彦三
李普庸
丙辰年三月十五日
稧長金亨奎
副稧長金正五
朴孟洙
副稧長金在洙
公員韓洪錫
金漢碩
韓熺權
有司河光燮
河璟綴
金文起
丁巳三月十五日
稧長金致圭
副稧長朴準官
金且千
孔洛信
公員金珍洙
金海攝
禹正基
有司朴準連
有司鄭錫柱
孔仁圭
戊午年三月十五日
稧長鄭漢基
副稧長柳采烈
河守鍊
鄭漢基
公員宋廣守
朴準壬
金壯煥
有司李元守
朴麟柱
己未年三月十五日
稧長金允碩
副稧長金有成
朴炫順
副稧長韓洪錫
公員金相益
趙鳳珍
尹彦三
有司韓熙守
卓玄玉
河坰圭
庚申年三月十五日
稧長孔碩煥
副稧長金洛元
朴達洙
梁金方
公員韓熙守
金洪寬
李鍾言
有司朴燦炅
有司朴準雄
韓墉澔
辛酉三月十五日
稧長朴準涪
副稧長金且玉
卓小仁善
韓榮鞠
公員鄭月甫
金永振
有司金喜斗
金仁範
壬戌三月十五日
稧長朴珍鎔
副稧長金且玉
朴琫柱
金光勲
公員曺世煥
李鍾言
金壯完
有司

癸亥三月十五日
稧長朴珍鎔
副稧長韓聖五
朴準壬
孔相燮
公員河小世洪
禹溶杓
李同淪
有司梁福德
尹自莘